이번주 주간경향(970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홍기빈의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지식의날개, 2012)가 서평거리다. '위하여'른 뗀 본격적인 <살림/살이 경제학>을 고대해 본다.

 

 

 

주간경향(12. 04. 10) 돈벌이 아닌 삶을 위한 경제학

 

“이 책은 지금까지 약 300년간 존재해 온 경제학을 근본적으로 대체할 새로운 경제학을 찾고자 하는, 나의 보잘 것 없지만 오래된 고민의 한 결과물이다.”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의 서두이면서 저자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의 문제의식을 집약하고 있는 문장이다. 그렇다고 책이 ‘오래된 고민’의 첫 보고서는 아니다. 이미 <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책세상, 2001)을 통해서 그는 ‘경제학의 근본적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고 기존의 경제학이 ‘가지 않은 길’의 그림을 제시했었다.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는 저자의 고민이 그간에 얼마나 더 깊어졌는가를 보여주는 중간 보고서라고 할 수 있을까.


소위 주류경제학이라고 불리면서 ‘약 300년간 존재해온 경제학’을 저자는 ‘돈벌이 경제학’이라고 부른다. ‘경제학’이란 말을 독점하고는 있지만 결코 유일무이한 경제학이 아니다. 오히려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를 갖고 있을 따름이다. 돈벌이 경제학에서 보는 경제란 무엇인가. “인간이 살아가면서 부닥치게 되는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알뜰하게 선택하는 행위”를 뜻한다. 너무도 친숙한 정의인가. 반면에 저자가 정의하는' 살림/살이 경제'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정신적·물질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유형·무형의 수단을 조달하는 행위”를 말한다. 어떤 차이인가. 어쩌면 별로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우리에게 돈벌이와 살림/살이가 서로 중첩돼 있어서다. 그것이 바로 저자가 문제적이라고 보는 대목이다. 이러한 중첩은 자본주의 사회의 ‘상품화’가 전면화되면서 빚어진 특수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사정은 달라진다. 그리스어 어원을 따지자면 영어 단어 ‘이코노미(economy)’는 가정을 뜻하는 ‘오이코스’와 질서나 법률을 뜻하는 ‘노모스’가 합쳐진 말이다. 말하자면 ‘집안 살림’이 경제인 것이니 오늘날의 학문분류에 따르면 ‘가정관리학’이 바로 경제학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정의 살림/살이를 위한 경제행위로서 ‘오이코노미아’와 재물을 획득하기 위한 기술인 ‘크레마티스티케’를 명확하게 구별했다. 이 둘은 목적과 수단의 관계다. 곧 재물 획득 기술은 살림/살이라는 목적의 수단일 뿐이며 그것이 역전돼서는 안 된다. 이것이 유럽은 물론 이슬람에서 16세기까지 지배했던 관점이다


살림/살이라는 목적과 재물 획득이라는 수단의 관계가 역전되는 것은 대략 16세기부터이다. ‘좋은 삶’ 대신에 화폐와 연관된 ‘돈벌이’가 부의 표준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저자는 “서양 문명 및 인류의 경제 사상사에서 진정으로 중대한 단절이 벌어졌다고 한다면 이는 고대 및 중세 경제 사상의 살림/살이 경제학 패러다임과 고전파 경제학 이후에 생겨난 돈벌이 경제학 패러다임 사이에서의 단절”이라고 주장한다. 애덤 스미스 이래의 현대 경제학은 돈벌이 경제학의 체제를 무한히 확장하여 오직 돈벌이와 관련된 현상만을 ‘경제적인 것’으로 보이게끔 만들었다. 돈벌이 경제학이 가져온 폐색(閉塞)이자 맹목이다.

 

 


하지만 돈벌이 경제학이 살림/살이 경제학을 완전히 제거한 것은 아니다. 저자는 돈벌이 경제학의 지배를 거스르는 살림/살이 경제학의 면면한 흐름 또한 짚어낸다. 초기 사회주의자들에서 베블런, 폴라니 등으로 이어지는 계보다. 저자는 베블런의 <자본의 본성에 관하여>나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같은 저작을 직접 번역·소개함으로써 이러한 흐름을 가시화한 바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는 우리가 또 한 번의 ‘거대한 전환’, 이번에는 돈벌이 경제학에서 살림/살이 경제학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무엇이 살림/살이 경제학인가? 핵심은 ‘인간 존재의 전면적 발전’이다.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지 못한다면 부란 고작 좀 비싸게 먹고 마시고 입는 것을 뜻할 따름이다. 인생의 목적은 돈벌이가 아니라 자기 자신과 이웃의 삶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란 주장에 반대할 수 있을까. 우리는 돈벌이에만 내몰리기엔 좀 ‘비싼’ 존재다.


12. 04. 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