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거실 벽면을 채울 책장이 들어와서 오후내 책정리를 하고 있다. 재작년 여름 이사올 때만 해도 모든 책을 서가에 꽂을 수 있었지만(박스에 넣어둔 책들 빼고) 그 이후에 또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 지금은 방바닥에 나앉은 책이 부지기수다. 도저히 '작업'을 진행할 수가 없어서 남겨놓았던 벽면 공간을 마저 책장으로 채운 것인데, 대략 6개가 추가로 더 들어가는 모양새가 됐다. 그래봐야 바닥의 책들을 절반도 소화 못할 듯싶지만, 여하튼 '숨통'은 좀 트이게 됐다. 반(半)난장판인 방안에서 간식을 먹다가 데이미언 톰슨의 <책과 집>(오브제, 2011) 생각이 나 기사를 찾아 옮겨놓는다. 오늘은 '책과 집'의 날이라 원고는 생각할 겨를이 없다. 하긴 전투 대형을 만들어야 전투도 할 수 있는 법이니 하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 내게 책은 인테리어 소품이 아니라 전력이다. 전투병력...

 

 

 

한겨레(12. 01. 07) 책은 훌륭한 인테리어 소품이다

 

책은 일종의 그릇. 무엇을 담았는가에 따라 표지, 책등, 글꼴이 다르며 크기, 두께, 색깔, 무게가 차이난다. 책이 모이면 질서가 된다. 서가를 보면 주인의 성격과 관심사를 알 수 있다는 말은 그래서다. 어느 선을 지나면 책은 주인을 배제한 채 스스로 방향을 잡아간다. 내용을 따라 모이는가 하면 모양별로 영역을 만들고 넓혀간다.

<책과 집>은 “돈이 생기면 책을 사고, 그러고도 남으면 음식과 옷을 산다”고 했던 에라스뮈스 같은 이들을 위한 책이다. 사진 위주로 각각의 공간과 취향, 책의 양에 걸맞은 수납방식을 안내한다. 동시에 책에 대한 아름다운 문장과 책을 소개하는 책에 대한 아름다운 에세이이기도 하다. 온갖 다양한 서재와 책꽂이에 대한 안내이며 통로, 계단, 문틀 위, 창틀 사이를 어떻게 책을 위한 공간으로 바꿀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앉은뱅이 의자, 장식장, 선반 등을 유사책장으로 바꿀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전해주는 ‘책으로 집꾸미기’ 지침서다. “책이 가구는 아니지만 그만큼 집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이 책의 주제다.

지은이는 거실과 현관은 집안 분위기를 좌우하므로 책을 테마로 바꿔보라고 유혹한다. 단색 책꽂이로 큰 벽을 완전히 채우되 낮은 사다리에다 이동식 전등 등을 갖추면 더할 나위 없다. 단, 다른 벽은 최대한 비울 것. 책벽은 훌륭한 단열재, 흡음재이며 추상회화가 된다. 중요한 것은 상주하는 주인과 가구들과의 조화. 필요와 찾는 빈도에 따라 공간을 정하고 크기와 색깔에 따라 위치를 지정한다. 창, 문, 바닥재와의 조화도 고려사항. 가끔 찾아오는 이들을 위한 눈요기도 필요하다. 계단을 겸한 책꽂이나 물결, 나무 모양을 한 책꽂이는 집안의 명소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지은이는 모양과 크기에 따라 쌓을까 꽂을까부터 결정하라고 권한다. 쌓을 경우 정기적으로 위아래를 바꿔주어야 제본이 망가지지 않는다. 어쩌다 보는 책은 스피커나 전화기 받침으로 쓰면 어떠랴. 색깔별로 정리할 때는 중간색을 중간에 두고 스펙트럼처럼 차가운 색과 따뜻한 색으로 배열하면 보기 편하다고 한다. 책등이 보이도록 하되 서체 디자인이나 그림이 멋진 책은 한두 권 정도 표지나 면지가 보이도록 진열하는 것도 센스.

아예 책의 밑이나 배가 보이도록 쌓아 보라. 가로세로 종잇결과 바랜 정도를 반영하는 채도가 조각을 보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책 한권을 찾자고 모든 책을 꺼내야 하니 강권하지는 않는다. 멋진 서재와 책장 사진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지는 책이다.(임종업 선임기자)

 

12. 01. 17.

 

P.S. 오늘부터 '마이페이퍼 작성시 유의사항'이 뜬다. 뉴스기사 저작권에 관한 것이다. 그간에 '나의 서재 & 즐겨찾는 서재브리핑에만 노출함' 설정으로 북리뷰 기사를 스크랩해놓곤 했는데, 권고에 따라 앞으론 '인용'으로만 처리하도록 한다. '로쟈의 낚시'도 이제 일거리가 많이 없어질 듯하다. 이 참에 '로쟈의 전투'로 전환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