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한겨레에 실리는 '로쟈의 번역서 읽기'를 옮겨놓는다. 한나 아렌트의 <정치의 약속>(푸른숲, 2008)이 손 닿는 곳에 있어서 정치와 정치철학의 문제를 글감으로 삼았다. 지난 월요일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의 정치철학 강의에서 다룬 주제이기도 하다. 

  

한겨레(11. 11. 26) 아렌트의 마지막 선언 ‘정치철학 닥치고 정치’

정치란 무엇인가? 이런 고전적인 물음을 자주, 반복적으로 던지게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인생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을 우리가 인생의 전환점이나 위기에 처하여 던지게 되는 것처럼 정치란 무엇인가란 질문도 마찬가지다. 정치의 위기, 정치에 대한 환멸은 정치란 무엇인가란 질문을 낳는다.

한나 아렌트의 유고집 가운데 하나인 <정치의 약속>에 실린 글 ‘정치로의 초대’에서 저자가 우선적으로 던지는 질문 역시 정치란 무엇인가이다. 그러고는 이렇게 답한다. “정치는 인간의 복수성에 기초한다. 신은 단수의 인간(man)을 창조하였지만, 복수의 인간(men)은 인간적이며 지상에서 만들어진 산물이고, 인간 본성의 산물이다.” 아렌트 고유의 정치사상을 집약하고 있는 문구인데, 그가 보기에 정치란 ‘인간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들의 문제’이다. 단수의 인간은 비정치적이며 “정치란 인간들 사이에서, 즉 단수의 인간 외부에서 생겨난다.” 한국어는 단수와 복수를 잘 구분하지 않으므로 ‘인간들’이란 말이 생경할 수도 있다. 그게 어쩌면 우리가 정치와 자주 불화관계에 놓이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인간’과 달리 ‘인간들’은 주로 비하적인 의미로 쓰일 때가 많지 않은가.

그런 불화는 철학과 신학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아렌트가 보기에 철학과 신학은 모두 단수의 인간만을 다루기 때문에 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타당한 답변을 제출하지 못한다. ‘정치철학’이란 말은 그래서 모순적이다. 서로 다른 인간들의 공존과 연합을 다루는 것이 정치인 데 반해서 철학은 단수의 인간을 숙고의 대상으로 삼기 때문이다. 서양 정치철학의 원조인 플라톤은 그래서 어중이떠중이들이 설치는 민주주의 대신에 철인통치를 주창하고 옹호했다. 다수의 대중이 한갓 ‘의견들’을 좇는 데 반해서 소수의 철학자는 ‘진리’를 사랑한다는 것이 이유였다. 올바름이 무엇이고 좋음이 무엇인지 제대로 아는 자가 국가를 통치하는 게 마땅하다고 플라톤은 생각했다. 그런 의미에서 정치철학은 정치와 대립한다.

정치에 대한 관점에서 플라톤과는 정반대 편에 서는 아렌트는 ‘정치철학의 종언’을 선언한다. 정치의 토대인 인간의 복수성을 고려하지 않기에 정치철학은 정치를 사유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플라톤의 정치철학이 갖는 반정치적 편견에 대한 비판은 그런 생각에서 비롯한다. 아렌트는 플라톤을 포함한 위대한 사상가들이 정치에서만큼은 깊이 있는 통찰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꼬집는다. 정치가 닻을 내리고 있는 깊이까지 내려가지 못한 탓이다. 필요한 것은 정치철학이 아니라 정치에 대한 사유, 곧 정치적 사유다.

김어준의 어법을 빌리자면 아렌트의 주장은 한마디로 ‘정치철학 닥치고 정치’다. 그렇게 닥쳐야 할 것 중에는 가족도 포함된다. 신이 자신의 형상에 따라 인간을 창조했듯이 인간은 자신을 닮은 인간을 창조해내려고 애쓴다. 그러한 가족의 원리를 정치체에도 도입하려고 할 때 문제는 불거진다. 정치체가 가족에 기초하거나 가족 이미지로 이해된다면 필연적으로 복수의 인간은 배제된다. 정치에서 가족주의는 복수의 인간이 갖는 근원적 차이들을 지우고 정치 세계 고유의 복수성을 파괴한다. ‘우리는 한 가족’이라는 것만큼 반정치적인 구호는 따로 없다.

흥미로운 건 가족에 대한 태도에서만큼은 플라톤이 아렌트보다도 더 급진적이라는 점이다. 그는 훌륭한 통치자들에겐 사유의 주택도, 토지도, 소유물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마디로 ‘내 것’ 일체를 부정적으로 보았다. 사익에 눈이 어두워 자기 욕심만 챙기려는 정치는 정치도 아니고 정치철학도 아니다. 유사 정치고 꼼수 정치다. 

11. 11. 2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11-26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12-04 15:5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