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읽을 만한 책'을 고른다.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미처 음미하기도 전에 꽉찬 달력이 눈에 들어온다. 토요일과 일요일을 경계로 달이 나뉘니 4월과 5월 사이에 '빈틈'이 없다. 적어도 올해 가장 사이가 좋은 두 달이란 생각도 든다. 그러니 4월에 읽다 만 책이나 미처 못 읽은 책들을 5월에 내처 읽어도 좋겠다. 더불어 5월에 읽을 책들을 며칠 당겨 읽어도 좋겠다. 그렇게 '사월과 오월 사이'가 지나가도 좋겠고...  



1. 문학 

정과리 교수가 추천한 책은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집 <보통의 독자>(함께읽는책, 2011)다. 일종의 독서노트. "그녀의 독서에는 너무나 즐거운 ‘펀’이 있고 ‘게임’이 있다. 그러니 선입견에 사로잡혀 지레 겁먹지 말고 얼른 책을 펼쳐 보시라."는 게 추천의 변이다. 개인적으론 '러시아인의 관점'이란 글을 읽으려고 진작에 구입했지만 아직 손에 들진 못했다. 5월엔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자기만의 방>(펭귄클래식코리아, 2010)과 <어느 작가의 일기>(이후, 2009)는 같이 챙겨놓았다.    



2. 역사 

김기덕 교수가 추천한 역사분야의 책은 안대회 교수의 <벽광나치오>(휴머니스트, 2011)이다. 18세기 붐을 가져온 저자군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저자가 이번에 다룬 주제는 18세기의 '문화 리더'들이다. "그들은 흔히 비아냥거림을 받았고, 그래서 벽(癖, 고질병자), 광(狂, 미치광이), 나(懶, 게으름뱅이), 치(痴, 바보), 오(傲, 오만한 자)라는 표현이 항상 따라다녔다." 그래서 제목이 <벽광나치오>다! 저자가 옮긴 조수삼의 <추재기이>(한겨레출판, 2010), 그리고 또다른 열전으로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한겨레출판, 2010)과 함께 18세기 조선땅을 주유해봐도 좋겠다.  



안 교수와 짝이 될 만한 정민 교수도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김영사, 2001)란 역저를 냈다. 완결판 <한시미학 산책>(휴머니스트, 2010),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휴머니스트, 2007)등과 함께,'벽광나치오'와 대비되는 양반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읽음직하다.    



3. 철학 

김형철 교수가 추천한 책은 푸페이롱의 <장자 교양강의>(돌베개, 2011)다. "호접몽을 포함해서 18편의 장자 우화를 소개하면서 덧붙이는 해석은 우리의 상상력을 풍부하게 해준다. 고전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알게 해주는 좋은 책"이라고 평했다. 비슷한 성격의 책으로 나카지마 다카히로의 <장자, 닭이 되어 때를 알려라>(글항아리, 2010), 강신주의 <망각과 자유: 장자 읽기 즐거움>(생각의나무, 2008)와 비교해가며 읽어도 좋겠다.   



4. 정치/사회 

강정인 교수가 고른 책은 박종성 교수의 <패션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이다. 저자는 문화와 권력/정치의 관계를 다룬 일련의 저작을 펴내고 있는데, <씨네폴리틱스>(인간사랑, 2008), <한국성인만화의 정치학>(인간사랑, 2007) 등이 같은 맥락에 놓이는 책들이다. "저자는 정치를 권력현상으로 보되 국가중심적으로 보는 것은 거부하고, 정치를 바라보는 새로운 창을 발굴·확장해 온 이색적인 학자이다. 이전에도 ‘매춘’, ‘포르노’, ‘영화’, ‘성인만화’ 등을 정치학 분석의 소재로 삼아 일견 비정치적인 일상의 단면을 해부함으로써 권력 또는 지배의 적나라한 모습을 폭로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엔 '패션'인 것.   

권력 문제가 나온 김에 새로 번역된 <군주론>(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도 읽기 목록에 넣으면 좋겠다. 역자는 마키아벨리에 정통한 박상섭 교수로 <국가와 폭력: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 연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2)의 저자이기도 하다. 군주론에 대해서는 리라이팅 시리즈의 하나로 정정훈의 <군주론, 운명을 넘어서는 역량의 정치학>(그린비, 2011)도 최근에 출간됐다.    

5. 경제/경영  

박원암 교수가 고른 책은 대니 로드릭의 <더나은 세계화를 말하다>(북돋음, 2011)이다. 세계화 관련서는 워낙에 많이 나와 있는데, 그럼에도 이 책의 의미가 있다면, 저자가 하버드대 교수이고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고 책은 그 결과물이라는 점. 하지만 당장은 세계화보다 세금 문제가 우리 발등에 떨어진 불 같다. 서울시가 무슨 '남녀평등 신호등'으로 교체한다고 200억원을 쓴다 하니 '더나은 세계화'보다 시급한 건 세금의 사용처에 대한 감시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우선은 선대인 김광수경제연구소 부소장의 <프리라이더>(더팩트, 2010)와 <세금혁명>(더팩트, 2011) 같은 책을 '가정상비약'처럼 집집마다 구비해놓아야겠다. 여차하면 '세금혁명당'을 후원해볼 수도 있겠고...   

6. 과학

장경애 동아사이언스 실장이 고른 책은 베르트랑 조르당의 <0.1퍼센트의 차이>(알마, 2011)다. 제목만으론 무슨 책인지 감을 잡기 어려운데, '인종과 반인종의 교차로에서 제3의 길을 찾는 아주 특별한 DNA 이야기'라고 소개된다. "60억 인구 가운데 아무나 선택해도 두 사람의 DNA는 99.9% 일치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모두 똑같은가. 사람마다 30억 개 염기서열 중 0.1%인 300만 개 염기가 차이 나며, 이는 평균적으로 염기 1,000개 당 하나가 다르다는 말이다. 이것이 개인을 특징짓는 눈, 코, 질병 특수성을 만드는 SNP(단일염기다형성)다." 그 차이에 관한 책.  

같은 생명과학쪽 책으로 닉 레인의 <생명의 도약>(글항아리, 2011)도 독서욕을 자극하는 책이다. '진화의 10대 발명'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드디어는 <아버지의 탄생>(초록물고기, 2011)에 이르기까지. 두 명의 인류학자가 쓴 이 책의 원제는 '부성애(Fatherhood)'. 모성애에 관한 책이 여럿 나왔던 데 반해서 부성애를 다룬 책은 좀 드물었는데, '진화론, 비교생물학 등으로 살펴본 아버지의 본질'에 대해 일러준다고 하니 반갑지 않을 수 없다. 5월에는 이 책과 함께 '아버지란 무엇인가'란 물음을 던져봐도 좋겠다.       

7. 예술 

이주은 교수가 고른 예술분야의 책은 유화열의 <라틴현대미술 저항을 그리다>(한길사, 2011)이다. 내가 아는 이름이라야 프리다 칼로나 페르난도 보테로 정도인데, 이 지역에 대한 교양을 조금 보강할 수 있겠다. 간단한 소개에 따르면, "라틴아메리카의 미술가들은 인종, 정체성, 문화에 관한 모든 생각들을 현대미술 속에 녹여내어, 유럽에서는 볼 수 없는 색다른 양상의 모더니즘을 만들어냈다. 서로 다른 문화들이 융합된 혼합주의는 현대의 라틴아메리카를 특징짓는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 잡았을 뿐 아니라 예술을 생동감 있게 이끌어가는 고유한 에너지의 원천이 되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8. 교양  

철학자 탁석산이 고른 교양서는 데이비드 웨인스의 <이븐 바투타의 오디세이>(산처럼, 2011)다. 정수일 교수의 번역으로 나온 완역본 <이븐 바투타 여행기>(창비, 2001)에 대한 '안내서'이다.   

개인적으로는 움베르토 에코와 장 클로드 카리에르의 대담집 <책의 우주>(열린책들, 2011) 같은 책을 덤으로 더 읽고 싶다. '책에 관한 책'이야 언제나 기본 교양을 받춰주는 것이기에 별다른 이유를 보탤 필요는 없을 것이다. 거기에 박학다식한 비평가 해럴드 블룸의 <독서기술>(을유문화사, 2011)도 염탐해보고픈 책이다. 조금 편안한 책 얘기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부산 인디고서원 대표 허아람의 <사랑하다, 책을 펼쳐놓고 읽다>(궁리, 2011)를 펼쳐놓아도 좋겠다. '아람샘'이 꿈꾸는 책방 이야기가 한가득이다(부산MBC의 '별이 빛나는 밤에'란 프로에서 2년간 매주 금요일에 진행한 코너의 이야기를 정리한 책이다).  

9. 실용 

손수호 국민일보 논설위원이 추천한 실용서는 고주환의 <나무가 민중이다>(글항아리, 2011)이다. 부제는 ‘민초의 삶에 깃든 풀과 나무 이야기’. 저자의 데뷔작이다. 한데 '나무' 하면 떠올릴 수밖에 없는 저자는 강판권 교수인데, 올해에도 이미 두 권의 '나무책'을 냈다. <미술관에 사는 나무들>(효형출판, 2011)과 <은행나무>(문학동네, 2011).   

물론 압권은 <역사와 문화로 읽는 나무사전>(글항아리, 2010)이지만(분량도 1000쪽이 넘고 책값도 7만원이 넘는다), 나중에 내집 마련이나 한 뒤에야 모셔둘 만한 책이지 싶다.    

10. 피에르 바야르

내 맘대로 고르는 주제는 피에르 바야르의 추리비평으로 정한다. 마침 방한중인데다가 그의 3부작이 모두 번역돼 나온 점을 고려했다. 그의 저작 목록을 보니 아직도 소개될 만한 책이 많다. 제목상으론 <망친 작품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2000), <문학을 정신분석학에 적용할 수 있는가>(2004) 등이 눈길을 끈다. 일단은 <햄릿> 먼저... 

11. 04. 28.  

P.S. '이달의 읽을 만한 고전'으론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글자>를 골랐다. 과거 <주홍글씨>란 제목으로 알려진 작품인데, <주홍글자>로 개명된 이후에도 여러 번역본이 출간돼 비교해서 읽을 수 있는 정도가 됐다. 알다시피 19세기 미국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D. H. 로렌스는 "어떤 다른 책도 이 소설처럼 심오하지 않고 이중적이지 않으며 완전하지 않다"라고 평했다. 그 정도면 사실 안 읽기도 매우 어렵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4-29 11: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4-29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8-06 0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