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관한 한 지난 두 주는 '조용한' 주였다. 책이야 떨어지지 않고 계속 나오지만 가끔씩 '폭발'하는 주에 비하면 그렇다는 얘기다. 그런 가운데서도 주목받지 못하고 묻히는 책들이 나오는데, 언론리뷰를 기준으로 삼자면 역사학 책 두 권이 그렇게 보인다. 카를로 긴즈부르그의 <실과 흔적>(천지인, 2011)과 설혜심 교수의 <역사, 어떻게 볼 것인가>(길, 2011). 두 역사학자의 역사론으로 나름 일독의 의미가 있을 듯싶어 자투리 기사들을 스크랩해놓는다.    

대전일보(11. 03. 19) 인간의 역사는 진실인가 거짓인가

미시사(微視史) 개척자로 평가받는 이탈리아의 역사가 카를로 긴즈부르그가 쓴 역사학 방법론에 관한 책이다. 2500년의 세월 속에서 진실한 것, 거짓된 것, 허구적인 것들을 지적하고 추적하며 진실의 역사를 이야기한다는 것은 과연 가능한지 문제를 함께 제기한다.

대표작인 ‘치즈와 구더기’에서 16세기 이탈리아의 한 방앗간 주인을 통해 농민 문화를 들여다봤던 저자는 이 책에서 2천500년의 역사 속에서 진실한 것, 거짓된 것, 허구적인 것들을 추적하면서 진실의 역사를 이야기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 묻는다.

저자는 고대 그리스 로마에 대한 생동감 있는 묘사(에나르게이아)와 역사 서술, 프랑스의 철학자 볼테르, 소설가 스탕달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허구와 진실 사이에 있는 거짓된 진실로 보이는 역사적 소재들을 해부한다. 이처럼 상당히 이질적인 주제들을 언급하고 있는 모든 장들의 내용은 이야기의 실마리로서 우리를 현실의 미로로 인도해주는 실과 흔적들 간의 관계라고 설명한다.(김수영 기자)   

한겨레(11. 03. 26) 역사학의 새로운 맛은?

1970년대 유신 말기 감옥에 갇힌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던 교재의 하나가 모리스 돕의 <자본주의 발전 연구>였다. 1946년에 나온 이 책은 마르크스주의 시각에서 자본주의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쉽지 않은 내용이었지만, 어쩌랴 감옥에서 넉넉한 건 시간뿐이었으니. 역사학자 이영석을 역사학으로 이끈 것도 돕이었다. 친구들이 감옥으로, 노동현장으로 갈 때 서양사를 공부한 그는 유럽의 사회사와 경제사 연구를 통해 시대의 빚을 갚으려 했다. 학벌주의가 판을 치는 학계에서 명문대 출신도, 유학파도 아니고, 사학과조차 없는 지방대 교수인 그가 서양사학회장에 선출되게 만든 힘은 근면과 성실, 그리고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도래 같은 쓰나미를 버틴 학문적 뒷심이었다.

이영석은 역사학자 설혜심 연세대 교수가 <역사,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 로이 포터, 키스 토머스와 함께 ‘내가 사랑하는 역사가들’로 소개한 이다. 온천장, 관상학, 지도 등 독특한 주제로 역사학의 새로운 맛을 선보인 지은이가 이번엔 ‘종합 선물세트’ 같은 역사책을 내놓았다. 여기엔 역사학에 왜 상상력이 필요한가를 주장한 논문부터, 한국 서양사 연구의 계보, 마녀사냥과 신대륙 발견에 대한 연구 등 역사연구 다양한 시각, 트위터와 미시 역사가 비슷한 특성을 지닌다는 데 착안한 일상과 관련된 역사 등 다양한 글들이 모였다. 한 주제에 천착한 이제까지의 책과 다른, 숙달된 조교의 시범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애초 지은이가 염두에 둔 제목은 ‘역사 실험’ 또는 ‘역사 연습’이었다.(조홍섭 기자)  

11. 03. 27.  

P.S. 근대 영국사가 주전공인 이영석 교수의 번역으로는 윌리엄 조지 호스킨스의 <잉글랜드 풍경의 형성>(한길사, 2007)이 있다. 역사학 공부의 여정을 담은 '사회사의 유혹' 두 권도 역사학도에겐 유익한 길잡이가 되겠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이에자이트 2011-03-27 15:44   좋아요 0 | URL
유신말기에 감옥에서 <자본주의 발전연구>를 읽었다는 건...글쎄요.광민사에서 번역본이 나온 때가 1980년입니다.뭔가 기자가 잘못알고 있는 것 같아요.

로쟈 2011-03-27 18:00   좋아요 0 | URL
원서로 읽었다는 얘기 아닐까요? 감옥에서의 넉넉한 시간 얘기로 봐서요...

노이에자이트 2011-03-27 21:00   좋아요 0 | URL
글쎄요...그걸 어떻게 원서로...내용도 어렵거니와 두께가 엄청나지 않습니까.자본주의 이행논쟁을 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논하게 되는 게 70년대 후반 80년대 초인데, 유신말기는 학생운동가들이 탐독할 시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로쟈 님 또래들이 읽지 않았을까요?

로쟈 2011-03-27 21:02   좋아요 0 | URL
정확한 건 책을 보면 알겠지만, 400쪽 원서라면 1년안에 읽을 수 있지 않을까요? 하루에 한 페이지씩 읽으면 될 테니까요...

노이에자이트 2011-03-27 21:17   좋아요 0 | URL
제가 학생운동을 경험한 사람이 아니긴 합니다만 학생운동기에서 유신 말기는 사회과학을 그리 깊이 공부한 때가 아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렇다고 80년대 학생운동이 특별히 70년대보다 더 나을 것은 없지만 80년대의 운동론 서적들을 보면 70년대의 운동론의 과학적 토대가 빈약했다 운운 하더군요.그랬기 때문에 독서성향이 달라서 70년대 학생운동가와 80년대 학생운동가는 서로 이질감을 많이 느꼈다고 하더라구요.로쟈 님의 대학시절엔 대학생들이 자본주의 이행논쟁이나 내재적 발전론에 관해서 많이 공부하던가요?

로쟈 2011-03-27 21:20   좋아요 0 | URL
제가 경제학에 관심이 없어서 읽지 않았을 뿐, 사회과학 탐독 세대들은 다 보았을 듯싶은데요. 이행논쟁에 관한 책들도 많이 나와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노이에자이트 2011-03-27 21:43   좋아요 0 | URL
그런 독서성향이 70년대 말기까지는 없었을 것입니다.또 어떤 책이 번역되느냐도 중요한데, 모리스 돕의 책이 나온 지 5년이 지나고서야 스위지<자본주의 발전이론>이 번역됩니다.그전에는 스위지의 그 책은 <자본주의 이행논쟁>에 그 일부가 소개된 데 불과하죠.여하튼 80년대 초반 중반이 되어서야 경제사 책이 좋은 게 많이 번역되었습니다.

긴돌 2011-05-14 23:35   좋아요 0 | URL
우연히 이 싸이트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돕의 <자본주의 발전연구> 영문판 복사본은 1974년경부터 구입할 수 있었지요. 그 무렵 이 책을 구입해 대학 3학년 여름에 자취방에서 줄곧
이 책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암파서점에서 나온 오스카 히사오, 다카하시 고하치로 등이 집필한 <서양경제사강좌>(일본판)은 대학 도서관에서 구할 수 있었고요. 물론 돕의 번역판은 1980년 무렵에 나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이행논쟁은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1970년대에 영문서적 복사본이나 일본의 관련 서적을 구할 수 있었어요. 또 1950년대 말에 서울대 민석홍선생이 잘 요약해 소개하기도 했지요. 우리 번역판은 1980년경에 나왔을 겁니다. <한겨레신문> 기사에 유신 말기 감옥에서 돕의 책을 읽었다는 것은 조금 과장된 것 같고, 다만 일본번역본이나 영문판 복사본은 구할 수 있었겠죠.

로쟈 2011-05-15 13:51   좋아요 0 | URL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