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에 집으로 택배 하나가 왔는데, 바로 열린책들에서 보낸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의 마지막 권이었습니다. 전집의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는 건 여러분도 다 아실 겁니다. 출판사측에서 이 문제에 성의껏 대응하여 누락된 부분에 대해서는 아예 책을 새로 찍고, 교열지까지 만든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 생각됩니다. 차후에 다른 출판사례들에도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사실, 좋은 책만들기의 기본은 저자와 역자의 몫이겠지만, 책'만들기'를 담당하는 사람들의 역할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 중 초고를 교정하는 일이야말로 눈에 띄지 않으면서도 아주 중요한 일이라는 게 평소 제 생각인데, 우리의 출판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오래 전에 나온 책들을 보면, 맨 뒷면에 저자/역자와 함께 교정자의 이름이 표기된 걸 보곤 하는데, 어느샌가 그런 전통(?)은 없어져 버리고, 교정일이 마치 허드렛일처럼 돼 버렸습니다. 일단 교정일에 대한 품삯이 기대 이하인 까닭에 유능한 인력들을 끌어들이기 어렵고 또 제대로 된 교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대충 오타나 고치고 마는 것인데(요즘 나오는 책들은 그것도 제대로 돼 있지 않습니다), 그렇게 좀 무성의하게 나온 책들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책이나 저자에 대한, 또 출판사에 대한 경의의 마음이 사그라들게 마련입니다.

 

 

 
 

제가 근래에 읽은 책으로 민음사에서 나온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라는 대담집이 있습니다. 13개의 대담 중 7-8편을 읽었는데, 우리 시대 지성들의 열기가 느껴지는 좋은 책이지만(그래서 뛰어난 기획이라고 칭찬을 많이 들은 책이지만) 역시나 교정은 완벽하지 못했습니다. 몇 가지를 지적하면, 김춘수의 데뷔시집 <구름과 장미>가 <죽음과 장미>로 표기된 것(233쪽, 226쪽에는 <구름과 장미>로 바로 표기돼 있음에도), 소설가 최인호의 약력에서 1945년생이 1954년생으로 표기된 것(115쪽),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표기하면서 '(집)가'자 대신에 '(거리)가'자를 쓴 것(312쪽, 카라마조프 거리의 사람들!) 등.

이런 실수들이 분명 '죽을 죄'는 아니나, 책의 만듦새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점은 지적해야 할 것입니다. 또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온 철학자 박이문 교수의 신간 <이성의 시련> 앞갈피에(저는 아직 이 책을 다 읽지 못했습니다) 실린 저자의 약력과 저서에서 <자비의 윤리학>이란 책명이 <비애의 윤리학>이라 표기돼 있습니다. 말 그대로 '이성의 시련'이자 '비애'(?)가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인문학 출판사 두 곳과 두 권의 책에 대해서만 예를 들었지만, 이런 사례는 거의 모든 책에서 발견된다는 데 문제의 (사소하지 않은!) 심각성이 있습니다. 좋은 책은 내용에서뿐만 아니라 만듦새에서도 정성이 느껴지는 책입니다. 제가 '교정'의 문제를 제일 먼저 꺼낸 것은 앞으로 더 많은 좋은 책들이 나왔으면, 그리고 더 좋은 책들을 읽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 때문입니다. 거기엔 '감시'의 눈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10년 후가 될지 20년 후가 될지 모르겠지만, 보다 좋은, 보다 완벽한 우리말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을 가질 수 있게 되기를 꿈꿔 봅니다...

01. 07. 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