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테바의 이어지는 질문은, 만약에 언어가 '표현'이고 그래서 그것의 한계[울타리]가 분명하게 그려진다면, 그걸 넘어설 방도는 없는가, 비표현성(nonexpressivity)이란 무얼 말하는가, 혹시 문자학은 언어학적 표기들이 아닌 논리적-수학적 표기들에 기초한 비표현적 '기호학'은 아닌가, 이다. 즉 문자학이 기존의 기호학과 대상[자료]만을 달리하는 기호학[보다 넓은 기호학]은 아닌가라는 의혹.



이에 대해 데리다는 모순적인 대답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변명을 들어보자: "On the one hand, expressivism is never simply surpassibl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couple outside/inside as a simple structure of opposition. This couple is an effect of diff rance, as is the effect of language that impels language to represent itself as expressive re-presentation, a translation on the outside of what was constituted inside."(33쪽)

국역: "한편으로 표현주의는 결코 간단히 초월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내부-외부의 단순한 대립 구조라는 이러한 차이의 결과와 언어로 하여금 표현적인 표상, 내부에서 구성되었던 것의 외부로의 해석으로 재현되게 하는 이러한 언어행위의 결과를 환원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56쪽)

영역처럼 끊어서 읽겠다: "한편으로 표현주의[표현성]는 간단하게 초월할[넘어설]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구조로서의 안/바깥을 해소[환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대립 쌍은 차연의 결과[효과]인데, 이는 언어가 자기 자신을 표현적인 재현[표상], 그러니까 안에서 수군거린 일을 바깥으로 옮기는 것[번역]으로서 제시하도록 강요하는 언어(작용)의 결과라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요지는 '표현'으로서의 언어가 어떤 필연에 따른다는 것이겠지. 이것은 칸트가 선험적 환상이라고 불렀음직한 구조적인 미끼[유혹]이다(즉 어지간하면 걸려들 수밖에 없는 미끼인 것). 유독 서구 형이상학만이 좀 둔해서 걸려든 것은 아닌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nd inversely, I would say that if expressivism is not simply and once for all surpassable, expressivity is in fact always already surpassed, whether one wishes it or not, whether one knows it or not. In the extent to which what is called "meaning" (to be "expressed") is already, and thoroughly, constituted by a tissue of differences, in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already a text, a network of textual referrals to other texts, a textual transformation in which each allegedly "simple term" is marked by the trace of another term, the presumed interiority of meaning is already worked upon by its own exteriority. It always already carried outside itself. It already differs (from itself) before any act of expression."

다소 길다. 국역: "다른 한편으로, 그리고 역으로, 나는 표현주의는 간단히 그리고 결정적으로 초월될 수는 없지만 표현성은 우리가 원하건 아니건간에, 또한 우리가 알건 모르건간에 실제로 이미 늘 초월되어왔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표현해야' 할) '의미'라고 부르는 것이 이미 도처에서 차이들의 망으로 구성되어 있고, 텍스트, 즉 다른 텍스트들에 대한 텍스트의 참조망, 또한 '단순한' 각 '항목'이 다른 항목의 흔적에 의해 나타나는 텍스트의 변형이 존재하는 한, 의미의 추정된 내재성은 이미 그 자신의 외부의 작용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것은 이미 항상 자기 밖으로 놓여지게 되며 모든 표현행위 이전에 이미 (자기로부터) 차이됩니다."(57쪽)

나의 번역: "다른 한편으로, 이번에는 거꾸로, 나는 이 표현성이 아주 간단하게[만만하게] 그리고 단호하게 초월될 수 있는 것은 아니더라도 실제로는 이미 그리고 항상 초월되어 왔다고 말해야겠군요. 그것이 우리가 원하던 바인가 아닌가, 혹은 우리가 그걸 알고 있었나 없었나에 관계없이 말입니다. ('표현'되어야 할) 어떤 '의미'란 것이 차이들의 망에 의해 이미 그리고 완벽하게 구성되는 한, 또 이미 어떤 텍스트, 즉 다른 텍스트들에 대한 어떤 텍스트적[조직적] 관계[연관]망, 그러니까 다른 단어의 흔적에 의해 표시되는 이른바 개개의 '순진한 단어'들이 거주하는 텍스트적 변형[텍스트들 간의 오고감]이 존재하는 한, 우리가 가정하는 의미의 내재성은 이미 자신의 외재성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의미(의 내재성)]은 항상 이미[먼저] 자신을 바깥으로 데려갑니다[운반합니다]. 그것은 어떠한 표현행위 이전에 (자신으로부터) 이미 벗어나 있는[달라져 있는] 것이지요."

즉 어떤 표현행위에 의해서 (의미가) 안에 있다가 밖으로 나오는 것[표현되는 것] 아니라 그러한 행위 이전에 이미 밖에 나와 있다는 얘기다. "오직 이러한 조건에서만 그것은 뭔가를 '의미'할 수 있다[Only on this condition can it "signify."]."

데리다는 이러한 관점[자리]에서 비표현성을 말할 수 있다고 한다: "Only nonexpressivity can signify, because in all rigor there is no signification unless there is synthesis, syntagm, diff rance, and text."

국역: "엄밀하게 말해서 종합·연사·차이·텍스트가 있는 곳에서만 의미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표현성만이 의미적일 수 있습니다." 나의 번역: "오직 비표현성만이 의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뭔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엄밀하게 말해서 (차이들의) 종합, 결합, 차연, 그리고 텍스트가 없다면 어떠한 의미작용도 가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때 "물론 텍스트만이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고 말할 때에 의미작용과 의미의 가치는 이미 변형된 것"이다. 그리하여 다시 규정되는 문자학: "Grammatology, as the science of textuality, then would be a nonexpressive semiology only on the condition of transforming the concept of sign and of uprooting it from its congenital expressivism."

국역: "텍스트성의 과학으로서 그라마톨로지는 그러므로 기호의 개념을 변형시키고 그 생래적 표현주의로부터 그것을 떼어놓는다는 조건에서만 비-표현적 '기호학'이 될 것입니다." 다시 번역하지 않겠다. 마지막 질문이 까다롭다는 걸 전제하면서 데리다는 인공언어[순 논리적-수학적 표기(법)]에 대한 저항[비난]이 형이상학의 로고스중심주의와 음성중심주의의 기본적 성격[전제]를 이루고 있다고 말한다.

이에 대해서: "A grammatology that would break with this system of presuppositions, then must in effect liberate the mathematization of language, and must also declare that "the practice of science in fact has never ceased to protest the imperialism of the Logos, for example by calling upon, from all time, and more and more, nonphonetic writing.""

국역: "이러한 전제들의 체계와 절연하고자 하는 그라마톨로지는 그러므로 언어의 수학적 체계화를 자유롭게 하고 또한 '과학의 실행이 오래 전부터 그리고 점점 더 비음성적 글쓰기에 호소함으로써 로고스의 제국주의에 끊임없이 이의를 제기해왔다'는 사실을 확인해야만 합니다." 인용은 <그라마톨로지>에서 따온 것이다.

나의 번역: "이러한 (로고스중심주의와 음성중심주의) 전제들의 체계들과 절연하고자 하는 문자학은 사실 이제는 언어의 수학화[수학적 언어화]를 거리낌없게 해야 하며, 또한 과학의 실행이 따지고 보면 지속적으로, 그리고 점점 빈번하게 예컨대 비음성적 문자[표기]에 호소함으로써 로고스 제국주의에 끊임없이 이의를 제기해 왔다는 걸 공표해야 합니다."

말하자면 형이상학 이면의 역사가 있었다는 얘기(수학[수학적 표기]은 이 또 다른 역사의 주역이다). 하지만 이 새로운 반전은 천천히 그리고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데리다가 보기에 이 반전[접수]은 거의 끝장을 보기 힘든 과업[infinite task]이다. 자연언어와 비수학적 표기들을 모두 접수[환원]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부의 적: "We must also be wary of the "naive" side of formalism and mathematism, one of whose secondary functions in metaphysics, let us not forget, has been to complete and confirm the logocentric theology which they otherwise could contest."

국역: "또한 그 부차적 기능들 중 하나가 어떻게 보면 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었던 형이상학에 있어 로고스중심적 신학을 오히려 완성하거나 공고히 하는 것이었던 형식주의와 수학주의의 '소박한' 측면에 대해서도 경계해야 합니다."

나의 번역: "우리는 또한 형식주의[형식]와 수학주의[수학]의 '순진한' 측면에 대해서도 경계해야 합니다. 바로 이런 측면이 (제대로였다면 비판할 수도 있었을) 형이상학의 로고스중심적인 신학을 (옆길로 새는 바람에) 오히려 완성하고 확고하게 해왔다는 사실을 우리가 잊어서는 안되는 것이죠."(라이프니츠의 예)

결론: "The effective progress of mathematical notation thus goes along with the deconstruction of metaphysics, with the profound renewal of mathematics itself, and the concept of science for which mathematics has always been the model."

국역: "그러므로 수학적 기호표기법의 실질적인 진보는 형이상학의 해체, 수학의 개념과 그것이 늘 그 모델이 되었던 과학의 개념에 대한 심오한 쇄신과 짝을 이룹니다."

나의 번역: "따라서 수학적인 표기(법)의 결정적인[실질적인] 진보는 형이상학의 해체(구축)과 함께 하는 것이며, 수학 자체와 그것[수학]이 언제나 모델[전범]이 되어 왔던 과학의 개념에 있어서의 근원적인 갱신과 함께 하는 것입니다."

크리스테바의 마지막 질문. 만약 기호의 문제가 과학성[과학을 과학으로 성립시켜주는 근거]의 문제에 걸려 있는 거라면, 즉 이 둘을 분리시켜서 생각할 수 없다면, (기호학에 대한 비판[대안]으로서의) 문자학은 '과학'인가 아닌가, 하는 것. 또 만약에 데리다 당신이 어떤 종류의 기호학적 작업은 문자학의 기획[프로젝트]에 근접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어떤 종류의 것인가?

이에 대한 데리다의 답변: "Grammatology must deconstruct everything that ties the concept and norms of scientificity to ontotheology, logocentrism, phonologism. This is an immense and interminable work that must ceaselessly avoid letting the transgression of the classical project of science fall back into a prescientific empiricism. This supposes a kind of double register in grammatological practice."

국역: "그라마톨로지는 과학성의 개념과 규범들을 존재신학, 로고스중심주의, 음성주의에 연결시키는 모든 것을 해체해야 합니다. 그것은 거대하고 무한한 작업이며 과학의 고전적 계획에 대한 위반이 전-과학적 경험주의에 다시 떨어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그것은 그라마톨로지적 실행에 있어 일종의 이중 기제를 전제로 합니다."(59쪽) '이중 기제'는 '이중 기재[등록]'의 오역인 것 같다.

나의 번역: "문자학은 과학성의 개념과 규준들을 존재신학, 로고스중심주의, 음성주의와 연루시키는[연결시키는] 모든 것을 해체해야만 합니다. 이것은 방대하면서 종결되지 않을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과학의 고전적 기획이 과학 이전의[전과학적인] 경험주의로 추락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저지[경계]해야 하는 것이지요. 이 작업은 문자학의 실행[실천]에 있어서 일종의 이중 등록을 가정합니다."

즉 형이상학적 실증주의와 과학주의를 넘어서야 함과 동시에 형이상학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과학 자체 내의 모든 유효한 작업들을 부추겨야[북돋아줘야] 한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데리다가 보기에 문자학이 '과학'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단순하지 않다: "In a word, I would say that it inscribes and delimits science; it must freely and rigorously make the norms of science function in its own writing; once again, it marks and at the same time loosens the limit which closes classical scientificity."

국역: "나는 한마디로 그것을 과학을 기입하면서 그것의 한계를 뛰어넘는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그 자신의 글쓰기 속에 과학의 규범들을 자유롭고 엄격하게 기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시 한번 말하자면 그것은 고전적 과학성의 영역을 나타내는 경계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완시킵니다."(59-60쪽)

나의 번역: "한마디로, 나는 그것[문자학]이 과학을 기입하면서[새겨넣으면서] 동시에 과학을 (한계)지운다고[과학에 속하면서 과학을 넘어선다고] 말하겠습니다. 그것[문자학]은 과학의 기능에 대한 규준들을 아주 자유로우면서도 엄격하게 작성해야만 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그것[문자학]은 고전적인 과학성을 마감하게 한[울타리 지운] 한계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그 한계를 이완[완화]시킵니다."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모든 과학적인 기호학 작업은 문자학에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One can say a priori that in every proposition or in every system of semiotic research metaphysical presuppositions coexist with critical motifs."

국역: "기호학적 탐구의 모든 명제나 체계에 있어서 형이상학적 전제들과 비판적 동기들은 함께 섞여 있다고 '선험적으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데리다가 거듭 강조하는 것은, 이 둘[형이상학적 전제와 (그에 대한) 비판적 동기/모티브]이 한 언어 속에 공존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맺는 말: "Doubtless, grammatology is less another science, a new discipline charged with a new content or new domain, than the vigilant practice of this textual division."

국역: "그라마톨로지는 틀림없이 또다른 과학이라거나 새로운 내용과 제한된 새로운 영역을 지닌 새로운 학제라기보다는 이러한 텍스트 분할의 세심한 실천일 것입니다."

나의 번역: "두말할 것도 없는 얘기지만, 문자학은 또다른[새로운] 과학이 아닙니다. 즉 새로운 내용, 새로운 영역을 가진 새로운 학문[과학]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것은 차라리 이러한 텍스트 분할[가름]의 세심한[섬세한] 실천이라고 해야 옳을 것입니다."



여기서 '텍스트 분할'이라고 한 것은 한 텍스트 속에서 아군[(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적 동기들]과 적군[형이상학의 전제들]을 배추포기 나누듯이 가려내는 걸 말한다. 그래서 먹을 만한 부분과 버려야 할 부분[벌레먹은 부분(형이상학에 오염된 부분)]을 추려내는 것. 여기에는 아주 섬세한 손길이 필요하다고 데리다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섬나무 2007-11-01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공적인 번역이란 외국어보다 우리 말에 능란해야한다는 것을 제대로 알 수 있는 페이퍼입니다. 로쟈님의 번역물을 알고 싶습니다. 전부터 알고 싶었지만 말입니다.

2007-11-01 16: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1-02 0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쟈 2007-11-02 13:40   좋아요 0 | URL
그 '의문'에 대한 열정을 키워나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