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에 목동 교보에 들렀다가 발견한 책은 지젝과 라클라우, 버틀러 세 사람이 공저한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도서출판b, 2009)이다. 원저 자체는 2000년에 나온 것이니까 좀 됐고, 번역에 대한 소문도 진작에 돌았으므로 좀 뒤늦게 출간된 감도 없지 않다. 그럼에도 여하튼 반갑다. 여름방학 필독 리스트에 한권을 더 추가해놓는다. 아직 리뷰들이 뜨지 않아 출판사의 소개글에서 일부 옮겨놓는다.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이하, <우연성>)은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과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는 이들 세 명의 저자들이 오늘날의 정치적 지형에서 좌파 정치에 필요한 사유의 방향이 무엇인가를 둘러싸고 전개한 철학적이고 정치적인 논쟁을 담고 있다. 책은 각 저자들이 상대방에게 던지고 싶었던 질문들을 기초로 진행되며, 상대를 비판하고 상대의 비판에 대응하는 저자별 3편의 글, 총 9편의 글을 담고 있다.

이 책이 갖고 있는 주요한 의의 중 하나는 사회주의 몰락 이후 좌파적 사유의 주요 방향으로 설정된 우연성과 특수성을 보편성의 견지에서 새롭게 사유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것은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에서 사고되었던 필연성/보편성 대 우연성/특수성의 이분법으로 회귀하는 게 아니며, 오히려 우연성과 특수성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그 속에서 어떻게 보편성이 창출될 수 있는지를 각자의 이론적 렌즈를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책의 제목이 담고 있는 우연성과 보편성은 대립인 아닌 새로운 관계 속에서 모색되어야 할 개념들이며, 라클라우와 무페의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에서 세공되었으며 전통적 마르크스주의로부터 새로운 분기점을 이루어낸 헤게모니 개념은 본질주의적 사유와의 대립 속에서가 아니라 우연성과 특수성이 강조되는 오늘날의 지형 속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특수성과 차이, 우연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는 이론과 실천의 일면적 흐름 속에서 보편성의 자리를 확보하려는 시도, 보편성의 견지에서 그것이 특수성/우연성과 맺는 관계를 새롭게 사유하려는 시도는 <우연성> 내에서 진행된 대화와 논쟁의 구체적 세부에 상관없이 이 책이 갖는 고유한 ‘현재적’ 의의를 직접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09. 06. 30.


P.S. 지젝과 버틀러의 책은 계속 소개되고 있지만, 라클라우의 책은 무페와의 공저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조만간 재번역본이 나오는 것으로 안다)을 제외하면 소개된 책이 거의 없는 듯싶다. 타이틀로 보자면 <해방(들)>이나 <인민주의 이성에 대하여> 같은 책도 번역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