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부터 내내 컨디션을 저조하게 만든 감기가 여전히 낫지 않고 있다(그렇다고 할일들이 자동 삭제되는 것도 아니건만!). 몇몇 관심도서들에 대한 리뷰기사도 뜨지 않고 해서 두리번거리다 흥미를 끄는 영화리뷰 기사가 있기에 옮겨놓는다. '김기덕 감독의 초기작보다 더 강도가 센 <똥파리>가 말하는 한국'이 부제다. <똥파리>는 처음 들어보는데(하긴 필름2.0이 폐간된 이후에 영화잡지를 읽어본 지도 오래됐다), 양익준 감독의 데뷔작이라고. 독특한 영화에 대한 강박도 작용했겠지만 이 "믿을 수 없을 만큼 폭력적인 영화 <똥파리>는 또한 한국이라는 나라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니까 은근 궁금하고 기대된다('동팔이'들만 들끓어보이는 게 요즘 한국사회 아닌가?).

씨네21(09. 04. 08) [외신기자클럽] 폭력적인 영화의 구원 

상상해보시라. 인적없는 해변가. 파란 바닷물에 발을 적시며 당신은 한가로이 거닐고 있다. 갑자기 ‘퍽!’ 하고 정체불명의 돌멩이 하나가 당신의 머리를 정통으로 후려친다. 그게 바로 대략 영화 <똥파리>가 우리에게 주는 느낌이다. 부산에서 만난 이 영화는 한국에서 개봉되기 전 이미 유럽 여러 영화제에서 선을 보였다.

도입부. 웬 애송이 녀석 하나가 한 소녀의 뺨을 연거푸 갈긴다. 그러자 어디선가 두 어깨가 시야로 튀어들어온다. 그 어깨의 주인공은 앞의 애송이를 반쯤 죽여놓는다. 그러고는 돌아서서 소녀의 얼굴에 침을 탁 뱉는다. 그로부터 얼마 뒤. 그 사내는 우연히 한 여고생과 마주친다. 한눈에 반했음이 분명하다. 왜냐고? 사내가 여고생의 얼굴에 침을 뱉고 한대 갈기니까. 그녀도 그런 사내에게 반한다. 관객이 그 남자를 어떻게 생각하든 영화는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영화를 계속 보려면 관객은 어찌됐든 무조건 그 사내를 쫓아다녀야 한다.  



양익준 감독이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과 연기를 한 영화 <똥파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를 창출하고 있다. 이 작품에 사용된 언어는 한마디로 욕지거리의 일제사격이라 할 수 있다. 말로 의사소통을 하는 게 아니라 주먹으로 한다. 초반 15분이 지나면 관객은 비로소 이 희한한 의사소통법을 해독하기에 이른다. 장면 하나 하나, 따귀 한대 한대가 계속되면서 영화는 서서히 인물의 겉껍질을 벗긴다. 마치 강도가 금고를 드릴로 뚫듯이. 영화 시작하고 두 시간이 경과한 뒤 영화는 마치 공중곡예를 한 듯 180도 회전해 있다. 처음 관객에게 보여진 인물들의 정체가 그와는 정반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가해자가 사실은 진짜 피해자였고, 겉보기에 강했던 인물들은 알고 보면 한없이 약한 인물들이었다.

믿을 수 없을 만큼 폭력적인 영화 <똥파리>는 또한 한국이라는 나라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양익준 감독은 폭력성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20세기 후반부 한국의 역사를 재조명한다. 이 영화에는 전기파가 움직인다. 전쟁터를 지나 데모진압 현장으로, 가정폭력으로, 그리고 청소년의 비행으로… 이렇게 폭력과 공격성은 유산으로 물려 전해진다. 하나의 스타일을 만들어가던 김기덕 감독의 초기 작품에 나타나는 폭력성보다 더 거친 영화 <똥파리>, 이 작품에 나타나는 폭력성은 끔찍한 의문 하나를 관객의 눈 속에 던져놓는다. 만일 폭력과 식민, 전쟁과 분단을 벗어난 한국을 아는 한국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고 가정한다면, 폭력성이 한국이라는 나라의 정체성 혹은 본성을 이룬다는 말인가? 다행히 <똥파리>는 결말 부분에 구원의 길을 열어놓긴 하지만 말이다.

양익준 감독의 처녀작인 이 영화는 현재 영화제작의 전반적 추세와 완전히 결별한다지만, 동시에 한국영화의 전통선상 위에 그대로 놓인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즉, 이 영화에서는 계속 반복되는 처절한 운명, 가정의 분열,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장녀 등 기존의 전통적 구조들이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재창조된다. 이미 잘 알려진 그러한 구조들 모두가 이 작품에 그대로 나타나는 건 사실이지만, 동시에 그 모든 것들이 이 작품 속에서는 다르게 표현된다. 나운규 감독에서 장선우, 김기덕을 거쳐 박찬욱 감독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폭력성 자체가 한국영화의 역사를 그 기원에서부터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폭력성은 대개 여자들을 강간한다거나 그녀들의 매춘, 심지어는 근친상간 형태로 표현된다.  



이와는 반대로 <똥파리>에서 성(性)문제는 더이상 없다. 이 작품을 위해 새로 발탁된 배우 김꽃비, 그녀가 맡은 역은 여고생이다. 이미 여자가 되어버린 소녀, 창녀라기보다 어머니랄 수 있는 이 인물은, 다른 영화에 흔히 나오는 롤리타와 비교해볼 때 훨씬 더 복잡하고 미묘한 욕망의 대상이다. 한국의 수놈이란 늘 가슴팍을 떡 벌리고 심각한 목소리로 말하면서 눈썹을 잔뜩 찡그린다. 하지만 그런 한국 사내가 갈망하는 건 오로지 하나다. 그건 오목한 치마폭에서 느끼게 되는 여자의 허벅지가 주는 따뜻한 온기다. 그것도 사내다움을 한껏 표현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한강변에 앉아 엉엉 울고 싶은 마음에서.(아드리앙 공보_포지티브 기자/영화평론가)  

09. 04. 08.   

P.S. 소개를 보태자면 "독립영화계의 스타 배우 양익준의 첫 번째 장편영화 <똥파리>가 로테르담국제영화제에서 ‘VPRO 타이거’ 상을 거머쥐었네요. 사채 거둬들이는 용역 깡패와 여고생의 관계를 그린 이 영화는 영화제 유일의 경쟁부문으로 데뷔작을 소개하는 ‘밝은 미래’ 섹션에 초청돼 이란영화 <소년과 바다>, 터키영화 <니쁜 로자리오>와 함께 타이거상을 공동 수상했다는군요. 양익준 감독은 시상식에서 “로테르담, 아이 러브 유! 네덜란드, 아이 러브 유!”라고 외치면서 기쁨을 숨기지 않았다는데요. <똥파리>의 개봉이 4월 중순. 기다리긴 너무 먼가요. 한국영화가 로테르담에서 타이거상을 받은 것은 홍상수 감독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박찬옥 감독의 <질투는 나의 힘>에 이어 세 번째랍니다."(장미, '<똥파리>, 국제무대에서 비상하다') 

P.S.2. 전직 대통령 가족이 재임중에 뇌물성 돈을 받았다고 한다. 사법처리까지 가게 될는지는 지켜봐야겠지만, 그리고 좀 유감스러운 일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론 나쁘지 않은 소식이다. 검찰이 '살아있는 권력'이나 자기들 비리만 아니라면 누구라도 건드릴 수 있다는 게 분명해졌으니까. '전임' 따위는 권력도 아닌 것이다. 이제 4년 남짓만 기다리면, 지금 당장에 보고 싶은, '동팔이'들의 말로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은근 기대된다. '전임' 따위는 X도 아니니까... 


댓글(0) 먼댓글(1)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양익준 감독 인터뷰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09-04-15 22:22 
    지난주에 소개기사를 옮겨놓기도 했는데,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가 내일 개봉한다고 한다. 동네 CGV에서는 상영을 하지 않아서 언제, 어떻게 봐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여하튼 몰상식한 뉴스들만 쏟아지고 있는 터라(오늘도 어이없는 언론탄압 기사들이 떴다) 최소한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한번쯤 보고 싶다. 감독 인터뷰 기사가 눈에 띄기에 스크랩해놓는다.   고대신문(09. 04. 06)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