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인보'는 고은 시인의 연작시집 제목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자화상 시리즈의 이름이기도 하다. "희망과 괴로움, 꿈과 두려움 사이에 있는 젊은이들의 자화상을 담은"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가 출간됨으로써다. 첫 세 권이 나왔는데, 목표하는 '만인의 자화상'을 어디까지 담아내게 될지 궁금하고 기대가 된다. 소개기사를 스크랩해놓는다.


신민영·김담·한윤형 (왼쪽부터)

경향신문(09. 04. 04) 메마른 시대 적시는 촉촉한 삶  

극심한 경쟁의 시대다. 경쟁에서 뒤쳐지면 바로 낭떠러지다. 나이 든 ‘꼰대’들은 자녀가 경쟁에서 뒤쳐질까 노심초사하며 ‘승자’가 되기를 강요하면서도 “요즘 것들은 당최 낭만이 없어”라거나 “젊은 애들이 도대체 무슨 생각이나 하고 사나”라고 한탄한다. 모순이다. 고등학생 아들·딸이 소설책을 들고 있거나 친구들과 수다를 떨고 있을라치면 “그 시간에 영어단어 하나라도 더 외워야지”라고 닥달을 하면서 생각은 무슨 생각이람.

그러나 낭떠러지에서도 풀과 나무는 자라는 법이다. 숨막히는 사회구조를 만들어 놓은 꼰대들이 보기엔 한낫 잡초처럼 보이는 ‘어린 것’들이 좌충우돌 꾸며온 대안적인 삶을 자서전으로 펴냈다. 물론 그들의 삶은 아직 미완이다. 하지만 자그마한 불씨에도 홀라당 타버릴 정도로 건조한 시대를 살면서도 나름의 ‘습기’를 간직해온 그들의 삶은 우리 사회의 또다른 자화상이다. 



신민영(31)은 자신이 그리는 사회를 <신호등 건너기 게임>으로 명명했다. 규칙은 간단하다.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에서 일등으로 빨리 건너는 게 아니라 길 건너는 사람 가운데 가장 늦은 사람과 나란히 건너거나 조금 빨리 건너기만 하면 보상(안전한 횡단)이 주어지는 게임이다.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 입학, 레게 머리의 국회의원 비서관, 사법시험 합격, 미용실 원장 등 범상치 않은 이력을 지닌 신민영. 그는 “어떻게 보면 나는 공교육의 승자이자 이상형이지만 공교육이란 질문을 허용하지 않는다. 스무 살이나 먹었는데, 좋아하는 일을 찾아야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아무리 고민해도 모르겠더라”라며 방황담을 털어놓는다.

 

386세대에 속하는 여류 소설가 김담(43)은 자신의 삶을 <그늘 속을 걷다>로 요약했다. 그는 한국전쟁 때 상당기간 인민군에 점령됐다가 다시 대한민국 영토가 된 ‘수복지구’ 강원도 고성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시절 경기 성남으로 이주, 활화산이 폭발하는 듯 숨가빴던 1980년대 중반 대학을 다녔다. 가난했지만 풍요로운 강원도 산골에의 삶에 젖어 있던 그에게 도시 빈민으로서의 삶, 화염병과 구호가 난무하던 대학생으로서의 삶은 언제나 모래를 씹는 듯 부자연스러웠다. 그는 마침내 94년 낙향, 숲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가 쓴 소설 원고는 책상 한쪽에서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지만 언제가 됐든 <태백산맥>에 버금가는, 한국전쟁 전후를 다루는 대하소설을 쓰는 꿈을 키워가고 있다. 



복학생 한윤형(27)은 인터넷에서 거침없는 내용의 게시물(욕설이나 악플 포함)을 올리는 데 열을 올리는 ‘키보드 워리어’로 자신을 칭했지만 실은 아흐리만, 멜코르, 세리핌 등의 ID로 인터넷 정치 게시판을 종횡무진 해온 ‘논객’이다. 주요 공격대상은 조선일보였다. 고교생 시절 서울대와 조선일보가 공동주최한 논술대회에서 1등을 한 그를 찾아온 조선일보 기자에게 인터뷰 거부를 선언하는 그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투쟁기’를 <키보드 워리어 전투일지 2000~2009>로 기록했다. 그는 “스물일곱이 된 지금까지도 질풍노도다. 십여년간 인터넷 세상에서 신나게 놀았는데 갑자기 눈을 뜨고 여기저기 돌아보니 내 몸 하나 누일 곳이 없다”고 고백한다. 솔직하다. “원래 죽어야 하는 이유는 심오하고, 살아야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면서 낙관을 피력한 그가 이십여년쯤 지난 뒤 자서전을 낸다면 어떤 제목이 될지 궁금하다.(김재중기자)  

09. 04. 05.


댓글(0) 먼댓글(2)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나의 이야기는 곧 나다"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09-07-12 14:04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텍스트) 2차분이 출간됐다. 이 시리즈의 필자로 일찌감치 낙점된 터여서 나도 비슷한 형식(분량)의 자서전을 조만간 쓰게 될지 모른다. 사실 시집이라는 형식을 빌어서 과거에 자전적인 단장을 책으로 여러 차례 묶은 적이 있지만(이 서재에도 그 흔적이 일부 옮겨져 있다) 정색하고 '자서전'을 쓰는 건 내키지 않을 뿐더러 흥미로운 일도 아니어서(나는 '흥미로운 삶'을 살지 않았다, 혹은 살고 있지 않다!) 주로 내가
  2.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11-08-13 08:52 
    도서출판 텍스트에서 펴내는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시리즈의 6차분이 출간됐다. 우리 시대 각 방면의 '20-30대가 쓴 자서전'이다. 오랜만에 이 시리즈에 주목한 기사가 뜨기에 옮겨놓는다.서울신문(11. 08. 13) 치열하게 살았는데 화려하진 않네요, 괜찮죠?요즘 출판계를 비롯한 한국 사회의 화두 가운데 하나는 ‘88만원 세대’ ‘삼포세대’(연애·결혼·출산 포기) 등으로 불리는 20~30대 젊은이들이다. 한때는 ‘신세대’ ‘N세대’ ‘X세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