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영혼 - 오늘의 작가 2
정찬 지음 / 세계사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에 대해서 지인들에게 장광설을 늘어놓은 적이 있다. 정찬의 <그림자 영혼>은 그 연장선상에서 읽은 작품인데, 솔직히 먼저 읽지 않은 상태에서 읽기를 권한 작품이었다. 이른바 소설은 <악령>에 대한 정찬식 '다시쓰기'인데, <변신>의 최수철식 다시쓰기였던 최수철의 <매미>와 마찬가지로 별반 재미를 보지 못했다. 내 생각에 이 두 소설은 모두 부도덕하다.

밀란 쿤데라의 말을 따르자면, 인간 실존의 어떤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지 못하는 소설은 부도덕하다. <그림자 영혼>을 읽고 내가 새롭게 깨달은 것이나 발견한 것이 없으니 (적어도 나에겐) 충분히 부도덕한 셈이다. 한국 작가들을 폄하해서 하는 얘긴 아니지만, 이야기(서사성)가 강하면 깊이가 없고, 주제가 무거우면 이야기가 실종되는 걸 여러 차례 목도하게 되는데, 정찬의 관념소설인 <그림자 영혼>은 당연히 후자이다. 이 소설엔 소설의 실체는 없고 그림자만 어른거린다.

연극무대로서의 페테르부르크에 대한 김일우의 장광설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김일우가 러시아문학 전공자이고, 또 연극이라는 테마가 연극으로서의 삶, 정신분석(의식/무의식의 드라마)과 연계가 되기 때문에, 충분히 동기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어떤 인물이 앵무새처럼 맑스철학은 떠든다고 해서 그가 맑스를 표절했다고 볼 수 없듯이, 러시아 기호학자 로트만의 문화론을 들먹인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건 아니다.

다만, 이 소설의 줄거리를 형성하는 부친살해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프로이트의 창안이지 정찬의 그것은 아니지 않는가라는 점. 작가는 그런 점에서 너무 편한 구도를 선택했고, 인물의 복잡성을 전혀 복잡하지 않게 묘사함으로써 단순화시켰다. 더불어 신을 (인간이나 크게 다를 바 없는) 존재자의 일종으로 취급함으로써, 신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정신분석의 대상으로 격하시켰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김일우는 나다'라는 명제가 독자에게 가능하지 않도록 그를 일탈적인 인물로 제시함으로써 독서의 재미를 반감시켰다.

재미있는 부분(?)이 아주 없지는 않다. 김일우의 자살 소식을 듣고 '나'는 그의 집을 찾아가서 점심 대접을 받는데, 그런 상황에서 점심 식사 얘기가 나오는 것도 좀 우습긴 하지만, '점심식사는 곧 시작되었다. 풍성한 식탁은 아니었지만 씀바귀, 버섯무침, 간장에 절인 매실 등이 입맛을 돋구었다..'(158쪽) 같은 대목은 실소를 자아내게 한다. 이 정신과 의사의 정신상태가 의심스러워지기에. 덕분에 이 소설은 전혀 입맛을 돋구지 못한다.

작가도 그 점을 시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직하긴 하다. 시종 화자는 자신의 무능력을 변명하고, 작가는 후기까지 붙여놓고 있다. 즉 이 소설은 <악령>을 베낀 것이라고. 일종의 축소 번안소설일 테다. 하지만, <악령>의 재미마저 축소 변질된 것은 유감스럽다. 그래서?

'나는 그의 의사가 되기를 원했지만, 유감스럽게도 그에게는 물론 나 스스로에게도 의사가 되지 못했다. 나의 자괴감은 여기에 있다.'(171쪽) 화자은 이 작품에서 의사(=작가)가 되길 원했지만, 유감스럽게도 그렇게 되지 못했다. 자괴감을 가질 만하다!

'보고서의 방향과 결론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독자들도 있을 줄 안다.'(170쪽). 우리의 작가는 아주 정직하다. 당연히 독자로선 못마땅하다. 그는 심리학이 아니라 윤리학을 붙들고 늘어졌어야 했다. 따라서 결국 이런 결말에 이르는 것은 필연이라 할 것이다.

'지금 나는 한잔의 술을 앞에 놓고 연구실의 어두운 창가에 앉아 있다. 보고서를 작성해 나가면서 내가 느꼈던 캄캄한 무력감과 함께, 참으로 다행스럽게도 한잔의 술이 내 곁에 있는 것이다.'(172쪽). 여기서 작가의 비밀을 엿볼 수가 있다. 그에겐 무력감과 함께 한잔의 술이 있었던 것이다! 이제 오스카 와일드의 말을 조금 수정할 때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이런 작품들은 집어던지고 싶다. 이런 걸 읽음으로써 더이상 고통받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