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
에른스트 곰브리치 외 지음, 정진국 옮김 / 민음사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아주 오래전에 <장난감 말에 대한 명상>이란 에세이가 내가 접한 곰브리치의 유일한 글이었다. 얼마전 필요 때문에 곰브리치의 <예술과 환영>을 찾았는데, 뜻밖에도 절판이었다. 국내에서는 <서양미술사>로 번역된 그의 <미술 이야기The Story of art>가 스테디셀러로 팔려나가고 있는 것에 견주어볼 때 의아한 일이지만, 어쨌든 그 책을 서점에서는 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일단 대신 손에 든 것이 이 책 <이미지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이다. 책은 미셸 푸코의 전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디디에 에리봉과 곰브리치와의 대화이다. 그러니 보다 정확하게는 '곰브리치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이라고 해야 할까.
그가 들려주고자 하는 것은 미술사가로서 자신의 학문적 자화상이다. 세 장으로 구성돼 있는 책의 1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그의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어린시절과 학창시절, 그리고 2차 대전시 영국 런던에서의 피난생활 등이다. 전시에 그는 BBC의 독일방송 통역원으로 일했는데, 히틀러의 사망소식을 다우닝가의 처칠에게 전달한 메신저 역할을 했다고. 안정된 직장이 없던 차에 우연한 계기로 쓰게 된 <미술 이야기>는 뜻밖의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그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놓는다(청소년을 위한 미술사로 기획된 대중적인 그 책을 그의 동료들은 거의 읽지 않았다고 한다!).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로 임명된 것. 이후의 삶은 비교적 탄탄대로였다.
2장, 3장에서는 '미술이란 존재하지 않고, 다만 미술가만이 있을 뿐이다'란 표현으로 시작되는 <미술 이야기>에서부터 대화가 진행되면서 그의 학문적 관심과 방법에 관한 얘기들이 오고간다. 특이하게도 그는 동물행동학자인 로렌츠와 틴버겐의 영향을 언급하는데, 미술사학자로서는 유일하게 동물학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한다: '내 접근 방식은 항상 생리학적인 것입니다. 나는 항상 모든 것의 뿌리를 잡고 싶습니다.'(149쪽)(조류의 <각인행동>을 <자취>로 옮긴 것은 옥의 티이다.) 더불어서 그는 독일적 미술사의 전통을 대변했던 파노프스키와 자신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친절하게 해명하고 있는데, 예술을 어떤 시대정신으로 환원하려는 시도에 대해서 그는 끝까지 반대한다. 그가 보기에 예술은 창조적 개인의 소산이다. 포퍼주의자(Popperian)로서 그는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지지하는 듯하다.
역사가로서 그는 역사가 <정확한 과학>(엄밀한 과학)이 될 수 없음을 시인한다(그런 의미에서 그의 주저가 그냥 <미술 이야기>란 제목을 달고 있는 것은 겸양이 아니다): '사실상, 나는 동료들에게 우리가 아직도 미술사를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209쪽) 다만 합리적 포퍼주의자로서 그가 기대하는 것은 위대한 예술가들에 대해 감탄하면서 예술작품을 더 잘 보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과연 우리는 아는 만큼 감동받는 것인지?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은 에필로그에서의 그의 마지막 말이다. 미술사가로서 수호하려는 가치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서유럽의 전통 문명>이라고 간단히 말한다: '미술가는 우리 문명의 대번인입니다.... 위대한 예술에서 위로를 받지 못한다면 삶은 참을 수 없는 것이 되겠지요. 이런 과거의 유산과 접촉할 수 없는 사람들을 안타갑게 생각해야겠지요. 모차르트를 들을 수 있고 벨라스케스를 볼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해야 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측은히 여겨야 하겠지요.'(213쪽) 측은한 축이 아닌 감사하는 축에 들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곰브리치를 좀 읽어야겠다!(그런데 이 책도 절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