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21
가라타니 고진 지음, 송태욱 옮김 / 사회평론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고진의 책들이 번역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더 번역될 것이고, 번역될 필요가 있다. 최소한 그의 책을 읽으면 독자는 좀더 똑똑해지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이유에서만으로도. 최근에 무하마드 알리에 관한 자전적인 영화가 헐리우드에서는 만들어진 모양인데, 고진이야말로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쏘는'특기를 가지고 있다. 그는 가볍고 경쾌하지만, 정확하고 진지하다.

<윤리 21>은 가라타니 고진의 칸트 다시 읽기이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이 책은 칸트론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자신의 사유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칸트와 대면했을 뿐이라고 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의 책은 칸트의 도덕론/윤리학에 대한 아주 재미있는 입문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고진은 도덕이란 말을 공동체적 규범이란 의미로 사용하고, 윤리를 '자유'라는 의무와 관련된 의미로 사용한다. 이것은 그만의 독특한 어법이며, 그에 따르면 칸트가 말하는 도덕은 윤리를 뜻한다. 나는 흔히 절대론적 윤리설, 형식주의적 도덕론 등으로 분류되는 칸트의 도덕론에 대해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좀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것은 고진의 시각을 통해서 칸트의 도덕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선 그는 칸트의 원전을 직접 읽어도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 가령 순수이성비판에서 말하는 자연세계에서의 인과율과 실천이성비판에서 말하는 도덕적 당위의 주체로서 인간이 가지는 자유(의지)가 어떻게 양립될 수 있을까 하는 물음 등에 대해서 글의 서두에서부터 아주 간명하게 규정/해결하고 있다.

'칸트가 말한 지상명령이란 '자유로워지라!'는 명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한 명령 혹은 의무에 의해 비로소 '자유'라는 차원이 나온다. 그것은 원인에 의해 규정당하는 세계로부터는 나오지 않는다. 혹은 인식의 차원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자유로워지라'는 명령은 동시에 타자도 '자유로운' 주체로 취급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칸트는 스스로 '자유롭다'는 것, 나아가 '타자를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동시에 목적(자유로운 주체)로서 대하라', 라는 것을 보편적인 도덕 법칙으로 삼았다.'(<머리말>)

다소 길게 인용되었지만, 이것이 고진이 말하는/이해하는 칸트 도덕론의 핵심이다. 그에 따르면,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기정립은 '자유로워지라는' 명령에 복종하는 한에서만 가능하다. 고진은 그 명령/의무를 사르트르의 '인간은 자유라는 형벌에 처해졌다'는 표현과 연관짓고 그러한 바탕에서, 마르크스를 코뮤니스트로 다시 읽어낸다(사르트르와 맑시즘의 관계도 다시 생각해볼 일이다). 그때의 코뮤니즘이란 타자를 수단으로 하면서 또한 목적으로 대하는 사회적 관계에 근거한다. 이 코뮤니즘을 통해서 '독일 사회주의의 진정한 창시자'인 칸트와 마르크스는 만난다.

'따라서 코뮤니즘에 대해서는 임노동(노동력 상품)의 폐기가 핵심이다... 임노동의 폐기란 바로 '타자를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하라'고 한 말의 현실적인 형태다. 마르크스에게 그것은 '지상명령'이었다. 그것은 결코 자연사적 필연이 아니다. 오히려 자연사적으로 보면 자본주의적 경제는 영원할 것이다. 그것은 폐기하는 것은 윤리적인 개입이다. 즉 그것은 '자유'의 차원에서만 오는 것이다.'(189쪽)

내 생각에, 이 대목에 고진의 칸트와 마르크스론이 집약돼 있다. 여기서 일차적 폐기처분되는 것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 따위를 주장하는 사적 유물론이다. 고진이 보기에 칸트와 마르크스는 그런 인과율의 과학을 말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들에게서, 특히 마르크스에게서 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을 읽어내려는 시도는 무망하다. 그의 정치학은 곧 윤리학이며, 그것은 자유로운 인간의 실천과 책임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자본제 단계로부터 코뮤니즘으로의 발전은 결코 역사적 필연'이 아니다.(191쪽) 자본주의(=인과율)로부터 코뮤니즘(=자유)로의 이행은 오로지 실천적(윤리적)으로만 가능하다! 그런데, 우리는 정작 그런 자유를 원하기는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