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티호모에렉투스
박동환 지음 / 길(도서출판)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박동환 교수의 이름을 처음 (들어)본 것은 오래전 연대 다니던 동생이 들춰보던 <서양의 논리, 동양의 마음>이란 책에서였다. 나는 대학에 좀 다녀본 나이였고, 그런 식의 이분법에 매력보다는 거부감을 느끼던 터여서,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은 들지 않았다. 다만, 논리적이라기보다는 아포리즘적인 책이었던 것 같은 기억만 남아 있다.
그리고 어쩌다 집어든 책이 <안티호모에렉투스>이다. 책의 겉모양새는 그다지 책다운 품새를 갖추고 있지 않은데, 유감스러운 것은 내용 또한 그렇다는 것이다. 저자는 책머리에 '이것은 책으로 엮을 만한 것이 아니다.'라고 적고 있는데, 이건 정말 겸양의 말이 아니다. 그가 보기에 동서양의 철학사 2500년, 혹은 약 3000년은 '고고학자들이 가리키는 적어도 백수십만 년전 호모에렉투스의 출현과 그 증명된 생존 양식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이 '호모에렉투스로부터 현대철학자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하나의 긴요한 생명행태로서 탐구행위가 '해답의 논리'로 (이 책에는?) 간추려져 있다.' 이것은 아마도 가장 방대한, 그리고 유일무일한 철학적 스케일을 자랑할 만한 프로젝트일 것이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가 하나의 책으로 육화되어 있지는 못하다. 그것이 유감의 이유이다. 적어도 그러한 프로젝트가 육화되기엔 (질문과 응답을 빼고) 150쪽 남짓한 분량은 가소로울 수 있다. 선문답이 아니라면.
동서양의 철학사 전체를 '고생태학으로 함몰하는 철학사'로 간단하게 처리하는 것은 장자를 떠올리게 할 만큼 대범하지만, 그것은 도통한 사람의 일이지 철학자의 일은 아닐 듯싶다(나는 저자가 철학을 왜 천문학과는 대질시키지 않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그렇듯 대범하게 철학사를 주무르는 저자가 독자에 대해 그다지 배려하고 있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영어로 된 두 편의 논문을 포함해서 한문(중국어)과 희랍어 등이 본문과 주석에 어지럽게 펼쳐져 있어 어지간한 교양 정도는 아주 난감하게 만든다. 굳이 본문의 논리를 따라가는 건 논외로 하더라도.
제자들과의 '질문과 응답'은 그래도 책에서 가장 읽을 만한 부분인데, '상식적인' 제자들의 첫 질문은 이렇다. '문제는 과연 그것을(저자의 3표 철학) 학이라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학문이란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 ]로의 함몰'에는 다른 탐구주체와의 만남 내지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126쪽) 하지만, 스승은 개의치 않는다. 그래서 '선생님의 철학은 이제 알았다 싶어서 다시 뵈면 또 저만치 가 계시고 그런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156쪽)
그것은 아마도 제자들의 격이 너무 낮은 데서 비롯한 듯도 하다. 저자는 돌아가신 성철 스님이나 혜암 스님 정도의 분들과 삶과 철학을 논함이 마땅할 것이기에. 득도하지 못한 사람은 도인들의 경지를 그저 질투할 따름이다. 따라서 이 책에 별 하나만을 주는 것은 나의 정당한 권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