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들의 대한민국 1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2001년의 마지막날에 쫓기듯이 책을 읽는다. 이 해가 가기 전에, 그리고 새해를 맞기 위해서. 월드컵의 해라고도 하고, '전쟁의 해'가 되리라고도 한다. 그리고 아마 선거의 해가 되리라. 지난 대선에서의 감격이 5년 동안 하강곡선을 그려왔지만, 새해에 그것이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리란 보장은 별로 없어 보인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다급하게 책을 읽는다. 박노자가 그린 '한국사회의 초상'을 읽는다. 장담하지만, 이 '초상'은 좀 뒤늦게 등장한 올해의 책으로서 손색이 없다.

러시아인 블라디미르 티호노프에서 현재는 귀화하여 한국인이 된 그의 책을 읽으며(나는 그의 책을 꽤나 고대했었다), 나는 책의 부제가 말해주는 대로, '서로 잡아먹기를 탐내는' 이 전근대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아주 돼먹지 않은 나라, 대한민국에 사는 것이 속상하고 부끄러우면서도 한편으론 자랑스럽다. 그가 보기에 남한 사회는 권위주의와 차별의식으로 똘똘 뭉쳐진, 북한보다 그다지 나을 것도 없는 사회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그의 시각이 냉소가 아니라 뜨거운 비판이라는 데 있다. 그것이 뭔가 치부를 들킨 듯한 우리를 부끄럽게 하고 낯뜨겁게 한다. 하지만, 좀 있으면 목구멍이 뜨끈해진다.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거대한 뿌리>)라고 비숍 여사와 '연애'를 하고 난 시인 김수영은 뜨끈해진 목소리로 말했다. 이어서 '버드 비숍 여사를 안 뒤부터는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역사는 아무리/ 더러운 역사라도 좋다'고도. 왜? 그것은 그에겐(=우리에겐)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추억이' 있기 때문이(었)다.

이 낯선 러시아계(?) 한국인(!)의 책에서 나는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비판' 정신을 본다. 그리고 아직 그런 정신이 우리 사회에 살아있구나 하는 대견함과 안도감에서 나온 자랑스러움을 느낀다. 그것은 이창동의 영화 <박하사탕>을 몇 번씩 되돌려 보면서 속으로 흐느끼다가도 한편으로 이 감독과 영화가 대견스러워 가슴이 먹먹해지는 것과 같은 종류의 것이다.

가령 그의 비판은 이렇다. '대공분실에서 '통닭구이'나 재계에서 돈 뜯어먹기밖에 할 줄 아는 것이 없는 (우리의) 정치인에게 남은 생존방식은 딱 하나다. 바로 '핫바지'나 '우리가 남이가' 같은 '화두'를 들어 '전라도 빨갱이'를 때려잡는 무용담을 나누는 것이다.'(95쪽) 그런 비판이 우리 사회에 아주 없지는 않았지만, 이만한 진폭과 열기를 동반한 비판은 드물었다.(택시 운전사 홍세화와 'B급 좌파' 김규항 정도를 떠올릴 수 있을까?) 아마도 그래서 눈에 띄었을 것이다. 몇 년전 한겨레 지면에 낯선 필자의 칼럼이 연재됐을 때부터 나는 그의 글들을 주의깊게 읽어왔다. 한국의 사회와 역사에 대해 나보다 박식한 그에게 주눅들기도 하면서. 이제 그 감동을 여러 사람과 공유할 수 있어서 반갑고 다행스럽다.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세대들이 읽었으면 싶다. 특히, 남한도 북한도 다 싫지만, 이민갈 생각은 없는 사람들은 반드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