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42
홍기빈 지음 / 책세상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부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의 일부 교수들이 교육 내용을 하버드의 경제학과와 똑같이 만들자고 주장하는 믿기지 않는 소문이 있다고 한다. 저자가 전하고 있는 소문이다. 저자는 왜 그런 주장이 터무니 없으며 무책임한 주장인지(더불어 무식한 주장인지) 이 책을 통해서 설득력있게 밝혀놓고 있다. 그 일부 교수들에겐 아마도 '다른 경제학'에 대한 상상력이 부족했던 것이리라.

비교문학과에 재직중인 철학자 로티의 출세작 <철학과 자연의 거울>(왜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이란 어색한 제목을 달고 출간됐는지 모를 일이다)을 읽으며, '철학이 가지 않은 길'에 생각이 미친 일이 있다. 인식론 중심의 철학, 즉 철학을 자연의 거울로 정향시키고자 했던 근대 철학의 기획이 필연적인 것이 아니었다면, 그래서 전혀 다른 철학이 가능했다면, 그 다른 철학은 어떤 것이었을까라는 생각 말이다. 그 생각은 즐거움과 씁쓸함을 동반한 것이었는데, '이렇지 않을 수도 있었다!'라는 것이 즐거움의 내용이라면, '근데, 이렇게 되고 말았어!'라는 게 씁쓸함의 내용이었다.

그런 즐거움과 씁쓸함을 신진 경제학도의 도발적인 문제제기를 담은 이 책을 읽으면서도 다시 한번 느꼈다. 그리고 그 가지 않은 길을 떠올렸다. 이번엔 경제학이 가지 않은 길! 그 길은 어떤 길인가? '경제학의 근본적 재구성'(10쪽)의 길이다. 그리고 그 길은 '경제 발전, 대량 소비, 산업 고도화, 자본 축적 등을 신봉하고 있는 현대의 경제적 패러다임이 주관적, 객관적 한계에 직면할 날이 다가오고 있다는 징후가 도처에 나타나고 있다'(162쪽)는 진단에서 떠올려지는 길이다. 저자는 그 길의 안내자로서 '경제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내세운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르면, 인간 욕망의 무한성과 재화의 희소성이라는 현대 경제학의 두 전제는 상대화된다. 즉 전혀 다른 경제학이 가능한 것이다!

그 다른 경제학을 프락시스의 경제학이라고 이름붙일 수 있을까? 아리스토텔레스가 '무언가를 생산하는 행위'라고 정의한 포이에시스가 가치합리성이 배제된 목적합리적 행위라면, 프락시스는 '행위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행위'로서 그 자체로 즐거움을 지향하는 행위이다. 즉 행복한 생활을 구성하는 행위이다. 그리고 단적으로 말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보기에 '인생은 포이에시스가 아니라 프락시스이다'(112쪽) 그런데 그동안 우리는 포이에시스, 포이에시스적 경제학(=돈벌이 경제학)에 얽매여 살아왔던 것이다(우리는 시적인 삶을 살아왔던가?!). 그것이 저자가 부추기는 반성의 내용이다.

책의 마지막 장에서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후예들을 간략하게 거론한다. 거기엔 마르크스와 베블린, 폴라니, 그리고 케인스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그리고 물론 저자 자신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저자에 대한 기대의 표시이다. 경제사상사의 윤곽이 아닌, 박진감 있는 프락시스 경제학의 그림을 마저 완성할 책임이 그 후예들에게는 있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