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학 - 호라티우스 시학.플라톤 시론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문예출판사 / 1999년 4월
평점 :
절판
필요 때문에 시학을 다시 읽게 되었다. 물론 이 서평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아니라 그 우리말 번역이다. 손명현 선생의 번역 이후로 <시학>은 적어도 너댓 종 이상의 우리말 번역본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천병희 선생의 번역은 그 중 가장 표준적이라 할 만하다. 기본적으로 희랍어 원전을 번역했다는 점에서도 그러하고, 권위있는 역자의 자세한 주석이 달려 있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쉽게 읽히는 건 아니다. 대개의 고전이 그러하듯이 <시학> 또한 널리 알려져 있으면서도 거의 안 읽히는 책의 하나이다. 아마도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루고 있는 작품들 가운데 대부분이 이미 전승되고 있지 않다는 데 가장 큰 이유가 있을 듯하다. 더불어 강연을 옮긴 것이어서 군데군데 곁가지 이야기들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도 독해를 까다롭게 한다.
즉 저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우리 시대 독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적 바탕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고, 따라서 그에 대한 우리의 이해 역시 빈약하기 마련인 것이다. 고전 문헌학도가 아닌 이상 방대한 주석을 따라가면서 자구 하나하나를 음미해 볼 만한 처지도 못되는 것이고(예림기획에서 나온 주석본이 좀 도움이 된다).
다만, 시학의 줄거리를 간추려 보고, 그것이 문예비평사에서 갖는 의의만큼은 우리가 충분히 헤아려볼 수 있다. 가령,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의 요소들 중에서 왜 플롯을 가장 강조하여 설명하고 있는가(사실 플롯론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비극의 정의는 무엇이고 그것은 어떤 기능을 갖는가, 비극은 왜 역사보다 더 철학적인가 하는 등의 문제들에 답해볼 수 있는 것이다. 그나마 이 정도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것도 이 정도 수준의 번역이 있기 때문이리라.
더불어 이 책은 호라티우스의 <시학>과 함께 플라톤의 <국가> 중 시론에 해당하는 부분(시인추방론이 역설되고 있는 부분)을 옮겨 놓고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누구와 대결하고 있고, 또 그의 생각이 어떻게 후대에 이어지는가를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때문에 여전히 일반 독자들에겐 잘 읽히지 않을 책이지만, <시학>에 대한 가장 표준적인 번역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혼의 대하여>에 얼마 전에 번역 출간되었는데, 과연 아리스토텔레스의 또 다른 주저인 <형이상학>은 언제쯤 우리말 번역본을 얻을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