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의 완소남 배우 소지섭의 재기작 정도로만 알고 있던 영화 <영화는 영화다>가 '문제작'이란 사실은 최근에 영화/시사 잡지의 기사들을 보고서야 알았다. 데뷔작을 찍은 장훈 감독이 김기덕 감독 연출부 출신이란 것도. 게다가 이 액션영화의 시나리오를 김기덕 감독이 썼고, 이 저예산 영화에 100만 관객이 들었다는 것도! 그래서 정작 김기덕 감독의 최신작 <비몽>보다도 더 관심을 갖게 됐다(기회가 주어진다면 <영화는 영화다>를 먼저 보겠다는 얘기다). 주초에 읽은 시사인의 관련기사를 스크랩해놓는다(<비몽>과 관련한 인터뷰기사는 http://www.hani.co.kr/arti/culture/movie/312776.html 참조).   

시사인(08. 09. 30) “영화요? 아직은 잘 모르겠어요”

생사람 잡지 말고 호구조사부터 들어가자. <영화는 영화다>를 만든 장훈 감독(34)은 영화 전문지 <KINO>에서 기자로 일하다 독립영화 감독으로 두각을 나타낸 그 장훈 감독이 아니다. 많은 이들이 혼동한다. 이름을 대면 누구나 알 만한 영화 학자조차 그런 실수를 저질렀다. 고백하자면 기자도 그 장훈과 동일인물이라고 짐작했다.

그만큼 장훈 감독은 영화판 안에서조차 베일에 싸인 사람이다. 유일한 ‘정보’라고 해봐야 김기덕 감독 아래에서 오랫동안 조감독 생활을 했다는 것 정도. 미술을 공부했고, 별다른 배경 없이 영화계에 등장했다는 점도 김기덕 감독과 닮았다.

그런 그가 ‘사고’를 쳤다. 7억원도 안 들인 저예산 작품인 <영화는 영화다>가 관객 100만명을 돌파했다. 제작비의 열 배 가까운 수입을 벌어들인 것이다. 평단의 반응도 뜨거웠다. 최근 지속된 한국 영화의 불황 속에 내린 단비였다. 무엇보다 그 감독이 글자 그대로 무명의 ‘신인’이라는 점에서 화제가 됐다.

감독이 배우를 조립할 순 없어

그런데 직접 만나본 장훈 감독은 영 뜻밖이었다. 혈기와 패기 넘치는 신인 감독의 풍모를 기대한 건 오산이었다. 말수가 적었고, 목소리는 낮았다. 액션 장면 난무하는 장편영화 촬영을 겨우 47일 만에 끝마친 열혈 감독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뜻밖인 건 겉모습만이 아니었다. 이 젊은 감독은 현장을 장악하려 들지 않았다. 

“어떤 배우나 스태프라도 결국 되는 게 있고 안 되는 게 있더군요. 몸이 안 될 때도 있고, 마음이 안 열릴 때도 있고요. 하지만 저는 영화 속 봉 감독처럼 무리하게 주문하지는 않아요. 각자가 할 수 있는 능력에 한계가 있는데, 그 이상을 요구하다보면 어떤 경우엔 그 사람이 가진 정체성을 완전히 무너뜨려야 하는 일도 생기잖아요.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렇게 영화는 찍을 수 있을지 몰라도 제가 그 사람을 다시 조립해줄 수는 없잖아요.”



장 감독에게는 김기덕 감독의 후광이 서려 있다. <영화는 영화다> 시나리오의 원작을 김기덕 감독이 썼고 영화 제작도 김기덕필름에서 맡았다. 영화 촬영 때 배우와 스태프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지 않는 것도 김기덕 감독의 영향 때문이다. 혹여 김 감독의 ‘그늘’에 갇히는 것이 아닌지 걱정될 법도 한데, 스스로도 김기덕 감독의 후광을 마다하지 않는다.

“김기덕 감독님에게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앞으로도 더 배울 것이 많지요. 특히 김기덕 감독은 다른 사람 돈으로 영화를 만들 땐 결코 손해를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셨어요. 영화는 로또가 아니기 때문에 대박을 꿈꾸진 않더라도 손해 보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다음 영화를 또 준비할 수 있으니까요.”

장훈 감독과 김기덕 감독의 만남은 학창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술대학에 다니던 시절, 학교 강연에 김 감독을 초빙한 인연으로 자주 연락을 주고받았다. 졸업할 무렵인 2003년, 취업과 영화를 고민하던 그에게 김 감독이 <사마리아> 연출부에서 일할 것을 권했다. ‘한번 일해보면’ 영화판 일을 계속할지 결정할 수 있으리라는 조언이었다. 그 뒤 연출부 막일부터 시작해, 첫 영화로 ‘입봉(첫 작품 데뷔를 뜻하는 영화계 은어)’할 때까지 둘은 햇수로 6년 동안 한 배를 탔다.     

첫 작품부터 화제를 몰고 온 걸출한 신인이지만, 그의 ‘히스토리’는 평범하기 짝이 없다. 영화를 전공한 것도 아니고, 누구처럼 장안에 소문난 ‘시네마 키드’도 아니었다. 대학 시절 학내 신문에 만평을 그린 것 정도가 제법 특출난 이력이다. 

제가 원래 나서는 걸 싫어하는 성격이에요. 학창 시절에도 존재감 없이 사는 게 좋았어요. 유명해지고 싶어서 영화한 것도 아니고…. 다만 영화 공부는 나름 열심히 했어요. 제가 약간 메모광인데, 영화 볼 때 늘 수첩을 옆에 끼고 이런저런 메모를 했습니다. 어두운 극장에서 메모를 해놓고, 집에 돌아와 다시 옮겨 적곤 했지요. 그러다 보면 영화에 대해 갖는 저의 생각이 좀더 구체화되고 발전하더군요. 그런 생각의 실마리를 잡아내기 위해서, 더 열심히 메모를 했습니다.”

중요한 건 영화가 아니라 삶

장 감독은 주변 동생들이 더러 영화하고 싶다는 뜻을 밝혀오면 일단 고개부터 젓고 본다. 속으로는 그들이 영화 쪽에서 일하기를 바라면서도 그렇다. 현직에 있는 선배가 ‘하지 말라’고 말리는데도 끝내 하겠다고 나서는 각오가 있어야 ‘사람답게 살기 힘든’ 영화판에서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 일이란 게 어렵지요. 직장이라고 말하기도 어렵고, 촬영 들어가면 명절 때도 집에 못 가기 일쑤고…. 어떤 감독님은 작업 공간이 없어서 PC방에서 컵라면 먹으면서 시나리오 작업을 한답니다. 캐스팅하고 싶은 배우들 사진을 모니터 화면에 깔아놓고, 힘들 때마다 그 사진 보고 힘내서 시나리오를 쓰는 거죠. 그럼에도 이 일을 계속하는 걸 보면 설명하기 힘든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영화는 영화다>에서 영화배우 수타(강지환)가  “당신이 연기가 뭔지 알아?”라고 묻자 주인공 강패(소지섭)는 이렇게 답한다. “연기란 게 별 거 있나, 인생 잘 만나서 편하게 남 흉내나 내면서 사는 거지.” 장훈 감독에게도 똑같이 물었다. 당신, 영화가 뭔지 아느냐고.

“아직은 ‘삶을 위한 은유인 것 같다’는 대답밖에 할 수 없네요. 삶이 중요하지요. 하지만 영화 작업을 더 하다보면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어떤 영화를 만드느냐에 따라 매번 달라지는 것이겠죠. 그래서 매번 새로운 해답에 도달할 수 있는 기회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영화는 영화다’라고 당차게 선언한 젊은 감독의 해답 찾기는, 실은 이제 막 시작인 셈이다.(이오성기자)

장훈 감독 : 1975년생. 대학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하고 졸업 뒤 김기덕 감독 연출부 생활.  2003년 <사마리아> 연출부 / 2004년 <신부수업> <빈집> 연출부 / 2005년 <활> 조감독 / 2006년 <시간> 조감독 / 2008년 <영화는 영화다> 연출.

08. 10. 0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08-10-03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고 나서 영화평 멋지게 써주세요.소지섭,강지환은 정말 훤칠하고 길쭉길쭉하죠?

로쟈 2008-10-04 00:56   좋아요 0 | URL
조만간 볼 기회는 없을 듯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