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한겨레에 실린 지젝 관련기사에서 "아예 그의 이론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잡지가 나올 정도"라는 언급을 했는데, 온라인 잡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Žižek Studies(http://zizekstudies.org/index.php/ijzs/index)을 염두에 둔 것이다. 사실 알게 된 건 별로 오래 되지 않았다. 문득 생각이 나서 사이트를 찾아가 '발간사'를 읽어봤다. 두 번 놀랐는데, 일단 한국어 번역까지 제공되고 있다는 점(영국의 리즈대학이 이 잡지의 아지트인 듯하고, 그곳 박사과정생들이 세계 각국어 번역의 품앗이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번역 또한 오역이 많다는 점('슬라보 지젝'이라고 옮기는 것부터가 징후적이다. 게다가 왜 한국어 문장이 안되는 것인지?). 여하튼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둘러보시길. 아래가 그 발간사이며 한국어 번역에서 두드러진 오역에는 표시를 해둔다(지젝이 어렵다고들 하지만 사실 아래의 영문보다도 읽기 편하다).   

Launched in January 2007, IJŽS is a peer-reviewed, open access academic journal. As its title unambiguously proclaims, it is devoted to the work of Slavoj Žižek, a Slovenian philosopher/cultural theorist. Despite such predictably caricatured media portrayals as "the Elvis of cultural theory" and "the Marx brother", Žižek has attracted enormous international interest through his application of otherwise esoteric scholarship to contemporary mass culture and politics.

IJZS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007년 1월 출범하는 IJZS는 Online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토론하고 상호 검토 보완 할 수 있는 학문적 저널입니다. 저널 타이틀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저널을 슬로베니아 철학자이자 문화 이론가인 슬라보 지젝(Slavoj Zizek)의 업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문화 이론의 엘비스”(“The Elvis of cultural theory”), “막스 형제”(“the Marx brother”)에서 예상할 수 있는 그런 풍자적인 모습에도 불구 하고 동시대의 대중 문화와 정치에 대한 난해하지 않은 접근 방법으로 지젝은 막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끌어 왔습니다.

With a desire to avoid "how many Žižeks can dance on the head of a pin?" types of debate, and mere hagiography, IJŽS aims to provide a valuable resource for those interested in his inimitable brand of critical thought. Just one small indication of Žižek's wide appeal is apparent from the diverse nature of IJŽS’s Editorial Board and the Journal will be devoted to engaging with the substantive and provocative implications Žižek’s work has for a range of academic disciplines.

IJZS는 단순히 위인전과 같은 접근이나 “얼마나 많은 지젝이 핀의 머리 위에서 춤을 출 수 있을까”와 같은 논쟁을 피하고 그의 독특하고 비평적인 사상에 대한 관심이 있는 가치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지젝의 폭 넓은 주장에 대한 작은 암시는 IJZS의 편집 위원회의 다양한 구성으로 볼 수 있듯 다양성을 지향하는 것이 명백 하며 본 저널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중요하고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지젝의 업적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For some, the notion of a journal devoted to the work of a theorist very much alive and intellectually kicking is discombobulating. That death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sustained scholarly interrogation of a patently substantial body of work, however, is perhaps stranger still. In an interview with one of the many journalists interested in packaging Žižek for mass consumption, Tony Brown of the Editorial Board has pointed out that:

일부 저널의 견해는 이론가 작품을 생동감 있게 나타내기도 하지만 일부 지적으로 중요한 작품은 혼란스럽기도 할 것 입니다. 이는 한 이론가의 중요한 업적에 대한 학문적 의문을 지탱하기에 필수 적인 이론가의 죽음이 아직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일 것 입니다. 대중 소비에 대한 관점에서 지젝을 평가하는데 관심 있는 많은 저널리스트들 중의 한 사람의 인터뷰에서 편집 위원회의 토니 브라운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습니다.

Žižek is alive, which allows him to answer back. Derrida once claimed that people treated him as though he were dead before he actually died, since they were too ready to sum up the import of his work. Žižek always resists such encapsulations of his work and forces us to carry on thinking. He readily challenges people trying to sum him up. Hence his presence on the Board of the journal is unsettling rather than anything else - unsettling in a positive way. Anyone who tried to pin him down would be beating him up, intellectually speaking. Since Žižek is very alive he is able to kick back, interrupt encapsulations, celebrations, as well as criticisms.

“지젝은 살아 있고 그로부터 대답을 들을 수 있다. 데리다는 사람들이 그를 마치 그가 실제 죽기 전에 죽은 것처럼 다뤄지면 그 준비가 지나쳐 제대로 평가 할 수 없다라고 말한 바 있다. 지젝은 항상 그런 그의 일에 대한 평가 받는 것에 저항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계속 생각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그는 사람들이 그를 평가하려는 시도를 쉽게 용납한다. 그래서 그의 존재가 다른 어떤 것과 달리 긍정적인 방향으로 심한 논쟁거리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를 평가하려는 사람은 아마도 그를 깜짝 놀라게 할 정도로 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살아 있고 심하게 반박할 수도 평가 중간에 반박할 수도 찬사를 할 수도 그리고 비판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Žižek thus defies easy categorisation but the importance of his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cultural theory is clear. The fact that his success is largely built upon a consistent examination of ideology forcefully belies claims that we now live in post-ideological times. Moreover, his seemingly irrepressible urge and inexhaustible ability to articulate theory at length, in depth, and with manifold entertaining examples, offers significant hope for those seeking respite from the cultural tinnitus of pervasive soundbites.

그래서 지젝은 그런 범주화에 강한 반박이 가능지만 동시대의 문화 이론에 대한 그의 중요한 기여는 명백합니다. 그의 성공이 일치화된 이데올로기의 시험 위에서 이뤄졌다는 사실은 우리가 현재 포스트 이데올로기 시대에 살고 있다는 주장에 모순이 되며 또한 깊이 있고 폭 넓은 각지각색의 오락적인 예로 분명히 표현하는 그의 지칠 줄 모르는 능력과 견딜 수 없는 그의 충동은 널리 퍼지는 연설문의 문화적 귀 울림으로부터의 단절에 대한 중요한 희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08. 05.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