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의 '햄릿' 강의>(생각의나무, 2008)을 출간한 원로 영문학자이자 연극평론가 여석기 교수의 인터뷰 기사가 눈에 띄기에 옮겨놓는다. 그의 <강의>는 지난 월요일에 손에 들었고 마침 모니터 바로 앞에 놓여 있기도 하다.

경향신문(08. 04. 02) 여석기 교수 “연극은 바보 짓, 그래서 의미있다”

21년 전 대학 강의실을 떠난 원로 학자가 못다 한 강의를 책으로 옮겼다. 영문학자로 셰익스피어 전문가이자 한국연극평론 1세대인 여석기 고려대 명예교수(86)가 최근 ‘나의 햄릿 강의’(생각의 나무)를 펴냈다. ‘해방 학문 1세대’로 평생을 영문학에 매진해오며 날카로운 비평으로 연극계에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던 노학자는 학생들에게 건네듯 편안한 마음으로 이야기를 써내려갔다고 한다. 국제교류진흥회 이사장으로도 활동하는 그는 매주 월·수·금 서울 종로2가 사무실에 나가 오후 5시까지 책읽기와 글쓰기를 계속한다. 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자택에서 만난 여 교수는 나이가 무색할 만큼 정정한 모습이었다. 일찌감치 겉옷을 갖춰 입고 기자를 맞아주었다. 그의 서재는 가난했다. 평생 학문연구를 위해 모아온 방대한 자료들은 진작에 기증했다.

해마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에서 수여하는 ‘여석기 연극평론가상’ 얘기가 나오자 쑥스러워했다. 60여년 넘게 품어온 햄릿에 대한 생각, 연극평론가로서 바라본 연극계의 현실 등 궁금한 것들을 물었다. 침침한 눈과 뻣뻣해진 몸 탓에 연극을 못본 지 10년이 넘었지만 연극에 대한 애정은 변함없다. 흥미를 끌만한 가벼운 질문에는 학자다운 진지함과 냉철함으로 쉽게 답을 내놓지 않았다.



-책은 어떻게 내셨나요.

“내가 책 낼 나이가 아닌데 작년에 엉뚱한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 내가 학생들에게 강의를 한다면 뭐가 달라질까? 딱딱하고 힘든 책은 못쓰겠고, 햄릿이 텍스트 연구보다는 공연 쪽으로 비중이 커지고 있으니 무대 위의 ‘햄릿’은 어떻게 그려지는지도 함께 담아 편히 읽도록 했죠. ‘맷집’ 좋은 햄릿이니 시종 편안한 건 아니고…. 읽다가 딱딱한 얘기는 그냥 건너뛰면 돼요. 1년 넘게 작업했죠.”

-연극과는 언제 인연을 맺으셨나요.

1962년 드라마센터 개관작이 ‘햄릿’이었어요. 당시 유치진 선생이 번역을 부탁했죠. 그 전에도 햄릿이 자주 공연됐으니 번역대본이 없었던 것은 아닌데 개관 3~4개월 앞두고 급하게 공연대본으로 번역했어요. 51년 이해랑 선생이 이끈 극단 신협이 대구에서 ‘햄릿’을 공연할 때도 그 자리에 있었지요. 전쟁의 와중에도 구경꾼들이 많아 난리가 났어요. 예전 배우들이 여관에 발 묶여있을 때 쉽게 올렸던 작품이 ‘춘향전’ 아니면 ‘햄릿’이었어요. 그만큼 인기가 좋았던 작품입니다.”

-‘햄릿’이 왜 인기일까요, 햄릿과 60여년 살아오셨는데요.

매력적이에요. 그러나 한마디로 말할 순 없어요. 셰익스피어의 주인공들 가운데서도 드문 인물이죠. 햄릿 1막부터 5막까지의 시간 경과를 따지면 채 1년이 되지 않아요. 그러나 1막의 햄릿과 5막의 햄릿은 달라요. ‘내면적 성숙’, 인간적으로 바라본 햄릿의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42년 도쿄대학 영문과에 입학하면서 처음으로 햄릿을 만났으니 오랜 세월 함께했죠. 청년 때 만난 햄릿과 점점 늙어가며 느끼는 내 마음속의 햄릿은 분명 다릅니다. 하지만 그런 건 야단스러운 얘기일 테고 난 아직도 모르겠어요. 그게 햄릿에 대한 나의 결론입니다.”

-요즘 자기 확신에 차서 밀어붙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햄릿과 같은 사람이 필요한 것 아닌가요.

흔히 ‘햄릿형’이라고 해서 ‘귀공자인데 사색적이고 우유부단하고 행동이 부족하다’ 그런 말을 하죠. 19세기부터 내려온 이미지입니다. 시대마다 햄릿에 대한 풀이가 달랐던 것 같아요. 햄릿이 너무 일찍 죽었어요. 햄릿에게 ‘본심이 뭐냐’고 물으면 씩 웃고 치우겠죠. 대답도 하지 않을 겁니다. 이 질문에는 뭐라고 답변할 수가 없군요. 햄릿의 본심을 모르니까요.”

-요즘 연극,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연극이 참 묘합니다. ‘연극 위기론’은 사람들이 연극을 즐겨보던 60~70년대에도 끊임없이 나왔어요. TV·영화에 이어 요즘은 뮤지컬이 자리를 빼앗는다고 하죠. 연극도, 연극하는 사람들도 여전히 굶주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극이 줄어들지는 않았어요. 중요한 것은 관객 수가 아니라 좋은 극작가, 좋은 배우가 있느냐 하는 거예요. 많은 관객을 기대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 시대 연극의 역할은 뭘까요.

연극은 산 사람(무대)과 산 사람(객석)이 교류하는 것입니다. 요즘 같은 디지털시대에 연극처럼 비효율적인, 바보같은 짓이 어딨습니까. 한 번 공연하고 사라지는 일회성, 참 골치아픈 겁니다. 얼마나 낭비입니까. 하지만 그 비경제성이 의미있어요. 산사람끼리의 소통을 이끄는 그 매체(연극)의 깊이를 어떤 것도 못따라갑니다. 능률만 갖고 얘기할 수 없는 것이 세상에는 많습니다. 연극은 그것을 일깨워주죠.”(김희연기자)

08. 04. 03.

P.S. 한겨레의 인터뷰기사는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80076.html 참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