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출간된 이안 파커의 <지젝>(도서출판b, 2008)에 대한 리뷰기사를 옮겨놓는다(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77316.html). 접해본 독자라면 알겠지만 영국의 라캉주의 분석가의 이 '비판적 입문'에서 방점은 '비판'에 더 많이 가 있다. '지젝을 읽기 위하여 알아야 할 것들'이라고 소개된 책이지만 동시에 '지젝을 안 읽기 위하여 알아야 할 것들'도 된다. 가령 아래 기사의 주장대로 "지젝에 홀린" '지젝 애호증자'들이 한편에 있다면, 그 반대편에 있을 '지젝 혐오증자'들의 '복음서' 같은 책인 것이다. 이 책에 대해 <라캉과 정치>(은행나무, 2006)의 저자 야니스 스타브라카키스는 "지젝에 대한 유일한 비판적 소개서"라고 환영했는데, 파커와 스타브라카키스의 공통점은 모두 라캉에 대한 지젝의 해석(전유)을 불편하게 생각한다는 점이다(어디서나 다툼은 '상속자들' 사이에서 벌어진다). 아직 완독하지 않은 상태라 파커의 시시비비가 얼마만큼 유효한지는 모르겠지만 지젝에 대한 '비판'으로서뿐만 아니라 '입문'으로서도 유익하기를 기대한다.  

한겨레(08. 03. 22) 지젝은 배우다, 혁명을 연기하는

철학을 농담처럼 하는 사람, 농담으로 철학을 하는 사람은 있겠지만, 그 농담 같은 철학 또는 철학적 농담으로 세계 지식계를 들쑤시고 어지럽히고 열광시키고 노하게 하는 사람은 슬라보예 지젝(1949~)밖에 없을 것이다. 지젝은 세계 철학계의 최전선에 서 있다. 그는 난데없이 출몰하고 도발하고 불지른다. 말하자면 그는 철학적 게릴라, 철학적 빨치산이다. 그의 글들은 건드리면 터지는 이론적 지뢰밭이다.

국내에서도 사정은 그리 다르지 않다. 지젝에게 홀린 사람들의 노력으로 그의 책들은 1년이면 두세 권씩 한국어로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까다로운 주체’다. 논리의 그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미꾸라지처럼 하염없이 이리저리 빠져나간다. 지젝의 책을 읽고 이해했다 싶으면 다음 책에서 아주 다른 이야기를 한다. 지젝이라는 이 모순적인 인간의 전모를 살필 방법은 없을까?

영국의 정신분석학 연구자 이안 파커가 쓴 〈지젝〉은 이 잡히지 않는 인물을 포획해 보려는 책이다. 지젝이 딛고 있는 핵심 거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가 무엇을 노리는지 해설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지젝이라는 미로로 들어가는 데 도움을 주는 안내서다. 동시에 이 책은 지젝의 모순적 지점을 대놓고 지적하는 비판서이기도 하다. 요컨대 지젝에 관한 비판적 안내서가 이 책이다.

지젝이라는 철학적 난제를 이해하려면 이 문제적 인간의 출신 배경에 관한 지도를 그려보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고 이 책은 말한다. 알려진 대로 지젝은 옛 유고슬라비아연방에 속했던 슬로베니아 출신이다. 옛 유고연방은 자본주의 서구와 공산주의 소련 사이의 완충지대였다. 소련의 완전한 종속국도, 서구에 가까운 나라도 아니었다. 아니, 실상은 이 두 지역의 혼합체였다. 요시프 티토가 지배하던 시기에 이 나라는 경제적으로는 ‘자주관리’라는 이름의 자본주의 체제였고, 정치적으로는 스탈린주의적 관료지배 체제였다. 티토는 스탈린과 싸우면서 반스탈린적 영웅이라는 이미지를 얻었지만, 그를 둘러싼 개인숭배는 스탈린 개인숭배와 거의 다르지 않았다. 티토가 사망하고 소련이 무력화한 뒤 유고연방은 여러 민족단위로 해체됐고, 1990년대에 유고내전이라는 참혹한 전쟁을 겪었다.

지젝이 철학을 공부한 곳은 슬로베니아 수도의 류블랴나대학이다. 정치적·지리적 중간지대였던 이곳은 소련의 공식철학보다는 서유럽의 철학에 더 친숙한 곳이었다. 지젝은 이곳에서 독일의 비판철학과 프랑스 현대철학을 연구했다. 80년대에 지젝은 프랑스에서 공부할 기회를 얻었다. 85년 파리8대학에서 그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기서 익힌 라캉 정신분석학은 이후 그의 이론의 초석 가운데 하나가 됐다. 90년 지젝은 독립 슬로베니아의 첫 자유선거에서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네 명의 대통령으로 이루어진 집단지도체제에 자유당 후보로 나갔던 것인데, 5등으로 낙선했다. 자유당 후보라는 이력은 그의 모순적 삶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 급진좌익에 가까운 인물이 자본주의화를 지지하는 자유당 후보로 나섰던 것이다. 지젝은 자신의 이런 선택이 전술적으로 필요한 일이었다고 말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전술적 필요에 따른 선택이 그의 저술 작업에서도 그대로 관철된다는 사실이다. 그의 주장이 모순적으로 보이는 것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또는 주제의 성격에 따라 논리 구성이 바뀌기 때문이다. 반스탈린주의자인 듯 보였다가 어느 순간에는 스탈린을 찬양하는 듯이 비치기도 하는 것이 한 가지 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그의 이론에는 일관성을 부여해주는 이론적 벼리가 있다고 〈지젝〉의 지은이는 말한다. 그 벼리가 바로 헤겔과 라캉과 마르크스다. 지젝은 이 세 지적 거인의 주장들을 자유자재로 인용하면서 그 묵직한 이론 안에 화장실 낙서 수준의 저급한 농담에서부터 싸구려 탐정소설과 할리우드 상업영화까지 온갖 사례를 끌어들인다. 그런 뒤섞기를 통해 매력적이면서 거북살스럽고, 도발적이면서 유희적인 철학적 진술이 흘러나온다.

이 책은 지젝의 지적 토대인 헤겔과 라캉과 마르크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헤겔을 지목한다. 그러나 그때의 헤겔은 우리의 상식으로 굳어진 헤겔, 다시 말해 정반합의 변증법적 과정을 거쳐 하나의 닫힌 체계를 완성한 국가주의 철학자 헤겔과는 정반대편에 있는 헤겔이다. 지은이는 지젝의 헤겔이 30년대 프랑스에서 부활한 헤겔이라고 알려준다. 소련에서 망명한 철학자 알렉상드르 코제브가 그려 보여줬던 헤겔은 부정과 거부와 분열의 헤겔이었다. 지젝이 자기 것으로 삼은 헤겔이 바로 이 헤겔, ‘끝없는 부정의 헤겔’이다. 이 부정의 정신으로 지젝이 행하는 것이 ‘이데올로기 비판’이다. 그 어떤 이론이든 체계든 그것이 사람들을 사로잡는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면, 그것을 부정하고 거부하고 깨부수는 비판 작업의 도구로 헤겔을 이용하는 것이다.

지젝이 기대고 있는 라캉도 이 코제브적 헤겔로 주조된 라캉이다. 라캉은 젊은 시절에 코제브의 헤겔 강의에 정기적으로 참석했는데, 여기서 자신의 정신분석학의 주요 개념을 익혔다. 헤겔의 부정 개념은 주체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영원한 자기동일성으로서의 주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주체란 언제나 ‘분열된 주체’, 분열된 채로 자기정체성을 구성해 나가는 주체다. 그 주체가 바로 라캉이 말하는 주체다. 이와 함께 지젝은 마르크스를 자신의 사유의 토대로 삼고 있는데, 그때의 마르크스도 헤겔과 라캉의 색깔이 배어든 마르크스다. 특히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분석’은 지젝이 자주 참조하는 지점이다.

특이한 것은 이렇게 거부와 부정과 반대로 일관하는 듯 보이는 지젝이 해체주의 철학에 비판적이라는 사실이다. 지젝이 목표로 삼는 것은 해체주의의 대책 없는 해체가 아니라 ‘긍정을 모색하는 부정’이라는 것이 이 책의 진단이다. 지젝은 보편적 혁명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는다. 그가 레닌으로 돌아가 레닌의 혁명전략을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지젝〉의 지은이가 보기에 지젝의 그런 모습은 ‘세계를 해석하기만 할 뿐 세계를 바꾼다는 생각은 하지 못하는’ 실천적 무기력 증상을 내장한 자의 자기방어일 뿐이다.

지은이는 말한다. “지젝에게 주체의 근원적 위치는 히스테리적이다.” 이때의 히스테리는 모든 곳에서 문제를 적발하고 그 문제를 불평하는 사람의 모습이다. 지젝 자신이 그런 히스테리적 주체라고 이 책은 말한다. 그런 히스테리 주체로서 지젝은 일종의 ‘연기’를 한다. 비난하고 거부하는 지젝의 모습은 정작 혁명은 하지 못하고 혁명적 연기만 하는 자의 모습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그렇게 대신 연기해주기 때문에 “우리는 지젝을 좋아한다”고 지은이는 덧붙인다. 이런 비판에 대해 지젝은 의외의 반응을 보인다. “이안 파커의 원고를 읽고서 나는 근저에서의 연대감을 경험했다. 명백한 차이들이 있지만 우리는 동일한 정치적 관심사와 전망을 공유한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그의 비판적 언급들은 언제나 적실하다.” 이 발언도 ‘연기’일까.(고명섭 기자)


08. 03. 21.

P.S. 국내 출간 도서 목록에서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이데올로기>(철학과현실사, 2005)는 지난 2003년 내한강연의 원고들을 묶은 것이다. 해서 현재까지 최신간은 <HOW TO READ 라캉>(웅진지식하우스, 2006)이며 그 이후의 책들도 여러 권이 조만간 소개될 예정인 것으로 안다.

한편 '왜 지젝과 싸울 가치가 있는가?'란 타이틀은 'Why is the Christian legacy worth fighting?'(영어본 54쪽)이란 절제목에서 따왔다. 국역본에서는 '왜 기독교적 유산과 싸울 가치가 있는가?'로 옮겨졌다. "기독교에 관한 지젝의 저술(<무너지기 쉬운 절대성>과 <믿음에 대하여>)의 상당 부분이 독자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는 복음의 소책자 같기도 하지만, 지젝은 또한 '좋은 소식'이라는 것이 뒤섞인 축복임을 힘들여 강조한다."(111쪽)이 절의 서두는 시작되는데, <무너지기 쉬운 절대성>의 부제가 원래 'Why is the Christian legacy worth fighting for?'이다(국역본은 '왜 그리스도적 유산은 싸울 가치가 있는가?'로 옮겼다).

전치사 'for'가 빠지면 의미가 달라지는 건지, 혹은 중의성을 갖게 되는 건지 잘 모르겠지만(30쪽에서 'THE PERFECTION OF THE STATE'이란 절제목을 '국가에 대한 지각'이라고 잘못 옮긴 걸로 보아 다른 사례들 역시 역자의 착오일 가능성이 높다), 원래 의미는 기독교적 유산과 '맞서' 싸우는 게 아니라 기독교적 유산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것이다. 우리에게 지젝은 어느 쪽인가?..

참고로 스타브라카키스의 지젝론은 <라캉주의 좌파>(2007)에서 읽을 수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08-03-22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지첵과 함께 하는 기묘한 영화여행" 이라는 영화라고 해야하나 다큐라고 해야하나 조금은 햇갈리는 영상물을 보셨는지요?

로쟈 2008-03-22 14:10   좋아요 0 | URL
다 보진 않았습니다.^^;

소경 2008-03-24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양변기에 앉아 있는 지젝의 사진이 상당히 전략적으로 보입니다. ^^;

로쟈 2008-03-24 12:51   좋아요 0 | URL
제 계산이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