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기행의 마지막날, 상하이의 아침이 밝아오는 중이다. 조식 이후 일찍 공항으로 떠나기에 상하이와의 작별이 오늘의 일정이라면 일정이다.
어젯밤에 못 다 적은 일정을 마저 정리하자면 쉬자후어도서관을 나온 일행은 다시 디디(콜택시)를 타고 영화 <색계>의 배경으로 유명해진 우캉루(무강로)로 향했다. 도착하자마자 우캉맨션을 둘러싼 많은 인파와 맞닥뜨렸다. 오전에 예원에서와 미찬가지로 관광명소임이 확인되는 순간. 차이라면 주로 노년층이 많았던 예원에서와는 달리 우캉로는 젊은 친구들로 북적였다. 문학기행에서는 <색계>의 원작자 장아이링의 공간으로 찾아온 터라 1킬로 남짓되는 거리를 걸으며 장아이링의 생애와 특별한 가족관계, 결혼생활 등과 작품의 상관성에 대해서 설명했다(절판본들이 있어서 여의치 않지만 언젠가 작품들을 더 자세하게 읽어보는 강의를 기획해봐야겠다. 루쉰과 함께 중국현대문학을 대표한다는 평가도 받는 작가가 아닌가).
중간쯤, 우캉로 113호가 1955년부터 바진이 살았던 집이다(바진의 후반생이 상하이에서 이루어졌다는 걸 나는 이번에 알았다. 이 시기 대표작이 그의 <수상록>이다). ‘바진 고거‘라는 현판이 붙어 있는데 원래 공개된 건물이지만 건물사정인지 내부출입이 통제된 상태였다. 바진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짧은 소개를 덧붙이고 문앞에서 단체사진을 찍었다.
해가 저물어가는 시간에 다시 황푸강변 쪽 빌딩구역으로 이동하여 마지막 저녁만찬을 즐기고서 일행은 와이탄(조계지 시기의 건물들이 남아있는 명소) 야경 투어에 나섰다. 유람선들이 왕래하는 황푸강 건너편 고층건물들이 조명과 함께 장관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핸드폰에 담았다. 어느 도시에 가건 야경 투어가 하이라이트를 장식하곤 하는데 와이탄의 야경은 어느 도시에 견주어도 경쟁력이 있어 보였다.
그렇게 하여 상하이 일정, 그리고 중국현대문학기행의 일정이 모두 일단락되고 일행은 다시 전망 좋은 숙소로 돌아왔다(호텔을 중국에서는 ‘‘주점‘이라 부른다는 것도 이번에 알았다. 우리가 묵은 곳은 ‘그랜드‘가 들어가서인지 ‘대주점‘이다). 여행 전체에 대한 마무리 소감은 공항에 가면서 적기로 하고 이제 조식을 먹으러 가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