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적할 때 볼 만한 영화 가운데 <글루미 선데이>(1999)가 있다(주제가 뮤비는 http://www.youtube.com/watch?v=N2fGWQKbX68). 오늘 같은 날 보거나 듣기 좋은 헝가리 영화이고 주제가이다. 한데, '글루미'라는 게 영화 제목 이상의 '유행어'라는 건 오늘 알았다. 우연히 담비에서 읽은 기사가 '글루미 제너레이션'을 다루고 있었던 것(http://www.dambee.net/news/read.php?section=S1N5&rsec=&idxno=5894). 알고 보니 지난 봄에 TV에서 이 '우울한 세대'를 기획특집으로 다루기도 했었다(알라딘만 드나들다 보니, 세상 물정에 까막눈이 될 때가 있다!). 이 대학원신문의 기사와 함께 (언제나 앞서가는!) 마케팅 기사를 같이 옮겨놓는다.  

동국대 대학원신문(143호) '글루미 제너레이션'이 뜬다

「어느 여자가 인사동의 골목들을 지난다. 그녀의 왼손에는 따뜻한 커피가 들려 있고 오른손엔 가벼우면서도 조그만 디지털 카메라, 귀에는 목소리 굵직한 래퍼의 웅얼거림을 전해주는 이어폰이 꽂혀 있다.」 ‘그녀’에겐 가까운 사람의 체온, 시선, 목소리를 대신할만한 것들이 모두 갖춰져 있다. ‘그녀’는 ‘우리’보다 ‘혼자임’을 사랑하고, ‘우리의 관계’보다 ‘나’에 집중한다. 유행처럼 ‘그녀’를 닮은 ‘그들’이 늘어나고 세상은 그들을 글루미족(Gloomy 族)이라고 부른다.



글루미 제너레이션(Gloomy Generation), 이 새로운 세대는 이름 그대로 우울하기보다 ‘우울함을 즐기는 세대’이다. 이들을 가리켜 글루미족(Gloomy 族) 혹은 나홀로족(族)이라 한다. - 결혼이라는 틀에 자신을 맞추기보다 이상과 일, 능력을 더욱 중요시 여기는 싱글족(Single 族)과는 분명 구분되어야하는 개념이다. 싱글족(Single 族)은 결혼이라는 체제에 묶여 자신을 가두기보다 독신을 고집하면서 자신의 이상을 이루어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글루미족(Gloomy 族)은 외로움과 고독을 고통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즐기는 것으로 여기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 한 방송사의 아침 프로그램이 대인관계연구소와 함께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484명 중 60%를 차지하는 291명이 자신이 글루미 제너레이션(Gloomy Generation)이라고 답했다. 많은 사람들이 우울함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의 사용이 증가하고 DMB 단말기, MP3등의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혼자만의 시간도 무료하지 않은 세상이 되었다. 거기다 개인주의가 발전하면서 현대인들에게 외로움과 우울함은 일상이 되었고 이제 사람들은 외로움에 몸부림치며 고독에 괴로워하기보다 오히려 즐기기로 했다. 글루미족을 위한 마케팅이 블루 오션으로 환영받는 세상이 된 것이다.



우울함을 즐기기

장기화된 경기 침체, 실업률의 증가 등으로 사회 전반에 우울함이 형성됐다면 우울함은 자신감 저하, 의욕 상실, 대인기피증을 가져왔다. 어떤 의사는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 표현했다. 현대인의 다수에서 흔히 발견되는 증세라고 보는 것이다. 감기를 방치하면 폐렴으로 발전되어 생명을 위협하듯 우울증도 가볍게 여기고 그냥 지나치면 누구에게든 치명적일 수 있다. 게다가 우울증 환자의 15%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한다니 이는 더욱 심각한 일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인구 10만명당 26.1명, 교통사고 사망률 1위를 달리는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 사망자의 1.5배에 달한다. 그야말로 우울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세상을 살고 있는 셈이다.

멀지 않은 과거엔 우울증에 걸려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고 하면 사람들이 손가락을 빙빙 돌려가며 수군거렸다. 그래서 사람들은 우울함을 숨기고 나아가 우울증에 걸린 자신을 자학하기도 했다. 2005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조사에서 설문에 응한 2475명의 59.8%가 우울증을 경험하거나 치료했다고 대답했다. 현대인에게 우울증은 아프면 약을 먹고 치료해야 하는 일반적인 질병이 된 것이다. 소수에게 국한되었던 외로움과 고독이 보편적으로 확대된 이런 현상은 글루미 제너레이션(Gloomy Generation)의 등장을 보다 의미있게 한다. 글루미족은 우울함을 내면에서 끄집어내어 삶의 한 면으로 인정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으로 인정한다. 숨기기보다 우울함 자체를 즐기는 고독으로 대체함으로써 우울증을 이겨내는 것이다. 혼자있는 시간을 보내면서 나만의 감정과 느낌에 집중하고 내 외로움을 통해 나를 돌아보는 법도 배운다. 이렇게 보낸 시간이 다음의 일상을 준비하는 에너지가 되는 것이다.

글루미족은 우울함에 도전장을 던진다. 고독한 시간에 쓸모없는 ‘나’를 만들어내는 것보다 온전히 ‘나’를 위해 준비된 시간에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 법을 찾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글루미족의 우울함 극복기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가 될 것이다.

진화된 개인주의

「점심 메뉴를 고르면서 상대방의 취향이나 입맛을 배려해가며 식사를 하는 것보다 혼자 먹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다. 전시회 관람을 좋아하는 친구와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 골목길 산책을 좋아하는 내 취향을 버릴 바엔 과감하게 혼자 여행을 떠난다.」

글루미족이 추구하는 건 절대 자유이다. 어느 누구의 침해도 용인할 수 없는 나만의 절대적인 자유를 위해 그들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포기한다. 직장 상사가 오전에 부부싸움을 하고 한나절을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어도 내가 뭘 잘못했을까하며 자존감에 상처를 내는 일은 글루미족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 조율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거부한 그들은 이미 타인과의 소통 역시 차단한 것이다.

타인과의 소통은 단순히 타협과 통제, 절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또한 완전한 소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음성을 통해 표현된 생각을 한 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긍하는 것은 좀처럼 힘든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어울림을 통해서 그 사람과의 벽을 허물고 거리를 좁힌다. 글루미족에겐 이 어울림이 껄끄럽고 부담스럽다. 혼자가 편안하고 익숙한 이들은 다른 사람을 통해 자신을 확인하는 일이 어색하기만 하다.

예전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애(自己愛)를 구현했다면-자기 가치의 고양(高揚)을 위해 타인의 확인과 인정, 사랑을 받기 위해 노력함-현대의 글루미족은 자신만의 세계에 구축된 자기애(自己愛)에 치중한다. 거울 속에 비치는 아름다운 나의 모습에만 집중하면 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내 거울을 훔쳐보며 혀를 차건 말건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마음상함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절대 자유를 얻기 위해 당당하게 자신을 지키고 형성해나갈 수 있다는 것은 저주라기보다는 축복이다.

하지만 사회가 존재하기에 인정받는 개인이라면 타인과의 소통이 없는 삶을 과연 뭐라고 해야 할까? 당당하다 못해 도도해 보이기까지 한 이 완벽한 개인주의를 변화된 사회의 치부(恥部)로 인정하고 묵인할 수는 없는 일이다. 사회 안에서 자립해서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아예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과연 개인주의가 도시의 세련됨과 맞물려 그럴듯하게 포장되었다고 해서 매력적인 부메랑을 얻은 것을 기뻐해야만 할까?(박수령 동국대학원신문 편집위원)

한겨레(06. 12. 10) 마케팅, 우울한 현대인을 겨냥하다

지난 7월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가 1,4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충격적이다. 이 조사에 의하면 서울 시민 10명 중 4명이 우울하다고 답변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우울한 현대를 살고 있다. 이런 사회적 현상은 최근 개봉된 ‘애정결핍이 두 남자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영화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정신적으로’ 우울한 현대인을 코믹하게 그려냈다.

또 최근 서울 명동에선 ‘프리 허그(Free Hug)’라 불리는 자유롭게 껴안아주는 캠페인이 펼쳐졌다. 그러나 이는 새삼스런 일이 아니다. 이 운동은 이미 2년 전 호주에서 처음 시작했다. 해외에선 이미 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다양한 상품이 속속 등장하는 추세다.

영국 글래스턴베리(Glastonbury)에서 열린 ‘침묵 디스코’ 라는 뮤직 페스티벌에 참가한 사람들은 헤드세트를 끼고 음악을 들었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페스티벌에 참여했지만 음악은 혼자서 조용히 심취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또, 영국 런던에 위치한 클럽바 ‘필링 글루미(Feeling Gloomy)’는 우울하고 멜랑꼬리한 음악을 즐기는 클럽으로 오는 12월 31일에는 ‘우울한 새해’를 기획하고 있다. 우울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과 가는 해를 더 우울하게 보낼 사람들을 위한 파티인 셈이다.

또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한 건강 포럼에서는 계절성 감성 치료나 만성 피로, 각종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한 안경이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루미넷 안경(Luminet glasses)이라 이름 붙여진 이 안경은 빛을 망막에 집중시키고, 이 빛이 곧 뇌에 인식되어 우울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를 억제시킨다.



우울함을 즐기는 사람들

트렌드 컨설팅 업체인 아이에프네트워크(대표 김해련)는 ‘0708 FW 트렌드 워치(Trend Watch)’ 설명회에서 앞으로는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현대의 우울한 소비자들 즉 ‘글루미 컨슈머(Gloomy Consumer)’의 감성을 공략하는 것이 소비 트렌드에서 앞서가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른바 우울한 현대인, 글루미 제너레이션(Gloomy Generation은 코쿤족, 싱글족 등의 나홀로족과는 다른 개념이라는 점이다. 결혼 여부에 따라 구분되던 싱글족과는 달리 결혼을 했건 하지 않았건 현대 사회의 고독한 개개인, 글루미 제너레이션들은 곳곳에 널려 있다.

글루미 제너레이션을 주목해야 할 한 가지 이유는 이들이 외로운 현실을 피하지 않고 즐겨야 할 부분이라고 여긴다는 점이다. 이들은 고독이나 우울증을 숨기지 않고 건강하게 밖으로 끄집어낸다. 이런 특성은 이들이 향후 다양하게 출시되는 우울상품을 소비하는데 주축이 될 개연성이 높다. 많은 트렌드 워처들은 향후 등장할 우울 모드(Melancholy Mood)를 이용한 기발한 상품들이 새로운 소비를 일으키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최근 눈길을 끌고 있는 외톨족을 위한 여행 상품이나 나홀로족을 위한 놀이동산의 프로그램, 테이블마다 칸막이가 있어 옆자리 눈치를 볼 필요 없는 식당의 1인 공간 등은 더 이상 화젯거리가 아니다. ‘디스턴스 프레즌(Distance Presence)’은 글루미 제너레이션을 겨냥한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존재감을 느끼는 공간이라는 의미의 디스턴스 프레즌은 옆에 사랑하는 사람이 함께 있는 것 같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이불이다.

이불 원단에 열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이불 한쪽에 손을 대면 그 정보가 이불의 반대쪽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반대쪽에 따뜻한 열기와 함께 서서히 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LED를 이용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을 많이 한 스웨덴 디자이너 칼 헤이걸링(Carl Hagerling) 디자인 그룹이 만들었다.

미국의 마이클 커쉬(Michael Kersch)가 디자인한 ‘리아이우스(Lyaeus)’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3차원 공간을 제공하는 릴렉세이션 체어(Relaxation Chair)다. 휴식, 독서, 경치 즐기기 등 목적에 맞춰 리아이우스를 놓아두는 곳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야외에서 사용 시 발생하는 자외선을 막기 위해 햇빛 가리개도 있다.



4등분 되는 4인용 식탁도 있어

주변의 환경에 마음을 빼앗기기보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을 주며, 이로 인해 눈과 마음을 편하게 쉴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 해주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 스틸 디자인을 이용해 만들어졌다.

일본 출신 네덜란드의 활동 작가인 쿠니코 마에다(Kuniko Maeda)가 디자인한 ‘4등분 되는 4인용 식탁’은 현대인의 식문화를 반영한 디자인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가정에 놓인 식탁은 4인용 이상인데 비해, 네 식구가 얼굴을 맞대고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 쿠니코 마에다는 혼자 외로이 끼니를 때우는 이를 위해 이케아(IKEA)의 4인용 식탁을 친절히 4등분했다. 외톨족은 식탁의 한 조각만 TV앞으로 가지고 나가 식사를 할 수 있다.

최근 화제가 된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안나 마리아 코넬리아의 ‘라이프 드레스(Life Dress)’도 우울한 현대인들을 겨냥한 상품이다. 이 드레스’는 한마디로 변신 스커트다. 항상 혼자만의 공간으로 숨고 싶은 욕망을 채워 줄 신개념의 옷이다.

비상 상태가 발생했을 때, 즉 주위가 견딜 수 없이 혼잡하거나 시끄러우면 스커트로 머리를 감싼 후 지퍼를 잠그면 자신만의 개인 도피처가 마련된다. ‘라이프 드레스’는 ‘살인적인’ 소음과 스트레스를 견디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위한 특별한 프로젝트 작품인 셈이다.(류근원 기자)

우울한 어린이를 위한 상품

다양한 글루미 제너레이션들을 공략하기 위한 상품은 어린이들에게도 적용된다. 외로운 외동 자녀를 위한 상품을 공략하는 것도 시장 트렌드를 앞서가는 한 방법이 된다. 일본 니프로사의 코코로 스트레스 미터(Cocoro Stress Meter)는 자신의 감정표현이 구체적이지 못한 아이들을 위해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스 측정기'이다. ‘코코로 스트레스 미터’를 입속에 넣었다가 빼면 침을 분석해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해준다고 한다.

일본 토미사의 유아용 프로젝터 드림 에너지(Dream Energy)는 부모와 아이의 다정한 시간을 연출하는 디즈니의 신 플랫폼 ‘Disney 캐릭터 이야기 극장 판타지움’을 발매했다. 이 제품은 콤팩트 사이즈의 유아용 프로젝터로 전용 소프트를 본체에 세팅 하면, 디즈니 캐릭터 관련 슬라이드가 투영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스토리)을 그림책이나 그림 연극을 읽듯이 엄마나 아빠가 읽어주면서 함께 하는 엔터테인먼트 기기이다. 곧 있으면 엄마나 아빠의 목소리로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핀란드의 론리 자켓(Lonely Jacket)은 옷에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가 붙어 있어 다른 사람과 접촉만 하면 쉽게 붙어 있을 수 있다. 핵가족화 되어 사람들과 접촉이 많지 않은 요즘 가정에서 부모와 아이들이 이런 옷을 입고 있으면 재미있는 놀이도구로서의 기능도 가능하다.

07. 09. 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