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읽을 책들은 아니지만 '인간의 본성과 포스트휴먼' 정도의 주제를 다룰 때 참조할 만한 책들이 최근에 출간됐다. 라메즈 남의 <인간의 미래>(동아시아, 2007)과 스펜서 웰스의 <인류의 조상을 찾아서>(말글빛냄, 2007)이 그 책들이다. 이 분야 관련서들이 이미 적잖게 나와 있지만 그럼에도 참고문헌의 수를 조금 더 늘려놓는다. 중앙일보의 리뷰기사가 유익하기에 챙겨둔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88165853_1.jpg)
중앙일보(07. 08. 25) 유전자는 알고있다 인류의 시작과 끝을
인간이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고민은 역사와 철학의 과제만은 아니다. 이는 과학의 숙제이기도 하다. 특히 도약을 거듭하고 있는 유전학은 인간 기원의 실마리와 함께 그 미래 전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핵심 도구다. 미국의 과학전문가 라메즈 남은 인류의 미래를, 인구유전학자인 스펜서 웰스는 기원을 각각 찾아 나선다.
고객: 올여름 해수욕장에 가서 우람한 가슴근육을 자랑하고 싶습니다.
전문가: 그런 유전자를 담은 바이러스 주사를 두 대 맞고 몇 달만 기다리시면 됩니다.
이 대화는 농담도, 공상도 아니다. 이미 눈앞에 다가온 유전공학적 현실이다. 상용화는 시간 문제일 뿐이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이세진 박사팀이 그 실마리를 찾았다. 이 팀은 근육 생성을 억제하는 마이오스테틴이라는 호르몬이 선천적으로 부족한 생쥐를 교배를 통해 만들었다. 이 쥐는 보통 쥐와 비교해서 근육이 2-3배나 되며, 체지방은 70%에 불과했다. 이제 이렇게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만 보태면 된다. 그런데 런던대의 조프리 골드핑거 팀은 아무런 운동을 하지 않고도 근육량이 20%, 근력은 25%나 증가시키는 MCF유전자를 이미 찾아냈다. 그러니까 유전자만 조작하면 힘든 운동을 하지 않고도 군살 하나 없는 몸매를 가질 수 있는 시대가 기술적으론 이미 우리 앞에 와있는 셈이다.
![](http://www.morethanhuman.org/images/More%20Than%20Human%20Cover%20-%20Smaller.JPG)
몸뿐이 아니다. NGF(신경성장인자)는 신경세포의 성장을 촉진해 알츠하이머병(치매)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아울러 쥐 실험 결과, 학습능력과 기억력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니까 NGF 생산과 관련한 유전자를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다면, 이른바 스마트 약(똑똑하게 해주는 약)이 되는 것이다. 미국에선 벌써 10여 개 제약사가 상품화에 매달리고 있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34924063_1.jpg)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58200812_1.jpg)
200세 수명 연장도 허풍만은 아니다. 심지어 출산 전에 유전자를 바꿀 수도 있을 정도니까. 더 나아가면 인간의 뇌가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인간은 무한한 생명을 누릴 수도 있을 게다. 그야말로 ‘멋진 신세계’가 아닐 수 없다. 몇 세대만 지나면 우리의 후손은 우리와 완전히 다른 종이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부작용도 당연히 있을 게다.
하지만 이러한 유전공학의 도도한 물결을 막을 방법도, 논리도 없다는 게 지은이의 주장이다. 과학발전의 현실은 인정하지만, 인류 미래라는 과제 앞에서 지나치게 자유만 강조하는 그의 사고방식은 논란을 부를만 하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92114176_1.jpg)
“약 3만 년 전 한 남자에게 P31이라는 유전표지가 나타났다. 이 남자는 동아시아에 거주했으며, 그 후손은 남쪽으로는 동남아시아, 동쪽으로는 한국과 일본까지 뻗어나갔다.”
2005년 4월 시작한 제노그래픽 프로젝트가 거둔 성과의 하나다. 5년간 4000만 달러를 사용하는 이 거대 사업의 목적은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열쇠는 유전학에서 나왔다. 모든 인간은 부모의 세포 핵 속에 있는 게놈이 서로 혼합된 결과물이지만 섞이지 않고 계속 대물림되는 독특한 유전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남자에게만 있는 Y염색체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계속 대물림된다. 그래서 Y염색체를 조사하면 먼 과거까지 부계 혈통을 추적할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83712066_1.jpg)
여성의 경우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 기관에 있는 mtDNA가 있다. 이는 핵이 아닌 세포질에 있어 유전 형질 혼합을 피할 수 있는데다, 어머니만 자식에게 물려줄 수 있어 모계로만 유전된다. 그래서 이를 살피면 모계 혈통을 파악할 수 있다.
Y염색체와 mtDNA는 인류가 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이동했는지를 알 수 있는 도구이다. 여기에 고고학·언어학·고인류학을 더해 조사했더니 다양한 인류 집단의 이동 과정이 상당히 드러났다. 앞에 제시한 성과는 그 일부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83719443_1.jpg)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75274152_1.gif)
진짜 중요한 것은 인류가 6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에 살다 전세계로 퍼졌다는 점이다. 그 뒤 2000여 세대 동안 인류는 피부색은 물론 신체치수·언어·문화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어지러울 정도로 엄청난 다양성을 만들어 냈다. 그런데 다양성이 이렇게 최근에 이뤄졌다면 인류가 한 가족에서 비롯했다는 이론에 공감할 수밖에 없다. 차이보다 공통점이 더 많은 게 인류라는 것이다.
지은이는 따라서 인류는 서로 다른 점을 존중하며 다양성이라는 깃발 아래 공존해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유전학이 제시하는 세계 평화의 과학적 배경이다.(채인택 기자)
![](http://nimg.empas.com/orgImg/jo/2007/08/24/htm_20070824192624a000a200-003.JPG)
07. 08. 26.
![](http://image.aladin.co.kr/product/92/58/coversum/895605190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9/42/coversum/898904720X_1.jpg)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sum/895820003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9/77/coversum/898880482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62/coversum/8952203852_1.jpg)
P.S. 기억의 편의를 위해서 독서목록에 올려놓고 있는 책 두 권을 적어둔다. '인류의 조상'과 관련된 책으로 이언 태터솔의 <인간되기>(해나무, 2007)와 '포스트휴먼' 관련서로 도미니크 르쿠르의 <인간복제논쟁>(지식의풍경, 2005)이 그 두 권의 책이다. 나머지는 한 차례 열풍이 지나가기도 했던 '인간복제' 관련서들인데, 이미 서가 한 칸 정도는 채울 만큼 출간돼 있다('인간복제'라고 검색해보시길). 국내 필자가 쓴 책 몇 권의 이미지만을 나열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