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들 가운데 <전통과 중국인>(플래닛, 2007)이란 책이 너무 두꺼워보여 그냥 지나쳤는데, 알고 보니 중국의 '반체제' 지식인 류짜이푸(1941- )가 공저자의 한 사람이다. 몇 년전에 대가급 지식인 리저허우(1930- )와의 대답집 <고별혁명>(북로드, 2003)을 같이 낸 이가 류짜이푸이다. 과문하지만, 이 두 사람이 중국의 대표적인 반체제 지식인 계보를 잇는 게 아닌가 싶다('반전통 지식인'이라고 해야 더 타당할까?).

해서 <전통과 중국인>을 <고별혁명>과 같이 모아놓고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물론 유감스럽게도 이 생각에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포함돼 있지는 않지만. 나는 당장 지젝도 읽어야 하고 톨스토이도 읽어야 하고 소포클레스도 읽어야 한다). 미리 관련기사들을 모아놓는다. 세계일보의 기사는 '편집장과 한권의 책'이란 유익한 연재물인데, 이번주에는 <전통과 중국인>을 펴낸 플래닛의 안성열 편집장이 직접 책소개에 나섰다. 그리고 중앙일보의 칼럼은 이 책의 배경이 되는 사상의 계보를 잘 요약해주고 있다.

세계일보(07. 08. 25) 유가·도가·불가 사상이 중국인의 국민성에 미친 영향은?

전통은 그에 부합하는 인간을 만들어 냄으로써 생명을 유지한다. “유가의 학설 속에는 매우 뿌리 깊은 도덕에 대한 광신의 물결이 숨겨져 있었다. 애초에 그것은 검토를 거치지 않은 단순한 원칙일 뿐이었으나, 나중에는 신성불가침의 철칙으로 변했으며 갈수록 거세져 막을 수 없는 거대한 물결로 변했다. 개인의 인생에서 그것은 이성을 잃은 완고하고도 영문을 알 수 없는 도덕적 영웅주의로 표현되었고, 한 나라에서는 공상 속의 천국에 대한 이상을 신하와 백성들에게 주입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통치자는 이를 위해 ‘실천하라’고 부단히 강요했다. 이 도덕에 대한 광신의 물결은 과거 십여 세기 동안 중국을 석권했으며, 결국 중국을 쇠퇴의 위기로 몰고 갔다.”

‘전통과 중국인’은 전통문화가 중국인의 국민성에 미친 영향을 지식고고학적 방법으로 추적하면서, 중국 근대라는 격변기의 정신사적 특수성을 포착하려 한 역작이다. 지은이들은 공맹으로 대표되는 유가뿐만 아니라 노장의 도가와 불가, 그리고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여기는 중화주의까지 중국의 문화적 전통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에 비판과 해석의 메스를 가한다.

루쉰, 천두슈, 후스, 리다자오, 우위, 저우쭤런 등 이른바 ‘사상계의 청소부’라고 불린 중국 근대 지식인들이 전통에 대해 취했던 비판적 태도와 논점의 핵심들을 제시하고 자신들의 관점을 더했다.
또 유가, 도가, 불가 사상의 철학적 핵심을 사상 그 자체의 관점에서 제시하면서 각각의 사상적 기원에서부터 제도화 과정, 그리고 말류들에 의한 왜곡과정까지 세밀하게 추적하고 있다.

지은이들의 논의의 바탕에는 ‘인간’의 본원적 존엄성과 자유에 대한 열망이 깔려 있다. 류짜이푸와 린강, 두 지은이는 중국인들이 도덕이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를 걷어치우고 해탈의 단꿈에서 깨어나 새로운 ‘인간’으로 거듭나기를 간절히 바란다.

한때 화제를 몰고 왔던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김경일 지음, 바다출판사)라는 책과 주제가 유사하지만 서술의 폭과 깊이에서 차이가 크다. 인문의 의미에 값하는 책이다.(안성열 플래닛 편집장)

중앙일보(07. 08. 25) “공자가 중국을 쇠퇴의 길로 몰고 갔다”

아편전쟁에서 치욕스런 참패를 맛 본 뒤에도 중국은 자신이 세상의 중심이고 나머지는 다 오랑캐라는 ‘천조(天朝)심리’를 떨쳐버리지 못한다. ‘전쟁에서 번번이 패한다’는 누전누패(屢戰屢敗)를 ‘완강하게 버티며 굴복하지 않는다’는 누패누전(屢敗屢戰)으로 고쳐 말함으로써 현실을 교묘히 비켜간다. 루쉰(魯迅)을 비롯한 5·4운동의 ‘문화 선구자’들은 그러나 부끄러운 자화상을 외면하지 않는다. 루쉰은 중국인들을 건달에게 얻어맞은 뒤에도 “그래도 내가 (나 자신을 경멸하는 데는) 제1인자”라고 자위하는 주관적 승리법의 달인, 아Q에 빗대 마음껏 조롱한다.



중국인들이 그 꼴이 된 것은 수 천 년 찌든 전통의 묵은 때 탓이었다. 루쉰에게 그것은 중국의 ‘츠런(吃人=食人)’ 전통이다. 츠런은 인육을 먹는 야만적 풍속(실제 중국에 존재했다) 외에도 “독립적인 인격과 개인 정신에 대한 부정과 거세”를 뜻한다. 즉 자신보다 강한 자한테 억압받고 약한 자는 억압함으로써 ‘인간다운 인간’은 없고 노예와 상전만 존재하는 현실 말이다.

그러한 전통의 대표선수는 공자다. 이 책의 부제가 ‘공자와 루쉰의 대결’인 이유다. 저자들은 범도덕주의를 표방하는 유가(儒家)의 예치질서가 중국인들의 자아와 주체를 제거했으며 궁극적으로 중국을 쇠퇴의 길로 몰고 갔다고 주장한다. 반면 전통을 거부하는 ‘아버지 세대에 대한 심판(審父)’으로 불합리를 만들어 내는 사상적 근원, 즉 전통적 가치관을 용도폐기하고 현대적 의미로서의 국민성 개조를 추구한 루쉰·천두슈(陳獨秀)·후스(胡適)·리다자오(李大釗) 등 중국의 근대 지식인들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들이 열망한 것은 인간의 본원적 존엄성과 자유가 보장된 사회였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반대파의 공격에 직면했을 때 후진타오 총리가 도피처를 마련해줄 정도로 저명한 석학인 류짜이푸(劉再復)는 현재 홍콩성시대학 중국문화센터 명예교수·미국 콜로라도 대학 객좌 교수로 재직 중이며 린강(林崗)은 중산대학 교수로 있다.(이훈범 논설위원)

07. 08. 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