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문학 강의에서 레오폴도 알라스(1852-1901, 필명 '클라린')의 <레헨따>(1885)를 읽었다. 아주 드물게 읽을 수 있는 19세기 스페인문학의 고전. 19세기 스페인 최대 작가로 평가받는 페레스 갈도스(1843-1920)의 <포르투나타와 하신타>(1887)와 함께 19세기 최고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놀랍게도 <레헨따>는 클라린(창비 표기 '끌라린')이 30대 초반에 쓴 첫 번째 장편소설이다(그는 두 편의 장편소설만을 남겼다). 아무튼 19세기 스페인소설이 워낙 희소하게 소개돼 있는지라 번역본의 존재 자체가 의미가 있다(<포르투나타와 하신타>는 발췌본만 나와있다).
19세기 후반 스페인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아주 긴요한 작품이라는 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지만 <레헨따>('레헨따'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판사 부인'을 뜻하는 보통명사다)는 한편으로 여성주인공의 운명을 그리고 있는 (넓은 의미의) '여성소설'이기도 하다. 비교 가능한 작품으로 유럽소설로는 네 편을 떠올리게 되는데,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강의에서 비교하기도 했다).
<마담 보바리>(1857)-프랑스
<안나 카레니나>(1878)-러시아
<레헨따>(1885)-스페인
<에피 브리스트>(1895)-독일
분량으로는 <안나 카레니나>와 비슷한데, 특이하게도 <안나 카레니나>와 비교한 논문은 찾지 못했다(<마담 보바리>나 <에피 브리스트>와 비교한 논문들은 있었다). 시야를 넓히면 추가할 수 있는 작품이 더 있을지도 모르겠는데(이탈리아문학?) 여하튼 내가 떠올리게 되는, 그리고 강의에서 다룬 작품들로는 그렇다. 기회가 되면 이들 작품만 모아서 읽어봐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