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언어학자에 대한 페이퍼는 정말 오랜만인 듯싶다. 책들이 한꺼번에 나와서인데, 일단 <일반언어학강의>(알려진 대로 소쉬르의 이 대표 저작은 사후 제자들의 노트를 편집하여 펴낸 책이다)의 바탕이 된 강의록 3권이 이번에 동시에 출간되었다. 


 














"그린비 크리티컬 컬렉션으로 출간된 <소쉬르의 1·2·3차 일반언어학 강의>(전3권)는 소쉬르가 세 번에 걸쳐 행한 <일반언어학 강의>를 받아 적은 학생들의 ‘필기 원본’을 정리한 판본으로, 바이와 세슈에가 한 권으로 편집/종합한 판본(1916)에 비해 소쉬르의 목소리가 더욱 생생히 담겨 있다."


생생하게 담겨있다고 해도 소쉬르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싶어하는 독자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다. 일단 <일반언어학 강의>만 하더라도 일반교양서로 그렇게 널리 읽히는 것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물론 구조주의와 같은 현대문학이론의 이해를 위해서는 한번쯤 거쳐야 하는 책이지만, 어디까지나 원칙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다).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기억에 세 종의 번역본이 있었고 현재는 최승언판과 김현권판이 살아있다. 3차 강의는 김성도 교수가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로 옮기기도 했다. 
















소쉬르 입문서로는 고 김방한 교수의 <소쉬르>가 있었다. <일반언어학 강의> 해제는 김성도 교수의 책이 나와았고, 최용호 교수의 <소쉬르는 이렇게 말했다>는 기본적인 이해를 갖춘 후에 읽어볼 만한 참고서. 여하튼 이번에 나온 세 권의 강의록은 현대언어학뿐 아니라 인문학의 언어적 전회에 관심있는 독자라면 유혹을 받을 만하다. 


 














프랑스의 걸출한 언어학자 에밀 뱅베니스트의 강의록도 이번에 나왔다(이름은 벤베니스트, 방브니스트로 표기되다가 뱅베니스트로 낙착된 듯). <마지막 강의>. 소쉬르의 책과 마찬가지로 김현권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다. 앞서 나온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도 김 교수의 번역. 나는 예전에 <일반언어학의 제문제>라고 나왔던 책으로 읽었었다.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만 하더라도 전문적인데, 그보다 좀더 '대중적인' 책으로는 <인도유럽사회의 제도 문화 어휘 연구>(전2권)을 꼽을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서구 사유의 기원을 형성하는 인도유럽의 주요 어휘들을 분석한다. 하나의 단어가 어떻게 탄생하였는지, 탄생 후 다른 어휘 및 문화들과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밝히고 있는 이 책은 서구의 문화와 사상의 기원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대단한 박식가와 만나게 해주면서 동시에 독자도 똑똑해진 느낌이 들게 하는 책이다. 

















소쉬르와 뱅베니스트의 책에 대해 적다 보니 문학이론에서는 이들 못지 않게 중요한 러시아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이 생각난다. <문학 속의 언어학> 때문인데, 그나마 나와있던 발췌 번역본도 절판된지 오래 되었다. 더이상 독자가 없다는 말일까? 그렇더라도 이런 '기본적인' 책이 절판된 채 방치돼 있다는 사실은 좀 씁쓸하게 느껴진다. 
















원저는 550쪽이 넘으니 꽤 묵직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