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인류학자들이 쓴 책이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디플롯). '친화력으로 세상을 바꾸는 인류의 진화에 관하여'가 부제. 흔히 '적자생존'의 뜻을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로 해석하는데, 저자들에 따르면 타당하지 않다(진화인류학의 최근 경향으로도 보인다). 
















"늑대는 멸종 위기에 처했는데,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개는 어떻게 개체 수를 늘려나갈 수 있었을까? 사나운 침팬지보다 다정한 보노보가 더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던 이유는? 신체적으로 우월한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가 끝까지 생존한 까닭은? ‘21세기 다윈의 계승자’인 브라이언 헤어와 버네사 우즈는 이에 대해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라는 답을 내놓는다. 
이들은 ‘신체적으로 가장 강한 최적자가 살아남는다’는 ‘적자생존’의 통념에 반기를 들며 최후의 생존자는 친화력이 좋은 다정한 자였다고 말하는 한편, 친화력의 이면에 있는 외집단을 향한 혐오와 비인간화 경향도 포착한다. 이들이 제시하는 해결책 또한 교류와 협력이 기반이 된 친화력이다. 우리 종은 더 많은 적을 정복했기 때문이 아니라, 더 많은 친구를 만듦으로써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두 저자의 공저로는 <개의 천재성>(2013)도 있는데, 애견가들이 늘어난 상황이라 소개되어도 좋지 않을까 싶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와 같이 읽어볼 만한 책은 따로 소개했단 <우정의 과학>이다. 역시나 지난해에 나온 책으로 유대의 기원과 진화를 다룬다. 브레흐만의 <휴먼카인드>도 주제적으로 같이 묶을 수 있는 책. 안 그대로 강의차 읽고 있는 책이다. 브레흐만의 앞서 소개되었던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도 생각나서 찾는 중이다...
















P.S. 책의 추천사는 최재천 교수가 쓰고 있는데(<휴먼카인드>의 추천사도), 최 교수의 책으로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샘터)도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다윈의 저작 가운데서는 특히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도 이 주제와 관련하여 참고할 채. <휴먼카인드>가 다시 떠올려준 책인데, 리베카 솔닛의 <이 폐허를 응시하라>도 재난 상황에서 피어난 공동체적 우정을 탐사하고 있다. 팬데믹 시대에 필요한 성찰을 담은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