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종강한 프랑스문학 강의의 마지막 작품은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1883)이었다. 통상 19세기 프랑스문학 강의의 마지막 순번은 에밀 졸라에서 모파상으로 이어진다. 일종의 레퍼토리인데, <여자의 일생>에 등장하는 하녀 로잘리(인생은 사람들 생각처럼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유명한 대사는 주인공 잔느가 아닌 로잘리의 대사다) 때문에 <어느 하녀의 일기>도 떠올리게 되었다. 옥타브 미르보(1848-1917)의 1900년작. 더불어 동년생 작가 조리스카를 위스망스(1848-1907). 모파상에서 앙드레 지드로 넘어가기 전에 다룰 수 있는 두 작가로,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일정에 포함시키고 싶다. 
















세기말 데카당의 대표격으로 알려진 위스망스의 소설은 국내에 세 권 번역돼 있다. <궁지>는 단편집이다(강의에서 다룬다면 우선 순위는 <거꾸로>다)


<거꾸로>(1884)

<궁지>(1887)

<저 아래>(1891)
















그리고 미르보의 작품은 <어느 하녀의 일기>가 유일한 번역본. 하녀가 주인공인 점에서는 공쿠르 형제의 <제르미니 라세르퇴>(1865)와 비교해볼 수 있다. 졸라의 <목로주점>(1877)에 영향을 주었다는 작품이다(공쿠르 형제 작품으로 현재는 유일한 번역본이다. POD판이라는 게 흠). 순서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모르겠는데, 여자 주인공의 운명을 다룬 프랑스 여성소설들만 모아 따로 강의를 진행해봐도 좋겠다 싶다. 대략 꼽을 수 있는 작품은 아래와 같다. 


















조르주 상드, <앵디아나>(1832)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1857)

플로베르, <순박한 마음>(1877)

공쿠르 형제, <제르미니 라세르퇴>(1865)

졸라, <목로주점>(1877)

졸라, <나나>(1880) 

모파상, <여자의 일생>(1883)

미르보, <어느 하녀의 일기>(1900)


발표순으로는 그렇지만, 작품의 시간적 배경이나 주인공의 계층에 따라서 순서는 조정해볼 수 있겠다. 아무려나 영화로도 나와 있는 만큼(대부분의 작품에 해당되지만) <어느 하녀의 일기>를 다음 프랑스문학 강의에서는 다뤄볼 계획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