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처음 읽은 이성미 시인의 시집들을 주문했다고 했는데 데뷔시집 <너무 오래 머물렀을 때>(2005)를 막간에 넘겨보았다. 넘겨보았다고 한 건 눈길이 머물게 하는 시와 만날 수 없었기 때문. 아이러니하게도 마음에 드는 건 뒷표지에 실린 헌사다. 시형식을 취하고 있으니 시집 ‘바깥‘에 나와있어도 시로 읽힌다. 이들에 대한 시들을 썼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여기 시들을 만들어준 모든 이에게

천대 받는 욕심에게
체념하며 떨군 눈물에게
늘 옆에 있는 허무와 불안에게
고단한 청춘에게
모든 뒷모습에게
어중간한 것들의 지난함에게
스승님과 어린아이들에게
늙으신 부모님에게 그분들이 주신
번잡하고 말랑말랑한 육체에게
아름다운 시와 싫어하는 시에게
시를 쓴 적 없는 시인들에게
보이지 않는 손가락에게
꽃과 바람과 나무와 물에게 돌과 별과 비와 봄에게
눈과 지푸라기에게 밤과 나비에게
내가 타고 왔다가 버린 모든 트럭과 자전거에게
잠과 뼈에게 물고기와 반달에게
획휙 지나가는 것들에게
세상의 모든 슬픔에게

시집의 발문격 해설은 시인과 인연이 있는 김정환 시인이 적었는데 여러 모로 과장되게 읽힌다. ˝우주적인 동시에 감각적인 이, 기괴하게 아름다운 연애시 혹은 불륜시˝라고 평한 ‘이상한 로맨스2‘ 같은 시만 보더라도 그렇다. 전문은 이렇다.

짙은 안개가 끼면
여자는 뾰족구두를 신고 뱃사공에게 간다

물과 땅이 나누어지 않은
태초의 혼돈과 만날 수 있다

배는 걸어오다가
사공과 함께 사라진다

안개가 걷히기 전에
여자는 돌아온다
강기슭에 구두를 벗어놓고

˝태초의 혼돈˝이란 말 때문에 ‘우주적인‘시가 되는 것인지는 몰라도, 나로선 습작에서 벗어나지 못한 미숙한 시로 읽힌다(실제로 동화적인 심상들에 기대고 있다). 차라리 이런 시보다는 ‘벼락‘이 더 사줄 만한 시다. 역시 전문이다.

밤하늘을 그어버리는
노란 손톱 자국

놀란 거인이 쿵쿵거리며 달려나온다

이 시인에 대해서 뒤늦게 알게 된 일이 놀라운 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해준 시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5-07 05: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