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송된 책은 <옥스퍼드 세계영화사>(열린책들, 2006)이다. 작년봄에 보급판이 나오고 나서도 한참만에 구매한 것인데, 계기가 된 건 엊그제 시립도서관에서 이 책과 자매편이 되는 <세계영화연구>(현암사, 2004)를 잠시 들춰봤다는 것. 나중에 시간이 나면 적겠지만 후자는 번역, 특히 고유명사 표기가 역자의 공언과는 달리 엉망인 책이었다(물론 주로 러시아 관련 인명들을 확인해본 것이지만).
거기에 비하면 <세계영화사>는 번역 또한 깔끔하고(읽어본 몇 대목에 한정해서 말하자면) 고유명사들의 표기도 비교적 정확하며 일관성이 있다. 분량 대비 가격도 최근에 나오는 책들에 비하건대 저렴한 편이고, 무엇보다도 분량에 거품이 별로 없는 게 마음에 든다. 국역본이 996쪽이고, 원저는 824쪽. 2배 가까이 부풀려지는 요즘 추세에 비하면 '정직'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아무래도 러시아 영화와 관련한 대목들을 먼저 훑어보게 됐는데, 책을 받자마자 읽어본 건 저명한 영화학자 데이비드 보드웰이 작성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1898-1948)' 항목(214-5쪽)이다. 박스로 처리된 이 소개글에서 몇 가지 교정사항을 '옥에 티'로 지적해둔다.
먼저, 첫대목. "25세때, 에이젠슈테인은 소비에트 연극의 '무서운 아이'였다. 혁명 전 연극에서 최고의 실험작으로 인정받은 오스트로프스키의 고전 <어떤 현자도 실수는 있다>를 그는 불경스럽게도 서커스 양식으로 바꾸었다."(214쪽)
여기서 '혁명 전 연극'은 'post-revolutionary stage'의 번역이므로 '혁명 이후 연극'이라고 옮겨야 한다. 물론 이때의 혁명은 1917년의 10월 혁명을 가리키며 에이젠슈테인 버전의 <현자>는 1923년에 처음 무대에 올려졌다. 이때만해도 그는 저명한 연극연출가 메이에르홀드(메이예르홀트)의 '수제자'였다. 그랬던 그가 프롤레트쿨트(Proletkult; '프롤레타리아 문화'란 뜻의 문화운동조직)의 제안으로 처음 만들게 된 영화가 데뷔작인 <파업>(1925)이었던 것.
그리고 '최고의 실험작으로 인정받은 오스트로프스키의 고전 <어떤 현자도 실수는 있다>"란 번역 또한 오해의 소지가 있다. '최고의 실험작'은 19세기의 고전 드라마 작가인 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1823-1886)의 작품이 아니라 에이젠슈테인의 '연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연출 경험은 그의 영화제작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에이젠슈테인은 모든 작품에서 그의 연극 경험을 살렸다. 소비에트적 전형에 대한 그의 해석은 그가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발견한 탈심리학적인 인격화에 의한 것이었다."
"무성영화 시대에 걸쳐 에이젠슈테인은 그의 미학적 실험이 국가의 프로파간다와 조화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의 영화들은 레닌의 묘비명으로 시작한다. 각각의 영화는 승승장구하는 볼셰비키 신화의 결정적 순간을 묘사한다."
마야코프스키의 시와 함께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들은 혁명 직후 러시아 혁명의 정신을 가장 잘 체현하고 있는 사례로 기억됨 직하다. 그런데 그의 영화들이 '레닌의 묘비명'으로부터 시작된다? '묘비명'은 'epigraph'의 번역이며 사전적으로야 물론 '비명(碑銘)'이란 뜻도 갖지만 여기서는 작품의 첫머리에 놓이는 '제사(題辭)'를 가리킨다. 레닌의 인용구들로 영화를 시작한다는 말이다.
그리하여 (가장 대표적으로) "<전함 포템킨>의 세계적 성공은 체제에 대한 동화와 경외를 불러일으켰다. 오데사 계단에서 차르 군대가 무고한 사람들을 학살하는 충격적인 묘사를 보고 동요하지 않을 사람이 있겠는가?" 여기서 '동화와 경외'는 'sympathy and respect'이다. 그리고 '체제'는 물론 '소비에트 체제'를 가리킨다. 그 체제에 대한 '공감과 존경'을 전세계에 불러일으킬 만큼 그의 영화는 (레닌이 기대한) '프로파간다'로서 탁월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던 에이젠슈테인은 "1930년에 헐리우드에서 잠시 머물렀고 멕시코에서(1930-2) 독립영화의 제작을 시도한 뒤 소련으로 돌아온 에이젠슈테인은 스탈린이 권력을 잡은 소련으로 돌아온다." 교정이 덜된 대목인데, '소련으로 돌아온'이란 말이 중복되므로 앞의 것은 빼는 게 낫겠다.
이 귀환 이후에 에인젠슈테인은 국립영화아카데미에서 변화된 추세에 맞는 새로운 영화적 표현을 모색해보지만 이삭 바벨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베진초원>(1935-7)은 반대에 부딪쳐 실패로 돌아간다(영화는 분실되고 몇몇 프레임만이 남아 있다). 아래 사진은 영화를 찍던 1936년의 에이젠슈테인과 작가 바벨.
하지만 에이젠슈테인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Alexander Nevsky)>(1938)로 재기한다(국내에 '알렉산더 네브스키'로 출시돼 있다). 13세기 게르만의 튜튼 기사단과의 러시아군의 일전을 소재로 한 이 영화는 "스탈린의 러시아 중심주의와 일치하고, 시의 적절하게도 독일 침공에 대항하는 프로파간다로 인식되었다. 에이젠슈테인은 레닌훈장을 받았다."
물론 우여곡절이 없진 않았다. 짤막한 소개에는 생략돼 있지만 1939년 히틀러와 스탈린 사이에 독-소불가침 비밀협정이 체결된 이후에 이 대중적인 흥행작은 상영이 중단되었다가 1941년 독일이 협정을 깨고 소련으로 침공해들어오자 애국심 고취 차원에서 다시 개봉되었던 것. 참고로, (스틸사진 중앙에 보이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역의 니콜라이 체르카소프는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적 '페르소나'로서 그의 마지막 걸작 <폭군 이반>(1,2부)에서는 이반 대제로 출연한다.
문제는 <폭군 이반>이었다. "<폭군 이반> 1부에서 에이젠슈테인은 주인공을 러시아의 통합을 위해 애쓰는 과감한 지배자로 묘사했는데, 스탈린이 어느 차르에 대한 '진보적' 해석이라 격려함으로써 그의 위상은 한층 강화되었다." 하지만 3부작중 2부는 (스탈린의 폭정을 암시하여) 정책 결정자들과 충돌하게 됐고 결국 상영이 금지되었다. "<이반> 2부에 대한 공격은 에이젠슈테인의 건강을 악화시켰고, 그를 고립시켰다. 1948년, 10여년 동안 멈추지 않았던 비판의 그늘 아래서 그는 죽었다."
끝으로 참고문헌에서 필자인 보드웰은 자신의 책 <에이젠슈테인의 영화>(1993)을 가장 먼저 거명하고 있는데(물론 ABC순이긴 하다) 영어권에서 나온 연구서 몇 권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프랑스에서 나온 책으론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자크 오몽의 <몽타주 에이젠슈테인>(영역본 1987)이 가장 유명하다. 러시아어 저자 블라디미르 니즈니(Nizhny, Vldimir)의 <에이젠슈테인의 영화강의(Lessons with Eisenstein)>(영역본 1962)도 매우 일찍 소개된 경우이지 싶다. 블라디미르(Vladimir)에 탈자가 있다...
07. 06.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