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겨울 일정 가운데 하나였던 에리히 프롬 읽기 강의를 마쳤다. <자유로부터의 도피><건전한 사회><사랑의 기술><소유냐 존재냐>, 네 권의 책을 7주차에 걸쳐서 읽는 일정이었고, 순서는 베스트셀러순이었다(<사랑의 기술>이 최대베스트셀러이고, <소유냐 존재냐><자유로부터의 도피>가 뒤를 잇는다). 프롬은 1960년부터 국내에 번역되기 시작해서 20종 이상이 출간되었다. 그만큼 많이 읽혔다는 뜻도 되지만, 현재는 상당수가 절판된 상태이기도 하다. 강의에서 다룬 네 권의 책은 제목만으로도 대략 주제나 내용을 가늠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책들도 있는데, 절판되지 않은 책 가운데서 더 읽을 만한 책들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도록 한다. 참고한 책은 박홍규 교수의 <우리는 사랑하는가: 에리히 프롬의 사랑과 사상>(필맥)이다. 

















프롬에 관한 참고서는 박홍규 교수의 책 외에도 옌스 푀르스터의 <에리히 프롬>(아르테)과 로런스 프리드먼의 <에리히 프롬 평전>(글항아리) 등을 더 들 수 있다(강의에서 참고한 책들이다). 평전은 자세하고 수준이 있는 편이지만 번역 상태가 좋지 않다. 















박찬국 교수의 해설서로 <에리히 프롬 읽기> 등도 참고할 수 있는데, 저작별로 다루고 있지 않은 게 특징이자 흠이다. 주요 저작을 읽으려고 하는 독자에게는.


프롬의 저작은 <자유로부터의 도피>(1941)를 출발점으로 하여 <소유냐 존재냐>(1976)에서 일단락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1980년 사망 이후에 몇권의 책이 유작으로 나왔는데(유작의 연도는 중요하지 않겠다) <불복종에 관하여>나 <존재의 기술> 등이 그러하다. 절판된 책을 제외하면 대략 10권 가량이다. 번역본은 가장 널리 읽히는 판본으로 골랐다. 


에리히 프롬 읽기


1941 <자유로부터의 도피>



1947 <자기를 위한 인간>



1955 <건전한 사회>



1956 <사랑의 기술>



1962 <환상의 사슬을 넘어>



1964 <인간의 마음>




1976 <소유냐 존재냐>



1981 <볼복종에 대하여>



1989 <존재의 기술>



그밖의 번역본으로는 동서문화사판이 있는데, 다수의 제목이 기존 번역본들과 다르다. 
















두 종의 번역서에 수록된 작품들은 모두 7편이다. 


<악에 대하여>(1964) -><인간의 마음>

<인생과 사랑>(1976)-><삶의 사랑을 위하여> 

<희망의 혁명>(1968)

<불복종과 자유>(1981) -><불복종에 관하여>


<소유냐 삶이냐>(1976) -><소유냐 존재냐>

<사랑한다는 것>(1956) -><사랑의 기술>

<자유에서의 도피>(1941) -><자유로부터의 도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