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408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황석영의 <손님>(2001)에 대해 적었다. 1989년 방북 경험이 계기가 된 소설이고, 이후 2000년 남북정상회담 시에도 공식방문단의 일원으로 북한을 방문하였다. <손님>을 그런 분위기를 타고 출간된 작품이기도 했다. 참고로 피카소의 '한국에서의 학살'은 신천 학살사건을 모티브로 한 그림으로 추정된다...
주간경향(20. 12. 28) 신천 양민학살사건의 진실
2000년대 벽두에 “황석영이기에 가능한” 소설로까지 격찬을 받았던 소설 <손님>을 뒤늦게 읽었다. 한국전쟁 시기 황해도 신천의 학살사건(1950)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사후 50년 만에 그 역사적 진상이 문학적 프리즘을 통해 드러날 수 있었던 건 전적으로 작가의 노고 덕분이다. 1989년 방북 시기에 북한 측의 안내를 받아 직접 학살 현장을 방문하고, ‘미제 학살기념 박물관’도 견학한 작가는 공식적인 진실과는 ‘또 다른 진상’이 있지 않을까라는 의심을 가졌다고 한다. 이후 10년간의 조사와 준비 끝에 학살의 진실을 새롭게 밝힌 소설이 <손님>이다.
주인공은 미국에서 목회활동을 하는 류요섭 목사다. 고향방문단의 일원으로 고향인 황해도 신천의 찬샘골을 찾게 돼 같은 미국 이민자인 형 요한을 찾지만 그는 동생의 방북을 마땅찮게 생각한다. 요한은 전쟁 때 마을 사람들에 대한 학살에 앞장선 전력이 있다. 그렇지만 늦게라도 용서를 구해야 한다는 동생의 제안에 화를 낸다. 당시 빨갱이들은 마귀의 무리였고, 자신은 신의 뜻에 따른 십자군이었다는 것이 요한의 생각이다. 요한은 동생의 제안을 거절한 채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고 동생 요섭은 화장한 형의 뼈 한조각을 갖고서 방북길에 오른다. 그의 방북은 북한에 남아 있던 형의 가족과 재회하는 여정이면서 고향을 찾아 형의 죄에 대해 용서를 구하려는 속죄의 여정이다.
그렇다고 형을 대신한 대속은 아닌데, 죽은 형과 형에게 죽임을 당한 고향 사람들이 환영으로 그와 동행하는 여정이어서다. 이 환영의 증언을 통해서 요섭이 마주하게 되는 진실은 해방 직후에 북한에서 벌어진 한국현대사다. 이미 일제강점기에 북한에서는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가 적극 유입되었고, 이는 전통시대의 계급적 대립을 대체했다. 해방과 함께 기독교와 공산당의 대립은 차츰 격화했다. 양 진영의 테러가 자행되던 형국에서 전격적으로 무상몰수 무상분배를 기조로 한 토지개혁이 단행되고 이는 갈등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되었다. 무산계급 농민의 입장에서는 더없이 반길 만한 혁명적 조처였지만 교인들의 다수를 구성했던 지주와 자본가 계급에는 청천벽력이었다. 전체 주민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3만5000여명이 희생당한 신천 학살사건이 터지게 된 배경이다.
구체적인 학살 장면도 포함돼 있지만 <손님>은 여러 인물의 목소리를 통해 학살의 사회적 배경을 묘사하는 데에도 주력한다. 확장된 시야에서 보자면 그 배경은 보편적인 계급투쟁의 한국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지주와 농민의 계급적 충돌은 불가피하다. 더구나 한국사회에서는 그러한 이행과 변화가 단기간에 급속하게 이루어져 갈등의 폭발력이 클 수밖에 없었다. <손님>은 미군의 양민학살이란 공식적인 설명 너머로 신천 학살의 진실이 기독교와 공산당으로 분열된 민족 내부의 학살극이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작가는 ‘황해도 진지노귀굿’ 열두마당의 형식을 차용해 이 비극적 사건의 해원을 시도한다. 죽은 뒤에야 고향을 다시 찾은 형 요한은 아우에게 “이제야 고향땅에 와서 원 풀고 한 풀고 동무들두 만나고 낯설고 어두운 데 떠돌지 않게 되었다”고 말한다. 과연 그러한 화해가 넋굿의 형식으로 가능한가는 의문이지만 잊힌 역사적 사건을 다시 불러내 현재적 비극으로 읽게끔 한 것만으로도 <손님>의 가치는 충분해 보인다.
P.S. 한국전쟁 시기 양민학살에 관한 책들은 그간에 여럿 나왔다. <손님>은 자연스레 이 책들에도 눈길을 돌리게 한다. 어디에 있는지 손이 닿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