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를 보내는 소감을 적었으니 여건이 된다면 분야별 정산과 함께 올해의 책도 꼽는 것이 순서이겠다(그런 요청을 받고 몇권 적어보내기도 했다). 그렇지만 항상 읽은 책은 읽어야 했던 책에 비하면 말 그대로 빙산의 일각 수준이라(게다가 올해는 서평강의도 진행하지 않아서 비문학 분야의 독서량이 많이 줄었다) 매번 아쉬움만 적게 된다. 철학 분야도 마찬가지인데, 정돈이라도 하는 의미에서 읽어야 했던 책을 꼽아본다(손에 들기만 했던 책들이 대부분이다). 
















특별히 두 저자를 골랐는데, 바이저나 데란다의 이름을 기억하는 독자라면 철학에 특화된 독자라고 봐도 무방하겠다(푸코나 들뢰즈 같은 이름이 1선의 철학자라면 2선 라인에 있는 철학자라고 할까). 다만 프레더릭 바이저가 헤겔과 독일 관념론 전문가이고 마누엘 데란다는 들뢰즈주의 철학자여서 서로 '적대적'이다(두 저자를 같이 읽는 독자는 희소할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네댓 권 정도의 책이 국내에 번역돼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프레더릭 바이저의 책은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그린비)가 처음 소개된 이후에 계속 도서출판b에서 나오고 있다. 대략 독일철학사 내지 사상사를 다룬 책들이다. 지난 달에 나온 <계몽, 혁명, 낭만주의>는 '근대 독일 정치사상의 기원, 1790-1800'이 부제다. 놀랍게도 딱 10년간을 다룬 책인데 분량이 650쪽이다. 매우 자세하게 검토한 전문서라고 할 수 있다. 시기별로 재배치하면 <이성의 운명><계몽, 혁명, 낭만주의><낭만주의의 명령><헤겔><헤겔 이후> 순서로 읽을 수 있다. 어쨌든 독일 근대철학사의 확장 버전으로 읽을 수 있는 게 바이저의 책들이다. 
















말이 나온 김에 독일지성사와 철학사 관련서도 다시 상기해둔다. 
















그리고 카를 슈미트의 책들까지. <정치신학2>에 이어서 지난여름에 <정치적 낭만주의>(에디투스)도 번역되었다. 















법학자이기도 한 슈미트의 헌법론도 소개돼 있지만, 나의 관심은 정치사상에 한정된다. 일본학자 오오다케 코지의 <정전과 내전>(산지니)도 구입한 지 몇달 되었는데, 아직 펴보지 못하고 있다. 
















마누엘 데란다의 책은 최근에 <들뢰즈: 역사와 과학>(그린비)이 나왔다. <지능기계 시대의 전쟁>도 올해 나왔고, <새로운 사회철학>이 지난해 봄에 나왔던 책. 기억만 하고 있다가 한꺼번에 구입했다. 들뢰즈 철학에서 역사를 어떻게 설명하는지가 관심사여서다(헤겔의 역사철학과 견주어서).
















확인해보니 대표작으로 가장 먼저 소개됐던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그린비)이 2009년에 나왔다. 프레더릭 바이저와 앞서거니뒤서거니고, 얼추 10년씩 된 셈. 덧붙이자면, 올해 나온 들뢰즈 관련서로는 조정환의 들뢰즈 철학 해설서 <개념무기들>(갈무리)와 이찬웅의 <들뢰즈, 괴물의 사유>(이학사) 등이 있다. 연말을 넘기면 구입을 고려해봐야겠다. 
















한때 들뢰즈 철학의 키워드는 노마디즘이나 탈주였는데, 지금은 '감응'과 '배치'다. 특히 감응(혹은 '정동')은 비평가들의 필수 무기가 되었다. 그와 관련한 책들도 지난해와 올해 몇 권 나왔다. 
















이 주제의 대표 저자로 브라이언 마수미의 책들도 여럿 나와 있는데, 나는 아직 <정동 이론>(갈무리) 정도에 머물러 있다. 


정동/감응이론이나 배치론이 역사를 어떻게 기술하는지 관심을 갖는 것은 문학사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와도 연관되기 때문이다. 새삼스럽지만, 갈길은 멀고 책은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