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과학서로는 매튜 스탠리의 <아인슈타인의 전쟁>(브론스테인)을 고른다. 1차세계대전 기간 중 무명의 독일 물리학자가 '아인슈타인'이라는 과학계의 슈퍼스타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책이다. '적국'이었던 영국 과학자 아서 에딩턴과의 만남이 결정적이었는데, 상대성이론이 관찰을 통해 입증되고 과학계에 수용되기까지의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지난봄에 나온 책으로(유시민 추천도서로 잘 알려진) 짐 홀트의 <아인슈타인이 괴델과 함께 걸을 때>(소소의책)와 나란히 꽂아둘 만하다.   
















문학강의에서도(소설의 서사에서 시간이 중요한 범주인지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대해 종종 언급하게 된다. 물론 상대성이론을 설명하는 게 아니라 절대적 시공간을 대체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이 문학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 소개하는 정도다(상대성이론의 효과는 사실 우리의 일상 수준에서는 체감되는 것이 아니기에). 현대물리학이나 상대성이론에 관한 책들도 적지않게 갖고는 있지만 열독하지는 않았다. 아, 그러고보니 가모프의 책들이 생각나는군.


 













최근에 다시 나왔는데, 전파과학사에 나온 가모프의 책들은 30년도 더 전에 내가 제일 처음 읽은 물리학 교양서들이었다. 문고본이어서 전파과학사의 책들을 더러 읽고는 했다(가모프를 다시 떠올린 건 지난달에 다시 읽은 우엘벡의 <소립자> 때문이기도 한데, 번역본에서는 '가모우'로 표기됐다). 아무려나 물리학 책들도 읽을 시간이 나면 좋겠다. 















덧붙여 생각난 김에, 학부시절에는 <시인을 위한 물리학>도 제목에 이끌려 보았는데, 그다지 재미를 보지는 못했다. 절판된 책 가운데서는 <아인슈타인의 공간과 반 고흐의 하늘>(고려원) 같은 책도 손에 들고다녔던 기억이 있다. 내게 잘 맞는 건 미치오 가쿠의 책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