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에 시몬 드 보부아르의 <모든 인간은 죽는다>를 강의하면서 '보부아르 읽기'의 견적서를 내봤다. 사실 <제2의 성>은 번역돼 있지만 주요 소설들은 절판된 상태라 보부아르 강의는 계획하기 어려웠는데, 몇달 전에 새로 나온 <레망다랭>(현암사) 때문에 그래도 견적이라도 내볼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일단 보부아르의 책들을 소설과 비소설로 나눈다면, 소설은 다시 <레망다랭>까지와 이후의 자서전(대략 5-6편을 이 범주에 넣는다)으로 나눌 수 있다. 첫 장편 <초대받은 여자>부터 <레망다랭>까지의 목록은 이렇다.
<초대받은 여자>(1943)
<타인의 피>(1945)
<모든 인간은 죽는다>(1946)
<레망다랭>(1954)
유감스러운 건 이 가운데 <초대받은 여자>가 절판된 상태라는 것(이번에 중고로 다시 구입했다). 중요도로 치자면 공쿠르상 수상작인 <레망다랭>만큼 중요한 작품이 <초대받은 여자>이고, <타인의 피>는 보부아르 윤리학의 연장선상에서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모든 인간은 죽는다>는 죽음의 문제를 다룬 형이상학 소설로 사르트르의 희곡들과 같이 읽을 수 있는 작품. 여하튼 절판된 소설들이 다시 나와야 보부아르 문학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독서와 평가가 가능해진다.
이어서 자서전으로 넘어가면 1958년 50세에 출간한 <처녀시절>(<정숙한 처녀의 회상>)부터 만년의 사르트르에 대한 회고 <작별의 예식>까지다. 미번역 작품명은 <처녀시절/여자 한창때>의 연보를 따른다.
<처녀시절>(1958)
<여자 한창때>(1960)
<사물의 힘>(1963)
<결국>(1972)
<아주 편안한 죽음>(1964)
<작별의 예식>(1981)
이 가운데, <쳐녀시절>과 <여자 한창때>(다른 제목으로는 <계약결혼>으로 번역됨), 그리고 <조용한 죽음>과 <작별의 예식>이 번역돼 있다. <작별의 예식>은 절판된 상태. 이 경우에도 <사물의 힘>과 <결국>이 마저 번역되면 좋겠다(그렇게 완간된다면 영국 작가 도리스 레싱의 자전소설들과 견줄 만하다. 레싱의 소설로는 <마사 퀘스트>가 포함된 '폭력의 아이들' 5부작과 <금색 공책>을 자전소설로 꼽을 수 있다. 더불어 레싱은 두 권의 자서전도 남겼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1296/55/cover150/8936603477_1.jpg)
이상 10권에 비하면 <위기의 여자>나 <모스크바에서의 오해>는 자투리 정도에 해당한다(그럼에도 마땅한 번역본이 없어서 <위기의 여자>를 강의에서 읽으려 했다). <타인의 피>도 번역본은 있지만 너무 낡은 상태라 세계문학전집판의 새 번역이 나오길 기대한다.
이제 덧붙이자면 에세이들이 있다. 초기의 중요한 두 에세이가 국내에서는 어울리지 않는 제목으로 번역돼 유감이다(<그러나 혼자만은 아니다>는 번역 상태도 안 좋다).
<퓌루스와 시네아스>(1944) *<모든 사람은 혼자다>
<애매성의 윤리학>(1947) *<그러나 혼자만은 아니다>
<노년>(1972)
기타로는 미국 여행기와 미국 작가 넬슨 알그렌에게 보낸 연애편지가 있다. 현재는 절판된 상태인데, 이번에 마음먹고 모두 중고로 구입했다. 다시 나올 가능성이 적어 보여서.
이제 <제2의 성>과 보부아르에 관한 2차문헌이 남는데(보부아르의 저작은 사르트르의 철학서들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가령 <존재와 무><변증법적 이성비판>과 <제2의 성>은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건 다른 기회에 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