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있어야 책이 나오겠지만, 저자만으로 책이 나오진 않는다. 편집자의 몫이 더해져야 하기 때문이다(통상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다. 때로는 저자와 편집자가 겹치기도 하므로. 저자가 자기 책을 편집해서 낸다거나 편집자가 자기 책을 낼 경우가 그렇겠다). 보통은 저자의 배후에서, 혹은 2선에서 '숨은 조력자'(때로는 '숨은 저자')로 역할을 하는데, 가끔씩은 편집자의 일과 역할을 책으로 털어놓기도 한다. 이은혜(글항아리 편집장)의 <읽는 직업>(마음산책)이 최근 사례다. '독자, 저자, 그리고 편집자의 삶'이 부제.
"편집자 이은혜가 오랜 시간 골몰해온 출판과 편집에 관한 고민, 태도를 숨김없이 진솔하게 써내려간 책으로, 풍부한 편집 경험에서 우러난 베테랑 편집자의 날카로운 시각과 깊은 통찰력이 돋보인다. 편집자의 일을 실무에 기초한 매뉴얼식으로 나열하지 않고 다양한 실제 사례를 들어가며 보여줌으로써 편집의 세계를 명료하고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저자로서 책을 좀 내는 과정에서 여러 편집자와 인연을 맺게 되었고(저자는 언젠가 한 도서관강의에서 인사를 나눈 기억이 있다), 편집자의 일과 역할에 대해서 좀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유익하다.
이번 책이 마음산책에서 나왔기에 바로 떠올릴 수밖에 없는 책이 정은숙 마음산책 대표의 <편집자 분투기>(바다출판사)다. 나는 시인으로 먼저 알았지만 나중에 아마도 지면 칼럼을 통해서 저자가 편집 일을 한다는 것, 그리고 아예 독립하여 자신의 출판사를 차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얼마전에 마음산책은 창립 20주년이 되었다(<스무 해의 폴짝>이 이를 기념하여 나왔다).
또다른 편집자는 <편집자란 무엇인가>(휴머니스트)를 펴낸 김학원 대표. 기억이 틀리지 않다면, 정은숙 대표나 김학원 대표는 출판학교의 강사들이기도 하다. 현장에서 편집자 교육의 실무도 담당해온 경험이 책에 담겼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17762/9/cover150/k542534225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3752/60/cover150/k612639968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3400/77/cover150/8932919798_1.jpg)
그밖에도 편집자에 관한 책이 국내서와 번역서로 여러 종 나와 있다. 공식적인 통계는 모르겠지만 출판계에서 전체 편집자가 수천 명(수만 명?)은 될 듯싶은데(인문서의 주요 독자층으로 알려진다) 편집자를 지망하는 청년 독자뿐 아니라 작가 지망생, 내지는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관심을 가진 모든 독자들이 읽어봄직하다. 나도 내가 모르던 마음이 있는지 확인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