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96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여러 차례 강의에서 다룬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에 대해 간단히 적었다. 이번 가을 강의에서는 <오만과 편견>과 함께 그에 이어지는 <맨스필드 파크>와 <에마>를 다시 읽을 예정이다...

















주간경향(20. 09. 28) 신분에 의해 결정되던 결혼 관습에 대한 항변


지난 2017년 사후 200주년을 맞아 제인 오스틴 소설전집이 국내에서도 출간되었다. 이후에도 그가 남긴 여섯 편의 장편소설은 계속 번역본으로 나오고 있어 동시대 작가처럼 여겨진다. 고전이 갖는 시대 초월성은 오스틴의 소설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나 할까. 하지만 사정을 들여다보면 오히려 지금이야말로 전성기가 아닌가 싶다. 정작 작가의 생전에 그의 작품들은 초판이 매진되는 정도였다. 인기가 있었다고는 해도 제한적이었고, 그마저도 사후에는 잊혔다.


오스틴의 복권과 부활은 19세기 말부터 이루어졌고, 20세기 중반에 저명한 비평가 리비스는 <영국소설의 위대한 전통>에서 오스틴을 그 ‘위대한 전통’의 출발점으로 지목했다. 사실 오늘날 세계문학사에서 최초의 위대한 여성 소설가의 영예는 오스틴에게 돌려진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효시로 삼고 있지만, 근대소설의 발달이 주로 영국에서 이루어진 걸 감안하면 특별히 놀라운 사실은 아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전 세계에서 셰익스피어 다음의 인기를 누리는 영국 작가가 오스틴이기도 하다. 오스틴 소설의 성취와 의의는 과연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가장 널리 읽히는 <오만과 편견>(1813)을 사례로 떠올려보자. 이름 대신에 ‘한 숙녀’를 저자로 하여 <이성과 감성>을 발표한 오스틴이 그에 이어서 ‘<이성과 감성>의 저자’를 작가로 하여 발표한 소설이다. 널리 알려진 대로 청춘남녀 주인공인 리지(엘리자베스)와 다아시가 우여곡절 끝에 결혼에 이르는 이야기가 줄거리다. 분류상으로는 통상 가정소설 혹은 구혼소설에 속한다(소설사에서 오스틴은 18세기 말부터 유행한 가정소설의 결정판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소설에서는 리지와 다아시 커플 외에도 여러 쌍이 등장하는데 자연스레 각 커플은 비교된다.

가령 리지의 친구 샬럿은 상대에 대해 아무런 애정도 갖고 있지 않지만, 경제적 배경과 사회적 지위를 고려해 콜린스와 결혼한다. 콜린스는 리지에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남자인데 샬럿은 개의치 않는다. 자신은 나이도 많은데다가 낭만적인 성격도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샬럿과의 대화에서 리지는 비로소 결혼에 대한 생각이 자신과 다르다는 걸 알고 놀란다. 그렇지만 특이한 쪽은 샬럿이 아니라 리지다. 당시의 통념과는 다르게 리지는 조건에 따른 정략결혼에 반대했다. 비록 나중에 눈물까지 흘리지만 다아시의 첫 번째 청혼을 그런 이유에서 거절한다. 그렇다고 리지가 감정만을 중시하는 것도 아니다. 막냇동생 리디아는 위컴과 낭만적 사랑에 빠져 도주 행각 끝에 결혼하게 되지만, 결코 모범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재산과 사랑이 결혼의 중요한 요소인 건 맞지만 결코 전부는 될 수 없다는 것이 리지의 생각이다.



대신에 리지는 서로의 동등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재산과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이유로 둘의 결혼에 반대하고 나서는 캐서린 영부인에게 리지는 이렇게 대꾸한다. “영부인의 조카와 결혼한다고 해서 제가 그 테두리를 벗어난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그분도 신사고, 저도 신사의 딸이니까요. 그 점에서 우리는 동등해요.” 자기 테두리를 벗어나면 안 된다는 충고에 대한 대꾸다. 오스틴 자신은 20대 초반에 사랑했던 남자와의 결혼이 신분 차이를 이유로 남자 쪽 집안에서 반대해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직후에 쓴 소설이 <오만과 편견>의 초고 <첫인상>이었다. 남녀의 동등성에 대한 리지의 주장은 신분에 의해서 결정되던 결혼 관습에 대한 오스틴의 항변이면서 오늘날까지 그의 소설이 호소력을 갖는 이유로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