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 데이비드 브룩스의 신작이 번역돼 나왔다. <두번째 산>(부키). 주목하게 되는 건 전작 <인간의 품격>(부키)에 대한 호감 때문이다(여러 인물들에 대한 스케치 가운데 특히 조지 엘리엇 장이 내게는 유익했다). '믿고 보는' 저자로 분류한 것. '두번째 산'으로 비유되는 신작의 요지에도 적극 공감한다.
"데이비드 브룩스는 <두 번째 산>에서 우리는 고통의 시기를 겪으며 인생의 태도를 다시 정립한다고 말한다. 삶의 고통을 딛고 다시 시작하는 법을 익히려면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인생을 대하는 태도가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제 우리가 개인의 행복, 독립성, 자율성이라는 허울 좋은 가치를 넘어 도덕적 기쁨, 상호 의존성, 관계성을 회복할 때라고 주장한다. 지난 60년간 앞의 가치들을 지나치게 강조해 온 결과, 공동체는 해체되고 개인들 사이의 결속은 끊어지며 외로움은 확산되었다는 것이다. '사회적 고립'으로 부를 수 있는 이런 상황은 삶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킬 뿐 아니라 자기 발견과 성장을 한층 더 어렵게 만든다. 저자는 좋은 인생을 살아가려면 훨씬 더 큰 차원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문화적 패러다임의 무게 중심이 개인주의라는 첫 번째 산에서 관계주의라는 두 번째 산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주의라는 첫번째 산과 관계주의라는 두번째 산 사이의 관계가 문제될 수 있는데, 그것이 선택적인 것인지, 순차적인 것인지에 대한 저자의 입장은 책을 읽어봐야 알겠다. 다만, 현재 진행하고 있는 도스토예프스키 강의에서, 그리고 미국문학 강의에서 내가 강조하는 것은 그 순차성이다. 혹은 병행성이다. 저자가 톨스토이를 사례로 들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끄는데, 문학에 대한 식견도 미더운 편이다. 이주의 추천도서로 모자람이 없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