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84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빅토르 위고의 초기 대표작 <파리의 노트르담>에 대해 적었다. 영화와 뮤지컬 원작으로도 널리 알려진 소설의 의의가 어디에 있는지 생각해보았다...


















주간경향(20. 07. 06) 노트르담 대성당의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의


빅토르 위고의 대표작은 <레미제라블>(1862)이지만 그만큼 널리 알려진 작품으로 <파리의 노트르담>(1831)을 빼놓을 수 없다. 위고의 많은 작품이 영화나 뮤지컬로 만들어져 원작을 뛰어넘는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쌍두마차에 해당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레미제라블>이 제2 제정에 맞서 망명 중이던 위고가 예순의 나이에 발표한 원숙한 작품이라면 <파리의 노트르담>은 낭만주의의 기수를 자처한 청년 위고의 패기를 담고 있다. 그렇지만 작가의 연보를 지우고 읽는 독자들에게 그 패기는 관록으로 읽힐 만큼 놀라운 식견과 입담을 자랑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흔히 집시 처녀 에스메랄다와 성당의 종지기 꼽추 카지모도의 사랑 이야기로 유명하지만 <파리의 노트르담>의 성취는 그런 이야기에 있지 않다. 문학사가 랑송의 평을 빌리자면 사랑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에서 인물들의 심리묘사는 불충분하고 보잘것없다. 심리소설의 정수를 보여주는 스탕달의 <적과 흑>보다 한 해 뒤에 나온 작품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약점은 치명적일 수 있다. 비록 중세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라 하더라도 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의 노트르담>은 이러한 약점을 상쇄해주는 미덕을 갖추고 있는데, 그것은 건축예술과 역사에 관한 작가의 식견이다.


지난해 안타까운 화재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노트르담 대성당은 파리의 랜드마크로서 대표적인 건축물이지만 위고가 이 작품을 쓸 무렵에는 방치된 상태였다. 14세기에 완공된 건축물로서 세월의 침식은 불가피했고, 프랑스 혁명을 거치면서 일부 훼손돼 아예 헐어버리자는 여론도 대두했다. 이러한 여론을 반전시킨 이가 바로 위고였고, 그것이 <파리의 노트르담>의 업적이다. 위고는 소설의 여러 장을 할애해 노트르담 대성당의 공간적·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의를 웅변한다. 이러한 관심의 환기 덕분에 10년 뒤 성당 복원공사가 시작되어 1864년에 마무리된다. 건축가 외에도 이 건물에 산파가 있다면 의당 위고를 지목해야 하리라.

위고는 이런 건축물이 개인적인 작품이 아니라 사회적인 작품이라고 말한다. “천재적인 사람들이 내던져놓은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진통을 겪은 민중의 산아요, 한 국민이 남겨놓은 공탁물”이라는 것이다. 청년 위고는 정치적으로 왕당파에 가까웠지만, 역사를 보는 안목에서는 장래 공화주의자 위고를 미리 읽게 한다. 위고에 따르면 모든 문명이 신정에서 시작되어 민주주의로 끝난다. 그 각각을 상징하는 것이 건축술과 인쇄술이다. <파리의 노트르담>에서 에스메랄다를 탐하는 부주교 프롤로는 구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인데, 시대의 전환기를 맞아 책(인쇄술)이 건물(건축술)을 죽이리라고 예견한다.

15세까지는 건축이 ‘위대한 책’이었다. 그러나 이제 이 ‘돌의 책’은 차츰 ‘종이의 책’에 자리를 내놓게 될 것이다. 위고는 인쇄된 책에 의해 죽임을 당한 건축술을 애도한다. 그는 인쇄술의 위대함을 부인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대리석의 책장들에서 과거를 다시 읽어보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한다. 그는 돌의 책과 종이의 책을 모두 사랑하며 존중한다고 할까. 15세기 말을 배경으로 한 <파리의 노트르담>에는 에스메랄다의 구애자가 여럿 등장하지만 누구도 그의 짝이 되지는 못한다. 부주교도, 시인도, 종지기도. 역사의 전환기는 누구도 주인이 아닌 시대여서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