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에 관한 책을 가끔 구입하는데, 최근에 나온 책 가운데 유승원의 <사대부시대의 사회사>(역사비평사)가 그 중 하나다. '조선의 계급·의식·정치·경제구조'라는 부제에 끌려서다. 조선사회의 기본 성격과 구조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는 것 같아서 주문한 것.
저자의 다른 책으론 <조선초기 신분제 연구>(1987)라고, 무려 33년 전에 나온 책이다. 그래서 정확히 가늠은 되지 않지만 역사비평사에서 나온 책이니 만큼 믿어보기로 한다. 같이 주문한 책은 <역사책에 없는 조선사>(푸른역사). '유생들의 일기에서 엿본 조선 사람들의 희로애락'이 부제다. 이 또한 그저그런 이야기 모음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푸른역사에서 나온 책이어서 믿어보기로 한다. 김범의 <사람과 그의 글>(테오리아)은 조선사 전공자가 쓴 '인물 한국사'다.



조선사 책으로 직전에 모아놓은 건 조윤민의 '지배와 저항으로 보는 조선사' 4부작이다. 작년 여름에 완결되었는데, 아직 손을 대지 못했다. 사실은 조선시대 문학(고소설)을 다룰 일이 있어서 맘잡고 읽게 되지 않을까도 싶다.
참고로 확인해보니 이 분야의 베스트셀러는 단연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이다. 그 뒤를 잇는 책이 박영규의 <조선왕조실록>과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최근에는 이덕일의 <조선왕조실록>이 출간되고 있다. 고 노회찬 의원의 <조선왕조실록>도 기억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