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올리려다가 만 페이퍼다. 인류세와 자본세를 화두로 한 책들이 나와서 같이 묶으려 한다. 먼저, 사이먼 루이스와 마크 매슬린 공저의 <사피엔스가 장악한 행성>(세종서적). 원제는 '휴먼 플래닛'(2018)이다. '인류세가 빚어낸 인간의 역사 그리고 남은 선택'이 부제.
"21세기에 대두한 중요한 과학 논쟁 중 하나인 ‘인류세Anthropocene’ 즉 ‘인간의 시대Age of Man’에 관한 세밀한 탐구서. 문명의 붕괴와 멸종 시나리오로 보는 세계사를 통해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는 기본 규칙을 밝혀주는 새로운 증거들을 총망라했다. 인간, 즉 사피엔스가 어떻게 ‘자연의 폭력’이 되었는지를 집요하게 파헤침으로써 인류세라는 불안정한 지구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극심한 환경파괴를 극복할 방안으로 보편적 기본소득과 재야생화를 강조하고, 미래에 대한 아직은 실현 가능한 희망을 제시한다."
지질학계에서는 검토중인 사안으로 알지만, 출판쪽에서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적극 수용한 책들이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류세인문학단이 발족하여 책을 펴내고 있는 상황. 그것이 사피엔스의 성취인지, 재앙의 시작인지는 두고봐야겠으나 조짐이 좋지는 않다(기후변화와 함께 코로나 사태가 대표적 징후다). 인류세를 다르게 '자본세'로 부를 수 있다면(실제로 인류세의 기점은 산업혁명으로 보는 시각과 2차 세계대전 이후로 보는 시각이 있다. 어느 쪽이든 자본주의 문명이 인류세의 핵심 조건이다).
이번주에 나온 라즈 파텔 등의 <저렴한 것들의 세계사>(북돋음)가 이 문제를 숙고하게 해준다. 라즈 파텔은 앞서 <경제학의 배신><식량전쟁> 등의 책으로 소개된 저자. 이번 책의 부제는 '자본주의에 숨겨진 위험한 역사, 자본세 600년'이다. 자본주의의 탄생과 함께 인류니, 아니 지구는 자본세로 진입했다는 얘기?
"‘자본주의는 세계를 싸구려로 만듦으로써 작동해왔다’는 저자들의 메시지는 기후 위기, 극단적 불평등, 금융 불안 같은 현재의 위기가 자본주의가 감춰온 비용이 비로소 우리에게 청구서로 날아들었음을 서늘하게 지적한다. 이들 위기는 별개의 해법으로 고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세계라는 총체를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재구성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때로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과연 우리가 어떤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인지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그런 성찰을 강요받고 있다는 것도, 인류세 혹은 자본세의 특징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