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가 그레빙의 <독일 노동운동사>(길)가 나왔기에 갖게 된 궁금증이다. 영국의 노동운동사 책은? 궁금할 것도 없었는데, 바로 검색했으면 됐으니까. G.D.H. 콜의 <영국 노동운동의 역사>(책세상)가 나와 있다. 톰슨의 <영국노동계급의 형성>(창비)과 엥겔스의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라티오)만 생각이 나서 잠시 가졌던 궁금증이었다. 
















당연하지만, 노동운동과 노동계급의 형성은 분리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거꾸로 '독일 노동계급'에 관한 책은 왜 나와있지 않은가 궁금하다. 찾아보니 영어로 된 책 가운데는 <독일 노동계급 1888-1933> 같은 책이 눈에 띈다. 그렇지만 대략 노동운동사나 노동조합을 다룬 책이 더 많다. 톰슨의 책에 견줄 만한 확실한 책은 적어도 영어권에는 없는 듯싶다(독어로는 나와있을지도). 


갑작스레 노동운동이나 노동계급에 관심을 갖게 되었느냐면, 그건 아니다. 나의 일차적인 관심은 문학사이고, 노동계급의 형성과 노동문학 내지 민중문학은 자연스레 상관성을 갖는 문제다. 거기서 좀더 나아가면 영문학과 독일문학 간의 차이를 식별하게 해줄지도 모른다는 가정도 해볼 수 있다. 영국과 독일의 노동운동 강도와 노동계급 형성 시기의 차이가 문학사에는 어떻게 반영돼 있는지 질문할 수 있기에. 
















헬가 그레빙의 책은 <유럽 노동운동은 끝났는가>(노동자신문)라는 공저가 1994년에 소개된 바 있다. 국내서로 이병련의 <독일노동운동의 사회삼>(고려대출판부)도 2004년에 나온 관련서다. 그밖에 독일 노동법에 관한 책이 몇 권 있고, 가장 최근에 나온 관련서는 에른스트 윙거의 <노동자. 고통에 관하여. 독일 파시즘의 이론들>(글항아리)이다. 

















에른스트 윙거는 '파시스트'로서 논란이 되는 작가인데, 앞서 두 권의 소설이 번역됐었다. 20세기 독일 문학을 다룰 때 커리로 고려해봐야겠다. 


"이 책은  '나치즘의 헌법' '파시즘의 마그나카르타'라는 평가를 받는 <노동자: 지배와 형상>(1932)과 <고통에 관하여>(1934)를 국내 초역했다. 아울러 윙거의 사유에 숨겨진 독성에 대한 ‘해독제’로서 작용할 발터 벤야민의 <독일 파시즘의 이론들>을 함께 수록했다. 이로써 '전체주의의 역사철학서'로 악명만 높았던 윙거 초기 사상의 실체를 국내 독자들도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