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사 입문서가 출간되었다. 심지어 국내 '첫 입문서'라고. 리처드 왓모어의 <지성사란 무엇인가?>(오월의봄). 그런데 소개를 보니 특별히 케임브리지 학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성사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히 탐구되고 있는 분야로, 정치사상, 과학적 학설, 정념, 감각, 도시계획, 민족국가, 노동계급 등 연구 대상이 무척이나 다양하다. 저자 리처드 왓모어는 18~19세기 정치사상사 전문가답게 흔히 '케임브리지 학파'로 불리는 J. G. A. 포콕, 퀜틴 스키너, 이슈트반 혼트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정치사상사 연구가 변모해온 과정에 초점을 맞춰 지성사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탐구한다."
















거명되는 학자 가운데 퀜틴 스키너는 제법 소개된 학자다. 주저인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1,2>와 <역사를 읽는 방법>(돌베개) 등이 소개되었다. 
















심지어 스키너의 정치사상사 연구 방법론에 관한 논쟁도 소개돼 있다. 같이 거명된 포콕은 '포칵'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학자다(존 그레빌 에이가드 포칵). 


 













스키너와 포콕 모두 저명한 정치사상사가이자 마키아벨리 연구자다. 케임브리지학파가 지성사=정치사상사란 이미지를 만들어놓은 것. 그 배경에 관해서 알게 해주지 않을까 싶다. 
















지금은 절판되었는데, 지성사의 원조로 내가 처음 소개받은 학자는 아서 러브조이이고, <존재의 대연쇄>(탐구당)가 그의 대표작이다. 지금 보니 1984년에 번역돼 나왔다. 역자인 차하순 교수가 국내에선 지성사 소개자이기도 했다. 기억에 르네상스시대 사상사 전공이고 서강대학에 재직하면서 제자들도 길러냈다. <마키아벨리언 모멘트>를 옮긴 곽차섭 교수도 제자(영국에 케임브리지학파가 있다면 한국 지성사학계에는 서강학파가 있는 것인지? 내부 사정은 알지 못하겠다). 
















곽차섭 교수도 국내의 대표적인 마키아벨리 학자로 평전과 <군주론>을 포함해 여러 번역서를 펴냈다. 역사학자들의 대담집 <탐사>(푸른역사)에는 스키너도 한 장이 할애돼 있다. 
















아, 서강대 김영한 명예교수도 지성사 분야가 전공이다. 편저로 <서양의 지적 운동1,2>(지식산업사)가 국내 지성사학계의 업적으로 보인다. '지성사'란 키워드 때문에 연상하게 된 몇 가지를 적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