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72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통렬한 조롱과 비판을 담은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월북)에 대해서 적었다. 어리석음의 역사가 지금의 우리에게 던져주는 교훈을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주간경향(20. 04. 13) 유권자들은 왜 개를 시장으로 선출했나


<인간의 흑역사>의 원제는‘인간들(휴먼스)’이라고 옮겨도 무방한데, 어감을 살리자면 감탄사가 필요하다. ‘인간들이라니!’영국의 한 인터넷뉴스 사이트의 편집장이라는 저자는 인류사에 대한 잡학 다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어리석음을 조롱하고 짐짓 교훈을 얻고자 한다. 덕분에 저자의 의도대로‘인간이 일을 말아먹는 재주가 얼마나 다양한지’실감하게 된다. 문제는 그‘인간들’에서 우리도 예외는 아니라는 데 있다. 우스갯소리로도 읽히는 많은 사례에서 독자가 웃을 수만은 없게 된다고 할까.


저자가 표본으로 앞세운 사례가 있다. 9세기 북유럽의‘천하장사’시구르드다. 그는 뻐드렁니로 유명했던 적장의 목을 베 말안장에 매달고 자랑스레 귀환했다. 그런데 귀환 중에 그 적장의 뻐드렁니가 말을 타고 달리던 시구르드의 다리를 계속 긁어댔고, 시구르드는 그 상처의 감염으로 며칠 만에 죽고 만다. 자기가 죽인 적에 의해 죽임을 당한 것이다. 사변철학에 친숙한 독자라면 승리가 패배로 역전되는 변증법의 전형적 예시로 반길 만한 사례인데, 저자는 자만과 그로 인한 파멸을 교훈으로 지적한다. 어느 쪽이건 시구르드의 실패가 그의 업적과 불가분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분 지으면서 위대하게 만든 특성이 끝없이 반복되는 바보짓의 원인이기도 하다는 게 저자의 지적이다.

원론적으로 보자면 인간의 진화과정 자체가 불완전함의 원인이다. 진화는 장기적인 안목보다는‘지금 당장’이익이 되는 특성을 무조건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진화란“그냥 먹을 것과 짝짓기에 굶주린 개체들을 인정사정없는 세상에 무진장 풀어놓고 누가 가장 덜 망하나 보는 것이다.”이런 조건으로 발달한 인간의 뇌도 당연히 세심하게 설계된 결과물이 아니다. 사고에는 땜질과 편법이 기본적으로 동원되는데, 지동설 이후에도 우리가 일상에서는“아침에 해가 뜬다”라고 말하는 이유다.

이성적 사유를 통해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역사상 그런 진리에 대한 관심은 보편적이라기보다는 예외적인 것으로 보인다. 아주 단순하게 이성적 사유가‘뒷일’에 대한 고려와 염려를 포함한다면, 이성적 인간은 눈앞의 이익에 대한 관심 때문에 인류가 초래한 기후변화와 환경재앙을 피할 수 있어야 했다. 많이 알려진 사례로‘플라스틱 바다’만 해도 그렇다. 1950년대부터 인류는 플라스틱을 널리 쓰기 시작했는데 이제까지 83억 톤 이상을 생산했다. 그 가운데 63억 톤을 버린 결과 면적이 텍사스주(남한 면적의 7배)에 이르는 거대한 쓰레기섬을 만들어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경각심이나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것은 당장 눈앞의 이익과 직결되지 않아서다.

불완전하게 진화한 뇌를 통해서 당장의 이익만 고려한 판단을 하게 될 때 반복되는 실수와 비극은 인간의 역사를 빼곡하게 채우고도 남는다. 총선을 앞둔 상황이라 선거의 흑역사도 참고해보자. 1981년에 캘리포니아의 수놀이라는 작은 도시에서는 개를 시장으로 선출했다. 주인이 홧김에 출마시킨 보스코 라모스라는 잡종견이 인간 후보 2명을 누르고 당선돼 사망할 때까지 10년 이상 자리를 지켰다고 한다. 뜻밖에도 보스코 시장은 주민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 수놀에는 동상까지 세워졌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다. 똑같은 원리로 독일 국민은 1933년 총선에서 히틀러의 나치당을 선택했다. 이번 총선에서‘국민의 현명한 선택’은 어떤 결과를 낳을지 궁금하다.


20. 04. 08.
















P.S. 민주주의와 관련해서는 영국의 정치학자 데이비드 런시먼의 책들이 관심도서다. 재작년에 <자만의 덫에 빠진 민주주의>(후마니타스)에 이어서 최근에 <쿠데타, 대재앙, 정보권력>(아날로그)가 출간되었는데, 현단계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진단과 함께 '중년의 민주주의'가 어떻게 종말을 맞을 수 있는지 성찰하고 있다. 지난주에 소개한 책으로 '21세기 새로운 민주주의 질서에 대한 제언'을 부제로 한 네그리와 하트의 <어셈블리>(알렙)도 민주주의 갱신과 관련하여 필히 참고해볼 만하다. 관련서가 더 많기에 한번 정리가 필요한 주제다(누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