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분야에서 화제는 단연 코로나 사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이 판데믹(대유행)으로까지 이어졌기에. 이 역병의 전세계적인 유행이 언제 종식될지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언젠가는 종식된다, 그리고 다시 돌아온다. 같은 바이러스건 새로운 변종이건. 
















과학잡지 '스켑틱'의 이달 특집도 '코로나19와 질병X의 시대'인데, 먼저 찾아읽은 기사가 강병철의 '코로나19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였다. 필자는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꿈꿀자유)의 역자이자 발행인이다. 언젠가 적었지만 처음 출간시에는(2017년에 나왔다) 희소한 주제의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시점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시의성을 갖게 된 책이다. 특집기사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인 전염병이 늘어가는 추세의 근본원인이 무엇이고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나가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적절하게 정리해주고 있다. 
















당연한 일이긴 한데, 전염병의 역사와 판데믹(팬데믹)에 관한 책들도 몇권 나와 있고(이주에 나온 책도 있다) 앞으로 더 나올 것이다. 장기적이 관점에서도 이해할 수 있지만, 판데믹의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관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이것이 인류의 환경파괴가 불러온 인위적인 재앙이라는 점에도 유념해야 한다. 하기야, 인류가 사전에 무언가를 깨치고 방비한 역사가 있었던가는 의문이지만.
















직접적으로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다룬 책들도 바쁘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진행중인 사안이라 '속보기사'와 같이 제한적인 의미만을 갖는 듯싶다. 향후 사태가 진정되면 '종합판'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령 <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책갈피)만 하더라도 제목대로 사태의 원인을 자본주의 체제와 국가의 문제로만 다룸으로써 한국정부의 대응조차도 비판거리로만 취급한다. 당장 진행중인 사안에 대해서 원론적인 비판을 퍼부어대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반문하게 된다(불이 나서 집이 타고 있는데, 옆에서 화제 원인에 대한 분석만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생물학적으로는 원론적인 문제까지 다뤄볼 수 있겠다. 전염병이 면역반응과 관계가 있고, 이는 분자생물학의 영역이고 하는 식. 그런 관심까지 갖는 독자라면 일본의 괴물 저자 타치바나 다카시가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와 나눈 대담집 <정신과 물질>(곰출판)을 읽어볼 수 있다. 대학에 들어갈 때까지 '세포'의 존재조차 몰랐던 화학 전공자가 노벨상 과학자가 되기까지의 지적 여정과 그의 연구 주제('항체의 다양성 생성의 유전학적 원리 해명')가 심도 있는 소개된다. 


면역, 더 구체적으로 면역학 혁명을 다룬 책이라면, 대니얼 데이비스의 <뷰티풀 큐어>(21세기북스)도 참고할 수 있는 책이다. 도네가와의 업적 얘기도 나오는지 봐야겠다. 그리고 몇년 전에 나온 율라 비스의 <면역에 관하여>(열린책들)은 논픽션 작가가 쓴 면역학 이야기다. 이 주제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서 읽어봐도 좋겠다. 
















그리고 코스모스. 분야로는 분자생물학에서 천체물리학으로 도약하는 셈인데, 칼 세이건과 함께 부창부수를 이루었던 앤 드루얀의 <코스모스>(사이언스북스)가 최근에 나왔다. 두 사람이 각각 쓰거나 공저한 책만 하더라도 10권이 넘고 이 책들이 계속 소개되는 듯싶다. 
















공저로는 <잊혀진 조상의 그림자>와 <혜성> 등이 있다. 두 사람을 포함한 다수 공저로는 <지구의 속삭임>도 떠오르는데, 벌써 4년 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