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을 먹기 전 책을 찾다가(며칠 전부터 찾는 책들이 있다) 다시 손에 든 시집이다. 구영미의 <나무는 하느님이다>(시와실천). 약력으로는 2018년에 등단해서 지난해에 펴낸 첫시집이다. 보통 시집을 읽는 독법은 첫시부터 읽거나 표제시부터 읽는 것이다(무작위로 읽는 걸 독법이라 칠 건 아니므로). 표제시를 찾아보니 이렇게 시작한다.

나무는 식탁이다
나무는 편지다
나무가 하늘 앞에 서 있다
나무에 앉아 있는 하느님을 만난다
하느님이 휘파람을 분다
새가 춤을 춘다
(...)

시상의 전개가 억지스럽지도 않지만 또 놀랍지도 않다. 이렇게 마무리된다.

나무에 기대 편지를 읽는다
나무에 기대 밥을 먹는다
나무에 기대 달을 본다
나무는 하느님이다

마지막 행이 제목이 되었고, 이 은유로 해명되는 시다. 시에서 ‘하느님‘을 호명하는 시로는 김춘수의 ‘나의 하느님‘이 떠오른다.

사랑하는 나의 하느님, 당신은
늙은 비애다.
푸줏간에 걸린 커다란 살점이다.
시인 릴케가 만난
슬라브 여자의 마음속에 갈앉은
놋쇠 항아리다.
손바닥에 못을 박아 죽일 수도 없고 죽지도 않는
사랑하는 나의 하느님은 또
대낮에도 옷을 벗는 어리디 어린
순결이다.
三月에
젊은 느릅나무 잎새에 이는
연두빛 바람이다.

보통 시작법책에서 은유의 사례로 많이 적시되는 시이기도 하다. 표제시를 건너뛰고 마음이 가는 시를 찾아보았다. 병증(통증, 편도선염, 갑상샘 항저하증, 호스피스 병동)이 제목에 들어가 있는 시들이 눈에 많이 띄는데 시인 자신이 병치레 경험을 많이 갖고 있는 듯싶다. 그 가운데 나의 취향에 맞는 시는 ‘녹턴‘이다. 실제 경험이 실종되다시피 한 요즘시들과 확연히 다른, 실감의 시가 어떤 것인가를 잘 보여준다.

오후 열한 시 오 분쯤
대전대학교 부설 한방 병원
육인 실 커튼 사이로 간간
빠져 나오는 밭은기침 소리
운율이 불규칙한 코 고는 소리
화장실에서 들리는 물 내리는 소리
명치를 자박자박 두드리는 소리
스마트폰이 부들거리는 소리
미닫이문이 열리는 소리
복도를 오가는 슬리퍼 소리
몇 번이고 돌아눕는 이불 소리
옅은 벽 등을 켜고 따라온 시집 한 권
지문이 빼곡하게 새겨진 페이지마다
그리운 바람소리
수화기 저 편 당신 목소리
힘내자
야간 근무하는 이은미 간호사가
묻는다
좀 어떠세요?

병원 육인 실에 입원해 있는 시인에게 들려오는 모든 소리를 모아 한편의 ‘녹턴‘으로 구성해내는 솜씨가 일품이다. 실감의 시라고 불렀는데 일상의 시이기도 하다. 낯익은 경험과 자연스런 어법이 잘 어우러진 시의 사례다. 추천사를 적은 신달자 시인은 이렇게 평했다. ˝그의 시는 대체적으로 선명한 마음의 굴곡을 잘 따르는 인생론적 테마이며 그것을 바탕삼아 인간의 예술적 본성을 자신만의 언어로 충실히 그려내고 있다.˝

나대로 옮기면, 시인은 일상의 테마를 자신의 언어로 그려내고자 한다. 아직 습작기에 유명 시인들을 사숙한 흔적들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나는 구영미 시인의 ‘녹턴들‘을 더 듣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