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의 시간정치‘라는 부제 때문에 주목하게 되는 책은 김학선의 <24시간 시대의 탄생>(창비)이다. 저자는 국제지역대학원의 한국학 전공자이고 책은 박사학위논문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 ‘시간정치‘라는 개념에 끌린 건 지난해 나온 엘리자베스 코헨의 <정치는 어떻게 시간을 통제하는가?>(마티)가 생각나서다. 여차하면 서평강의에서 다루려고 했던 책이다. 먼저 코헨의 책에 대한 소개.

˝이 책은 시간이 민주적 합의 과정에 필수적인 요소일 뿐 아니라, 정치 행위자들이 권리를 거래할 수 있게 해주는 대단히 중요한 ‘재화’라고 주장한다. 또한 국가가 시민들의 시간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규범적 분석을 통해 국가가 일부 사람들의 시간을 남용하고 차별하는 경우, 시간의 가치가 평가절하되는 사람들이 겪는 시간적 불평등에 주목한다. 이 책은 민주주의 시스템에서 시간이 가지는 의미를 새로이 생각해보게 해줄 것이다.˝

‘시간의 정치적 가치와 불평등에 관한 분석‘이라는 부제가 주제와 문제의식을 잘 집약하고 있다. <24시간 시대의 탄생>은 좀더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연구다.

˝1980년대의 시간정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시간이 사회발전과 자기개발을 위한 대상이 되는 과정, 즉 신자유주의적 시간의 기원을 탐색하는 책이다. 저자 김학선은 1980년대에 하루 24시간이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자원으로 적극 개발되고 활용되는 점에 주목하며 통치규율, 자원으로서의 시간, 국민국가의 시간제도 등의 측면에서 1980년대의 시간정치를 고찰한다.˝

시간정치라는 개념과 문제틀이 1980년대(제5공화국 내지 전두환정권기)에 대한 어떤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줄지 궁금하다.

시간정치, 내지 ‘시간과 정치‘와 관련해서는 랑시에르의 <모던 타임스>(현실문화)도 참고도서다. ‘예술과 정치에서 시간성에 관한 시론‘이 부제. 이와는 별도로 랑시에르의 문학론 관련서들을 엊그제부터 찾는 중이다. 랑시에르는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론을 포함하여 상당 분량의 문학론을 썼다. 그에 관한 연구서를 포함해 대부분의 책을 갖고 있는데 중구남방으로 흩어져 있다. 동원령을 발동하면 모여들까. 책을 제대로 부리지 못하는 것이 장서가의 고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