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58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투르게네프의 소설들을 다시 강의하는 차에 첫 장편 <루진>에 대해서 적었다. 투르게네프의 소설들을 다시 강의하면서 그간에 견해를 일부 조정할 수 있었던 게 성과다. 리뷰에도 일부 반영하고 있다...
















주간경향(19. 12. 30) 자신의 운명 탄식하는 ‘잉여인간의 초상’


한국 근대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이반 투르게네프는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본격적인 문을 연 작가로 평가된다. 애초에 낭만적 서사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지만 농노제 하의 러시아 현실을 다룬 단편집 <사냥꾼의 수기>(1852)로 명성을 얻는다. <사냥꾼의 수기>가 불러일으킨 반향은 1861년에 단행된 농노제 폐지에도 기여했다고 알려진다.


장편소설 작가로 투르게네프의 이력은 <루진>(1856)부터 시작되는데, 이후 마지막 장편소설 <처녀지>(1877)에 이르기까지 투르게네프는 여섯 편의 사회소설을 통해 19세기 후반 러시아 사회의 실상을 기록했다. 다만 그가 그려낸 실상은 주로 러시아의 시골 영지로 제정시대의 수도 페테르부르크를 배경으로 다룬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1866) 같은 작품과는 차이를 보인다. 도스토옙스키의 소설들이 발자크와 디킨스 같은 서구 작가들의 소설에서 많은 영감을 얻으면서 동시에 러시아적 변형을 보여준다면, 투르게네프의 소설은 러시아식 사회소설의 전형을 발명했다고 여겨진다.


러시아식 사회소설이라는 표현은 투르게네프가 ‘잉여인간’이라는 독특한 형상의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가 <루진>에서 그려내고 있는 것 역시 대표적인 잉여인간이라고 할 주인공 루진의 초상이다. 루진은 서른다섯 살가량의 인물인데 한 부유한 여지주의 시골 별장에 예기치 않은 손님으로 처음 등장했을 때 좌중을 압도하는 지성과 논리적인 언변으로 사람들을 매혹시킨다. 특히 여지주 다리야 미하일로브나의 딸 나탈리야는 루진의 웅변에 감동해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다. 나탈리야는 루진이 가진 높은 이상을 존경하며 급기야는 열렬한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루진과 나탈리야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머니의 반대를 무릅쓴 나탈리야는 루진의 아내가 되기 위해서라면 모든 것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정작 루진은 뒤로 물러서며 운명에 순종해야 한다고 말한다. 풍부한 지적 교양과 고상한 이상을 품고 있음에도 루진은 그것을 현실로 옮겨놓을 수 있는 의지와 결단력을 갖추지 못한 인물이다. 그는 나탈리야를 떠나며 남긴 편지에서 자신의 운명에 대해 이렇게 탄식한다. 

“그렇습니다, 자연은 내게 많은 것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내 힘에 걸맞은 일을 아무것도 못 하고, 어떠한 유익한 흔적도 남기지 못하고 죽을 겁니다. 모든 풍부한 재능은 헛되이 사라지고, 나는 내가 뿌린 씨앗의 열매를 보지 못할 겁니다.” 

이렇듯 무력해 보이는 잉여인간의 형상은 1860년에 작가가 추가한 에필로그에 의해서 그 의미가 복잡해진다. 에필로그에서 루진은 1848년 6월 프랑스 파리의 바리케이드 봉기에서 정부군의 총에 맞고 죽는다. 이국의 실패한 혁명에 참여해 익명으로 죽는 루진은 그의 예언대로 오직 씨앗만 뿌렸을 뿐 열매는 보지 못한다. 종종 무의미한 죽음으로 폄하되기도 했지만 <루진>의 예기치 않은 결말은 혁명, 혹은 사회변혁의 역량이 충분하지 않은 시기에 가능한 선택지를 시사하는 것으로도 읽힌다. 천고의 뒤에 올 초인을 위해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렸던 시인을 나는 루진과 겹쳐서 떠올린다. 


19. 12.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