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가을에 프랑스문학과 러시아문학을 동시에 강의하고 있는데 일정에서 뒤늦게 아쉬움을 발견한다. 스탕달의 <적과 흑>(1830)을 다시 읽으며 러시아문학에 끼친 그의 영향이 궁금해져서다(스탕달의 수용에 대해서는 알아보아야 한다. 발자크와는 다르게 스탕달은 당대에 잘 알려진 작가가 아니었고 프랑스에서도 1880년대에 가서야 재발견된다).

그에 비하면 낭만주의 시인 뮈세(알프레드 드 뮈세)의 영향은 뚜려한 편이다. 유일한 소설 <세기아의 고백>(1836)이 레르몬토프의 <우리시대의 영웅>(1840)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두 작품을 비교해서 다루는 건 언제라도 가능한 일인데 매번 멍석 까는 걸 잊는다(확인해보니 푸슈킨은 <적과 흑>을 직접 읽었고, 레르몬토프는 간접적으로 영향관계가 추정된다. 푸슈킨의 <스페이드 여왕>과 레르몬토프의 <우리시대의 영웅>이 그래서 <적과 흑>과 비교될 수 있는 작품들이다).

단독으로 다루기에는 멋쩍기에 비교거리가 될 만한 작품을 더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 일정을 보류하게 만들었고 그에 더하여 최근에는 러시아문학 강의에서 <우리시대의 영웅>을 다루는 일이 줄어들었다. 언젠가 그의 희곡 <가면무도회>까지 같이 강의에서 다룰 기회가 있었으면 싶다. 그 기회는 내가 만드는 것이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 계기는 주어져야 하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